嵯峨浩(さが ひろ, 1914~1987)
청나라의 마지막 황제인 선통제 아이신기오로 푸이의 동생 아이신기오로 푸제(愛新覺羅溥傑, 애신각라 부걸, 1907~1994)의 아내. 일본인이다. 중국의 '이방자 여사'라고도 할 수 있겠다.
1 생애
일본 황실과 연결되어 있었던[1] 후작 가문인 사가 가문의 장녀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사가 사네토(嵯峨實勝), 어머니는 하마구치 히사코(浜口尙子).
일본 황족과 화족의 딸들이 다니는 학교인 여자 가쿠슈인[2]에 다녔다. 이때 함께 여자 가쿠슈인에 다닌 동기들 중에는 메이지 덴노의 외손녀인 다케다노미야 아야코(竹田宮禮子) 여왕과 기타시라카와노미야 사와코(北白川宮佐和子) 여왕, 그리고 덕혜옹주 등이 있었다.
1937년 관동군의 중매로 인하여, 당시 만주국의 황제이자 청나라의 마지막 황제였던 푸이의 동생인 푸제[3]와 정략결혼을 하게 된다. 정략결혼이었지만 둘의 금슬은 괜찮은 편이었고 사이가 좋았다고 전해진다.
남편을 따라 만주국의 수도인 신징(현재 창춘)으로 건너가 1938년 장녀 아이신기오로 후이성(愛新覚羅慧生, 혜생, 일본명 에이세이)를 낳았고, 일본으로 잠시 귀국해 1940년 코세이(嫮生)[4]을 낳았다. 이후 다시 만주로 건너갔다가 푸제가 안전상의 문제로 일본 육군대학교로 유학을 가게 되면서 다시 일본으로 돌아왔고, 푸제가 다시 만주로 돌아가게 되자 초등학교에 진학할 나이의 장녀 후이성만 일본 친정에 맡겨두고 차녀 코세이만을 데리고 남편을 따라 만주로 향한다.
일본이 패망하고 소련군이 만주로 진격하자 푸이와 푸제 등 만주국 각료들은 비행기 편으로 만주를 탈출하고, 그들이 일본에 도착하면 푸이의 황후인 완룽과 사가 히로 등 가족들은 조선을 거쳐 육로로 일본으로 귀환하기로 한다. 그러나 푸이와 푸제는 비행장에서 소련군에게 체포되어 하바롭스크로 압송되었고, 신변에 위협을 느낀 사가 히로는 황후인 완룽, 차녀 코세이 등과 함께 당시 머물던 곳인 다리쯔를 탈출한다.
그러나 이내 팔로군에 잡히게 되었고, 퉁화, 지린, 옌지 등을 옮겨다니며 감옥생활을 하다가 석방된다. 석방된 이후 랴오닝(遼寧) 성의 후루다오(葫蘆島)에서 일본으로 돌아가기 위해 수송선을 기다리던 도중 국민당군에게 또다시 체포되어 베이징을 거쳐 상하이에서 공안의 감시를 받으며 머물게 된다. 상하이에서 구 일본군 출신의 타나카 테츠오 대위에게 구출되어 천신만고 끝에 1947년 일본으로 귀국하였다.
이후 아버지가 운영하던 초등학교의 선생을 하면서 생계를 유지했고, 재혼하지 않은 채 두 딸을 보살피며 살았다. 그러나 일본과 중국은 미수교 상태였기 때문에 16년 동안 사가 히로는 남편인 푸제의 소식을 듣지 못했다.[5] 그러던 중 장녀 후이성이 저우언라이 총리에게 아버지와 어머니를 만나게 해 줄 것을 간청하는 편지를 보내고, 이에 감명받은 저우언라이는 사가 히로를 중국에 특별 초청하였다. 사가 히로와 차녀 코세이는 중국으로 건너가 16년만에 푸제를 만나게 된다.[6]
이후 사가 히로와 푸제는 베이징에 정착하여, 저우언라이의 배려로 옛 순친왕부의 저택에서 조용히 살았다. 문화대혁명 때 곤욕을 겪기도 했으나 저우언라이는 경호원들을 파견하여 그들을 보호해 주었고, 그들은 이후에도 별 탈 없이 조용히 살았다. 문화대혁명 후 중국이 개혁, 개방 노선을 택하고 일본과 국교 또한 정상화 되면서 두 부부는 딸인 코세이[7]와 손자들을 보러 일본을 방문하기도 하였다.
