![]() | ||||
비스카차 | ||||
Viscacha | 이명 : | |||
Lagidium Meyen, 1833 | ||||
분류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
강 | 포유강(Mammalia) | |||
목 | 설치목(Rodentia) | |||
과 | 친칠라과(Chinchillidae) | |||
속 | 산비스카차속(Lagidium) | |||
종 | ||||
북비스카차(L. peruanum) 산비스카차(L. viscacia) 긴꼬리친칠라(C. lanigera) 볼프손비스카차(L. wolffsohni) Lagidium ahuacaense |
사진은 '산비스카차(Southern viscacha, Lagidium viscacia)' 하이고.. 자식걱정.. 집 융자.. 보험..
남아메리카에서 서식하는 설치류. 설치목 친칠라과에 속한다.
인터넷에서 흔히 티벳 토끼로 알려져 있지만 토끼와는 전혀 상관없는 종류인데다가 티베트 고원에서 서식하는 동물이 아니다. 이는 비스카차의 눈이 반 쯤 감겨있는 모습(특히 산비스카차)이 마치 부처님처럼 해탈의 경지(...)를 넘어선 듯한 모습이라서, 티벳여우가 한참 붐이 일었을 때 누군가 짝을 맞추기 위해 비스카차를 티벳 토끼로 절묘하게 둔갑시킨 것이다. 이건 뭐 신성로마제국도 아니고
기다란 귀가 토끼를 닮았지만 위에서 언급한 것 처럼 토끼와는 전혀 상관없는 녀석이고 가장 가까운 친척은 친칠라이다.[1]
친칠라와 마찬가지로 가죽을 위해 지나치게 밀렵당해와서 개체수가 많이 줄어들었다. 멸종위기까진 아니여도 위험한 수준.
여담으로 비스카차로 알려진 종류 중에 '초원비스카차(Plains viscacha, Lagostomus maximus[2])'라는 종이 있는데 다른 비스카차(Lagidium속)하고는 아과 수준에서 다르다. 산비스카차를 포함한 Lagidium속과 친칠라는 전부 친칠라아과(Chinchillinae)에 속하지만 초원비스카차는 따로 초원비스카차아과(Lagostominae)라는 독자적인 분류군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