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준황후

1 개요

香淳皇后, 1903년 3월 6일 ~ 2000년 6월 16일
향년 만 97세

쇼와 덴노의 황후. 아키히토 덴노의 어머니. 방계 황족 출신으로 결혼 전의 이름은 구니노미야 나가코(久邇宮良子) 여왕.[1]

맏며느리 미치코 황후에게 악독한 시집살이를 시킨 것으로 악명이 높다. 정말 죽기 직전까지 미치코 황후를 괴롭혔고, 그 때문에 미치코 황후실어증까지 걸렸을 정도였다.

2 어린 시절

200px
1910년, 7살 때의 나가코 여왕.

아버지는 방계 황족인 구니노미야 구니요시(久邇宮邦彦) 왕[2][3], 어머니는 시마즈 다다요시(島津忠義)[4]와 측실 야마자키 스마코(山崎壽滿子)의 8녀인 치카코(俔子)이다.

나가코 여왕은 1903년 3월 6일 구니요시 왕과 치카코 비의 3남 3녀 중 셋째로 태어나, 1907년 가쿠슈인 여학부(女學部) 유치원에 입학했다. 가쿠슈인에서 황족의 자녀들은 따로 마련된 별실에서 점심 식사를 했다. 나가코 여왕은 두 여동생 외에도, 훗날 남편이 된 미치노미야 히로히토 친왕과 그의 바로 아래 남동생아츠노미야 야스히토(淳宮雍仁) 친왕[5]과도 함께 식사를 하곤 했다.

나가코 여왕은 상냥하고 확실한 성격이어서, 두 여동생 노부코(信子) 여왕과 사토코(智子) 여왕[6]은 큰언니의 행동을 보고 본받으려 했다고 한다. 사촌 언니 이방자는 1984년 경향신문에 연재한 회고록 《세월이여 왕조여》에서 어린 시절의 나가코 여왕을 가리켜 "여성으로서 우아하고, 마음씨가 곱고, 총명하며, 노래를 잘 불렀다" 고 회고했다. 《세월이여 왕조여》 제4회(1984.5.18) 근데 왜 시집살이는 시켰어. 흑화했냐.

한편 나가코 여왕이 어린 시절을 보낸 구니노미야 저택 터에는 훗날 가톨릭계 여학교인 세이신 여학원이 들어섰고, 이 학교 출신인 쇼다 미치코가 나가코 황후의 큰며느리가 되었다. 이 이야기만 들으면 고부 간의 아름다운 인연이라는 착각에 빠진다.

3 황태자비 내정

파일:Attachment/고준황후/n2.jpg
결혼 전, 미혼 여성의 예복인 후리소데를 입은 나가코 여왕의 모습.

당시 일본 황실은 오랫동안 이치죠(一條) 가문과 쿠죠(九條) 가문에서 번갈아가며 국모를 맞이했다. 고메이 덴노의 정실 에이쇼 황후(英昭皇后)[7]쿠죠 가문, 고메이 덴노의 아들 메이지 덴노의 정실 쇼켄황후(昭憲皇后)[8]이치죠 가문, 다이쇼 덴노의 아내 데이메이 황후(사다코)는 쿠죠 가문 출신이다. 그러니 이제까지의 관례를 보면 다음 차례는 이치죠 가문일 가능성이 높았다.

문제는 황태자비 자리를 놓고 권력투쟁이 벌어졌다는 것이다. 다이쇼 덴노는 심신이 허약하여 나랏일을 거의 하지 못하고 있었기에, 신하들은 황실과 덴노를 만만히 여기고 더욱 날뛰었다. 육군을 장악하고 있던 조슈 파는 화족 이치죠 사네테루(一條實輝) 공작의 3녀 이치죠 도키코(一條朝子)를, 해군을 장악하고 있던 사츠마 파는 방계 황족의 딸인 나가코 여왕을 지지했다. 또한 조슈 파의 원로이자 당시 일본 정치계의 거물이었던 야마가타 아리토모가 도키코를 강력하게 지지하고 있었다. 여러 가지로 도키코에게 유리했다.