말년의 푸제, 사가 히로, 차녀 코세이 가족과 함께 찍은 사진
사가 히로는 1987년 73세의 나이로 사망하였고, 그녀가 죽었을 때 조용하고 감정을 잘 드러내지 않던 성격의 푸제는 그녀의 시신 옆에서 목놓아 울었다고 전해진다.
2 기타
그녀의 일대기를 다룬 일본 드라마가 <유전의 왕비, 최후의 황제(流轉の王妃·最後の皇帝)>인데, 총합 4시간의 단편 드라마이지만 호화 캐스팅에 해외 로케이션으로 촬영된 의외의 수작이다. 물론 드라마의 내용은 미화가 많으니 적당히 걸러서 보도록 하자. 참고로 사가 히로의 역은 '토키와 타카코'가 맡았다.
마지막 황제에서도 잠깐 잠깐 나오는데 그다지 좋은 인상으론 안 나온다. 유일한 대사는 "처음 뵙겠습니다."라는 일본어뿐. 푸이는 대놓고 일본인이란 이유로 제수씨는 물론이고 남동생 푸제까지 일본 놈들의 하수인이 됐다고 괄시한다.
영친왕비인 이방자 여사와 비슷한 포지션. 정략결혼으로 타국의 황족과 결혼했으나 금슬은 좋았고, 일본의 패망이 가까워 오는데도 남편을 따라 만주로 이동하여 만주에 머물렀고, 위급한 상황에서도 끝까지 만주에 남아 남편의 곁을 지키는 등 모범적인 모습을 보였다. 만약 그녀가 만주에 가지 않고 일본에 머물렀다면, 1946년 일본에 돌아올 때까지 겪었던 숱한 고난들은 겪을 필요도 없었을 것이다. 이방자 여사와 같은 대쪽같은 모습은 보여주지 못했다고 하더라도[8] 당시 일본과 적대국인 공산국가이자 자신이 1945년 8월부터 약 1년 6개월 간 온갖 고생을 한 곳인 중국에서 남편을 따라 머물 결정을 한 것은 절대로 쉬운 일이 아니다. 결과적으로 일제는 가장 못난 사람인용 오류:<ref></code> 태그를 닫는 <code></ref>
태그가 없습니다 출신이라는 이유로 2000년 6월에 죽을 때까지 미치코 황후를 들들 볶아 우울증, 실어증에 빠지게 만들었을 정도였다.</ref>을 일본의 황후로 삼고 진짜 황후감인 사람들은 한국과 중국으로 시집보낸 셈이다.- ↑ 사가 히로 할머니(즉, 아버지 사가 사네토의 어머니)의 고종사촌이 메이지 덴노였다.
- ↑ 오늘날 가쿠슈인 여자 중등과, 여자 고등과, 여자대학의 전신.
- ↑ 1924년에 1904년생의 타타라 탕스샤(他他拉唐石霞)라는 만주 공주와 결혼했었으나 아이가 없었고, 그가 일본 유학을 떠나면서 자연스레 사이가 멀어졌다.
- ↑ 現 국적이 일본이므로 일본식으로 표기. 일본인과 결혼했으므로 풀 네임은 후쿠나가 코세이(福永嫮生)가 된다. 중국식으로는 후성(husheng, 호생).
- ↑ 당시 푸제는 형인 푸이와 함께 전범으로 취급받아 소련에서 중국으로 신병이 인도되었고, 무순 전범관리소에 수용되어 있었고, 형인 푸이가 특별사면 되었을 때에도 수감되어 있었다.
- ↑ 그러나 정작 편지를 썼던 장녀 후이성은 가쿠슈인 대학 문학부 국문과의 동급생 오오쿠보 타케미치(大久保武道)와 아마기 산(天城山)에서 오오쿠보의 권총으로 동반 자살하여 아버지를 만나지 못하게 되었다. 후이성은 당시 오오쿠보와 결혼을 약속하고 사귀는 사이었는데, 어머니였던 사가 히로는 일본인과 후이성이 결혼하는 것을 반대하였고 남자의 집안에서도 후이성을 반대하였다. 이에 낙담하여 자살했다고 전해지는데, 이에 큰 충격을 받은 사가 히로는 후에 차녀인 코세이가 일본인과 결혼하는 것은 말리지 않고 허락한다. 한편, 사가(嵯峨) 가문에서는 오오쿠보의 스토킹에 의한 납치 동반 자살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 ↑ 사가 히로는 베이징에 정착하였으나 딸인 코세이는 일본으로 돌아가 외할아버지, 외할머니와 살았다. 그리고 일본인과 결혼하여 일본에서 가족들과 함께 살고 있다.
- ↑ 이방자 여사는 해방 후 국적을 묻는 질문에 단호히 한국인이라고 대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