그러나 사다코 황후는 자신의 남편 다이쇼 덴노에게 함부로 굴던 야마가타 아리토모를 미워하고 있었기에, 그가 지지하는 후보를 황태자비로 삼고 싶지 않았다. 사츠마 파는 그 점을 알고 은밀하게 사다코 황후에게 접근했다. 그리고 1918년 2월 4일, 구니노미야 나가코 여왕이 황태자비로 내정되었다는 공식 발표를 일제히 언론에 내보냈다. 언론 등에 공개된 것에 따르면 표면적인 이유는 나가코 여왕 본인의 성품이나 소질 뿐 아니라, 황족들 중에서는 비교적 가난한 편이었던 구니노미야 가문의 형편을 예전에 메이지 덴노가 걱정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후 나가코 여왕은 가쿠슈인 여학부 중등과를 중퇴하고, 장래의 황태자비와 황후로서 교육을 받기 시작했다.

조슈 파와 야마가타 아리토모는 분노하였다. 1920년, 한 의학 잡지에 "나가코 여왕의 외가인 시마즈 가문에 색맹의 형질이 유전되고 있다!!" 는 기사가 실렸다. 야마가타 아리토모사이온지 긴모치, 하라 타카시 등과 연합하여 구니노미야 가문에 "황통의 안정을 위하여 황태자비 자리에서 사퇴하라!!" 고 요구했다. 그러나 구니노미야 가문 또한 순순히 물러서지 않았고, 소란은 일반 국민들에게까지 번져갔다. 당사자인 히로히토 황태자는 "나가코 여왕으로 좋다" 고 했으며, 시아버지 다이쇼 덴노도 "과학에도 틀리는 것이 있는 줄 안다" 고 말했다. 이 치열한 싸움의 끝은 황실의 뜻, 국민들의 여론, 일본도로 무장한 협객들의 응원까지 등에 업은 사츠마 파가 최후의 승리를 거두었다. 결국 야마가타 아리토모는 이후 정계에서 은퇴했다.

그런데 정계에 야마가타 아리토모의 영향력이 컸기 때문에, 그가 죽고 난 뒤인 1924년 1월 26일에야 결혼식이 거행되었다. 여담으로 도키코는 방계 황족 후시미노미야 히로요시(伏見宮博義) 왕에게 시집갔다고 한다.[9]

4 황태자비 시절

280px
일본 미인도 모델일세
본래 1923년에 결혼식을 올릴 예정이었지만, 히로히토 황태자는 관동 대지진의 참상을 보고서 결혼식을 미루었다. 나가코 여왕은 대지진의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위로하는 와카를 짓기도 했다. 1924년 1월 26일 결혼식을 올린 후 나가코 황태자비는 아카사카(赤坂)의 동궁(東宮)에 거처하기 시작했다. 1925년 12월 6일에는 첫 아이인 장녀 데루노미야 시게코 내친왕을 낳았다.

5 황후 시절

1926년 12월 25일 히로히토 황태자가 새 덴노로 즉위하자, 나가코 황태자비도 황후가 되었다. 1928년 11월 10일, 교토에서 즉위식이 성대하게 거행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중에도 일본 황실은 끝내 피난하지 않았는데, 이는 황실의 가장 큰 어른인 사다코 태후가 피난을 거부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나가코 황후도 남편 쇼와 덴노와 함께 도쿄에 머무르며, 걱정이 많은 남편을 내조했다. 전쟁으로 식량 사정이 좋지 않던 시절, 쇼와 덴노와 나가코 황후는 식사할 때면 서로 의논하여 요리 한두 접시를 남겨 시종들에게 하사했다고 한다. 전쟁 말기에 나가코 황후는 채소 재배와 양계를 했고, 패전 후에는 철수하는 일본군들을 위해 이부자리와 옷가지를 만들었다.

신격화되어 왔던 일본 황실은 패전 후 인간선언을 하였고, 적극적으로 국민들을 가까이 하며 각종 활동을 활발하게 벌였다. 나가코 황후도 1947년 일본 적십자 명예 총재 취임을 시작으로 1952년 이후의 전국 전몰자 추도식, 1964 도쿄 올림픽 개회식, 1970년 일본만국박람회 개회식, 1972 삿포로 동계올림픽 개회식 및 오키나와 복귀 기념식전 등에 출석했다. 야스쿠니 신사와 고코쿠 신사 등에도 참배하였다.[10]

파일:Attachment/고준황후/n7.jpg
아직 손녀 노리노미야 사야코 공주가 없는 것으로 보아, 1969년 이전으로 추정되는 부자연스러운 가족사진. [11]

1971년에는 쇼와 덴노와 함께 유럽을 순방했는데, 영국네덜란드에서 덴노 부부는 엄청난 적대를 당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에 일본과 싸우다가 포로가 되었던 퇴역 군인들이, 덴노 부부에게 엄청난 분노를 퍼부은 것이다. 특히 네덜란드에 갔을 때는 욕설과 날달걀보온병벽돌(!)등까지 날아왔고, 나가코 황후는 피골이 상접해서 귀국할 정도였다고 한다.

1977년 여름, 늙은 나가코 황후는 나스(那須)의 저택에서 넘어져 허리뼈가 골절되었다. 그러나 측근들이 사고를 숨기는 바람에 치료가 늦어져, 완전한 회복은 불가능해졌다. 나가코 황후는 큰 충격을 받았고, 이후로 노화가 더욱 현저해졌다. 공무에 출석할 때도 기타시라카와 사치코(北白川祥子)[12] 등 시녀들이 부축했다. 1987년 12월 11일, 나가코 황후는 가족사진[13]을 촬영한 후 가벼운 심장 발작을 일으켰다. 다음해부터 그녀는 공무에 참가하지 못했다.

6 태후 시절

1989년 1월 7일, 장남 아키히토 황태자가 새 덴노로 즉위하면서 나가코 황후는 태후가 되었다. 이 해에는 남편 쇼와 덴노뿐 아니라 사촌 언니 이방자 비, 여동생 오오타니 사토코(大谷智子), 3녀 다카츠카사 카즈코가 줄줄이 사망했다.

1990년 6월 29일에는 가와시마 키코후미히토 친왕에게, 1993년 6월 9일에는 오와다 마사코나루히토 황태자에게 시집왔다. 이로써 나가코 태후는 시할머니가 되었다. 손자며느리 키코 비가 1991년에 마코 공주, 1994년에 카코 공주를 낳아, 나가코 태후는 증조할머니가 되었다.

1994년, 나가코 태후는 역대 최장수 황후로 등극했다. 말년에는 치매 증상까지 있었다고 하지만, 언론에서는 "노인 특유의 증상" 이라고만 보도했다.

그러나 그렇게 몸이 불편한데도, 나가코 태후는 꼬장꼬장 정정하게 살아서 계속 미치코 황후를 괴롭혔고, 원래 나쁜 놈은 오래 사는 법. 저승사자도 잡아가기를 꺼려할 정도로 악독하면 오래 산다고 한다. 나가코 태후와 함께 하는 세력들은 그 후로도 언론 등을 동원하여 미치코 황후를 향해 갖가지 말도 안 되는 비난들을 퍼부었다.

"미치코 황후 때문에 쇼와 덴노가 생전에 아끼던 궁성의 숲이 파괴되었다." "연회 등 각종 행사도 미치코 황후의 승낙이 없으면 진행되지 못한다." "한밤중에도 과일을 깎으라거나 라면을 끓이라는 주문을 하기 때문에, 시종들이 쉴 틈이 없다."는 등등. 결국 미치코 황후는 만 59세 생일인 1993년 10월 20일에 쓰러져 실어증 증세를 보이기도 했다. 이듬해인 1994년에야 회복. 2000년 6월 16일나가코 태후가 죽은 후에야 미치코 황후의 지옥 같은 시집살이는 끝났다.

7 자녀들

300px
어렵게 얻은 아들, 아키히토 친왕과 함께.

아키히토 덴노를 포함하여 2남 5녀를 낳았다. 쇼와 덴노와 고준황후의 자녀들은 대부분 일찍 죽거나, 건강이 나쁘거나, 과부가 되거나, 남편이 바람을 피우는 등 부부관계가 원만하지 못하거나, 자녀를 낳지 못하는 등 불행한 삶을 살았다.

나가코 황후는 결혼 후 공주만 내리 4명을 낳는 바람에 온나바라(女腹-딸만 낳는 여자)라며 무수한 비난을 당했고, 측실 제도의 부활까지도 거론될 지경이었다.[14] 그러나 쇼와 덴노는 측실 제도에 대해 "인륜에 어긋나는 일"이라며 거부했고, 측실 후보로 선정된 화족 규수 3명의 사진이 제출되기까지 했으나 "훌륭한 숙녀들이니, 어울리는 곳에 시집가기를 바란다."며 신하들에게 도로 돌려주었다고 한다. 드디어 1933년 12월 23일 나가코 황후는 그토록 바라고 바라던 아들, 장남 츠구노미야 아키히토 친왕을 낳았다. 1935년 11월 28일에는 차남 요시노미야 마사히토 친왕을 낳았다.

본래 황실의 자녀들은 태어나자마자 친부모의 곁에서 떨어져 신하들의 손에 자라는 것이 전통이었으나, 쇼와 덴노와 나가코 황후는 전통을 깨고 자녀들을 곁에 두고 키웠다.[15] 그러나 아주 어렸을 때의 잠깐 뿐으로, 자녀들은 조금 자란 후에는 부모와 떨어져 신하들에게 맡겨졌다. 이것은 양육계가 시중 들기 어렵다는 문제와 버릇이 없어진다는 문제 외에도, 공주들의 경우는 장래 시집갈 때를 대비하기 위해서이기도 했다. 그리하여 온 가족이 모이는 때는 주말뿐이었다. 쇼와 덴노는 직접 공주들의 공부를 도와주기도 했고, 나가코 황후는 아키히토 황태자가 좋아하는 두부 요리를 손수 준비하기도 했지만 아키히토 황태자가 이 요리를 직접 먹은 일은 없다고 한다. 쿠킹 몬스터?

첫째 공주는 맞선 한 번 없이 어른들이 정한 상대와 결혼하여, 한동안 결혼 생활에 어려움을 겪었다. 때문에 나머지 공주들은 중매결혼이지만 어느 정도 형식적으로나마 맞선, 데이트, 교제 등을 거쳤다. 나가코 황후는 딸들의 이런 과정을 적극 지지해 줄 정도로 깨인 모습을 보였으나, 큰아들 아키히토 황태자와 평민 여성 쇼다 미치코의 연애결혼에 대해서는 대단히 분노모순했다[16]. 작은아들 마사히토 친왕이 결혼할 때가 되자, 나가코 황후는 옛 화족 가문의 딸 츠가루 하나코(津輕華子)를 직접 작은며느리로 골랐다.

  • 차녀 히사노미야 사치코(久宮祐子) 내친왕(1927.9.10-1928.3.8): 병으로 요절. 나가코 황후는 직접 밤을 새워가며 사치코 공주를 간병하였지만 소용이 없었다. 생후 6개월의 아기였던 사치코 공주의 장례는 간소하게 치러졌고, 슬픔에 잠긴 나가코 황후는 한동안 아기와 같은 크기의 인형을 안고 지냈다고 한다.
  • 3녀 다카노미야 카즈코(孝宮和子) 내친왕(1929.9.30-1989.5.26): 다카츠카사 도시미치(鷹司平通)와 결혼. 자녀는 없다.
  • 4녀 요리노미야 아츠코(順宮厚子) 내친왕(1931.3.7-): 이케다 다카마사(池田隆政)와 결혼. 자녀는 없다.
  • 차남 요시노미야 마사히토(義宮正仁) 친왕(1935.11.28-): 츠가루 하나코와 결혼한 후 히타치노미야(常陸宮)라는 궁호를 받았다. 히타치노미야 마사히토 친왕은 형제들 가운데 유일하게 4년제 대학을 졸업한 사람이기도 하다. 자녀는 없다.
  • 5녀 스가노미야 타카코(淸宮貴子) 내친왕(1939.3.2-): 나가코 황후의 외사촌 남동생인 시마즈 히사나가(島津久永)와 결혼하여 1남을 낳았다. 5명의 딸들 중 유일하게 행복하게 살아간 인물로, 바로 위의 언니 이케다 아츠코와 정반대로 활달하고 떠들썩하며 나서기 좋아하는 성품이라고.

참고로 자녀들 중 평민과 결혼한 사람은 아키히토 덴노가 유일하다. 첫째 데루노미야 시게코 공주는 패전 이전에 방계 황족과 결혼했고, 나머지 공주들과 마사히토 친왕은 (패전 이후 신적강하를 당했지만) 옛 화족 가문의 자제와 결혼했다.

8 금슬

쇼와 덴노와의 금슬은 참으로 좋았다고 전해진다. 결혼 전부터 히로히토 황태자는 약혼녀 나가코 여왕과 처제들을 위해 선물을 준비했으며, 결혼 후에도 외출했다가 돌아올 때면 늘 아내를 위해 선물을 가져왔다고 한다.

결혼 초부터 당시의 남녀로서는 드물게 손을 잡고 산책하였고, 노후에도 나가코 황후가 거동이 불편해지자 쇼와 덴노가 부축하였다. 아침식사 때는 NHK 아침 드라마를 함께 시청하고, 궁성이나 황실의 별저를 함께 산책했다고. 식물을 좋아하는 쇼와 덴노는 늘 나가코 황후에게 설명하면서 걸었고, 갈림길에서 쇼와 덴노가 "나가미야(良宮)[18], 어느 쪽으로 갈까??" 라고 물으면 나가코 황후는 "오카미(お上)가 좋아하는 쪽으로요." 라며 대답했다고 한다.

나가코 황후의 여러 취미 중 하나는 장미를 심고 기르는 것이었는데, 손수 가지를 치고 잡초를 뽑으며 장미 정원을 가꾸었다고 한다. 쇼와 덴노는 "잡초라는 이름의 풀은 없다"며 황궁 정원의 이름 없는 풀들조차 함부로 뽑거나 솎지 못하게 했지만, 나가코 황후의 장미 정원만은 건드리지 않았다고 한다.

9 악독한 시어머니

큰아들 아키히토 황태자가 평민 여성 쇼다 미치코와 결혼하겠다고 하자, 나가코 황후는 대노하였다. 그녀는 아랫동서 지치부노미야 세츠코(秩父宮勢津子) 비[19]와 다카마츠노미야 키쿠코(高松宮喜久子) 비[20], 세츠코 비의 친정어머니 마츠다이라 노부코(松平信子)[21]와 노부코의 언니 나시모토 이츠코(梨本伊都子)[22], 다이쇼 덴노의 외사촌 여동생 야나기하라 뱌쿠렌 등과 똘똘 뭉쳐 반대 운동을 펼쳤다. 심지어 우익 측과 연합, 쇼다 가문에 혼약 사퇴를 강요하기도 했다.

그러나 결국 쇼다 미치코가 맏며느리로 시집오자, 나가코 황후는 그녀를 몹시 미워하여 호된 시집살이를 시켰다. 세츠코 비와 키쿠코 비는 시간이 지나면서 차츰 감정이 누그러져 미치코 황태자비와 친하게 지냈고, 특히 자녀를 낳지 못한 그녀들은 미치코 황태자비의 아이들을 친손주처럼 귀여워했다.[23] 그리고 나가코 황후의 장녀 히가시쿠니 시게코는 친정어머니와 달리, 평민 출신의 큰올케 미치코 황태자비를 지지해 주었다. 하지만 나가코 황후는 죽는 순간까지도 큰며느리를 그렇게 미워했다고 한다. 자세한 시집살이 이야기들은 미치코 황후/갖가지 시집살이 에피소드 항목을 참조.

오죽하면 "일본은 가장 못난 사람을 일본의 황후로 삼고, 진짜 황후감인 사람들은 한국(이방자)과 중국(사가 히로)으로 시집보냈다"라는 말도 있다. 이방자와 사가 히로의 모범적인 행적이, 고준황후의 이런 악행과 참으로 대비되기 때문.

10 가해자가 된 피해자

사실 나가코 황후도 며느리로서 호된 시집살이를 당했다. 그녀의 시어머니 공포 소설에서 나올 것 같은 사다코 태후화족쿠죠 가문의 딸이지만 서녀(庶女)였다. 이 때문에 황족 가문의 적녀(嫡女)인 맏며느리 나가코 황후에게 열등감을 느꼈다는 말도 있다. 아마 나가코 황후가 결혼 후 줄줄이 공주만 4명을 낳았던 것도 시집살이의 구실이 되었을 것이며, 또한 성장환경이나 성격의 차이 등으로 인한 갈등도 있었다고 한다. 사다코 태후의 시녀 다케야 츠네코(竹屋津根子)와 나가코 황후의 시녀 다케야 시게코(竹屋志計子)는 친자매였지만, 상전들의 고부 갈등으로 인해 서로 대화조차 나누기 어려울 지경이었다.

사다코 태후는 맏며느리를 꾸짖을 일이 있으면, 직접 꾸짖는 대신 시녀를 통하여 전달했다고 한다. 그러나 시종들이 고부 간의 갈등을 직접 목격한 일도 있었다. 다이쇼 덴노가 아직 살아있을 때였다. 히로히토 황태자와 나가코 황태자비는 하야마(葉山)에서 요양 중인 다이쇼 덴노를 문병했다. 나가코 황태자비는 시어머니 사다코 황후의 앞에서 긴장하여, 장갑을 낀 채로 물수건을 짜는 실수를 저질렀다. 사다코 황후"너는 무엇을 시켜도 못나게 구는구나!!"라며 시종들도 있는 자리에서 나가코 황태자비를 꾸짖었고, 나가코 황태자비는 아무 대꾸도 할 수 없어 잠자코 있었다. 이는 시종들에게 고부의 사이가 나쁘다고 광고한 꼴이 되고 말았다.

그러나 나가코 황후의 아랫동서 3명은 시어머니로부터 귀여움을 받았다. 사다코 태후는 둘째 며느리 세츠코 비, 셋째 며느리 키쿠코 비, 막내 며느리 미카사노미야 유리코(三笠宮百合子) 비[24][25]를 귀여워하여, 그녀들을 자주 초대해서 식사와 다과를 함께 했다. 특히 세츠코 비를 귀여워했는데, 세츠코 비는 매년 히나마츠리 때마다 시집올 적에 친정에서 가져온 히나 인형들을 장식해놓고 사다코 태후와 함께 감상하는 것을 즐거움으로 삼았다고 한다.

사다코 태후1951년 5월 17일 협심증으로 급서하자, 나가코 황후의 30년 가까운 시집살이도 비로소 끝이 났다. 그리고 그 시집살이는 미치코 황후를 이어 마사코 황태자비에게 대물림되고 있다. 그래서 시집살이 호되게 한 며느리가 시어머니 되면 무섭다는 거다 대물림되는 내리갈굼은 일반인이나 황족이나 다를 거 없는 거 같다 군대는 전역이라도 있고, 회사는 도저히 안 되면 깽판(…)치고 사표 쓰고 나오거나 하면 되지만, 이거는 죽을 때까지 평생이니(…) 왕족이라도 다 좋은 건 아닌가 보다

11 사망

_793266_nagako300.jpg
말년의 모습.이상용?

koujun.jpg
고쿄 조와덴(長和殿) 외부에 걸린 영정 사진.

파일:Attachment/고준황후/n8.jpg
증조할머니 나가코 태후의 장례식에 참석한, 가쿠슈인 초등과 3학년생 마코 공주와 가쿠슈인 유치원생 카코 공주.

2000년 6월 16일, 나가코 태후는 노환에 의한 호흡부진으로 사망했다. 향년 97세. 신화시대를 제외하면 역대의 황후들 중 최장 재위이며 최장수 기록이다. 시호는 고준황후이며, 나라 시대에 편찬된 한시집 <가이후소(懐風藻)>에 실린 시구에서 시호를 정했다.

이 장례식 때 미치코 황후마사코 황태자비 사이에 고부 갈등이 있었다. 미치코 황후상복이며 베일에 대해 이런저런 말을 했는데, 당시 유산 후유증이 남아있던 마사코 황태자비는 이에 대해 '시어머니가 황족들과 시종들의 앞에서 나를 질책했다!!'고 생각했다. 그녀는 주치의와 상담할 때, 이 일로 몹시 상처받았다는 말을 했다고 한다. 마사코 황태자비유산 후유증 때문에 시할머니 나가코 태후의 장례식에 참석하지 못했다고 알려졌으나, 사실 고부갈등 탓도 있지 않느냐는 추측이 있다.
  1. 일본 황실에서 덴노손녀까지는 내친왕(內親王), 증손녀부터는 여왕이라 한다. 현행 황실전범이 제정된 1947년 이전에는, 고손녀까지를 내친왕이라 하고 5대째 손녀부터 여왕이라 했다고. 남자는 친왕/왕.
  2. 구니노미야 아사히코(久邇宮朝彦) 친왕의 3남이다. 이방자 비의 친정아버지 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梨本宮守正) 왕(4남), 아사카노미야 야스히코 왕(8남),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 왕(9남) 등이 그의 남동생들이다. 쿠니요시 왕의 죽음에 관해서는 독립운동가 조명하 의사 항목을 참조. 조명하 의사에 관한 네이버캐스트 게시물이다.
  3. 참고로 邦彦이란 이름을 쓰는 사람들은 보통 '쿠니히코'라고 읽는다.
  4. 사츠마의 제12대 영주. 다다요시는 폐번치현과 화족 제도의 실시 후 공작의 작위를 받았다.
  5. 다이쇼 덴노의 차남. 훗날의 지치부노미야 야스히토 친왕.
  6. 특히 오오타니 사토코는 패전 후 전일본불교부인연맹 회장으로서 이방자 비와 함께 활동했고, 이후에도 이방자 비의 자서전에 서문을 쓰는 등 이방자 비와 여러 차례 교류를 했다. 한편 사토코의 아들 오오타니 고쇼(大谷光紹)와 나가코 황후의 3녀 다카노미야 카즈코 공주는 훗날 약혼을 했지만 이는 곧 파기되었고, 카즈코 공주는 다카츠카사 도시미치(鷹司平通)에게 시집갔다.
  7. 이름은 아사코(夙子). 데이메이 황후에게는 고모이자 시할머니가 된다. 두 딸 요리코(順子) 내친왕과 후키노미야(富貴宮) 내친왕을 낳았으나 일찍 죽었고(각각 2살과 1살), 고메이 덴노의 측실 나카야마 요시코(中山慶子)의 아들 사치노미야 무쓰히토 친왕양자입양했다.
  8. 본래 이름은 마사코(勝子)였으나, 결혼하면서 하루코(美子)로 개명했다. 자녀는 낳지 못했다.
  9. 1947년 신적강하 이후로, 황족의 신분을 잃고 평민이 되었다(이치죠 도키코 → 후시미노미야 도키코 왕비 → 후시미 도키코).
  10. 단, 이때는 A급 전범들이 합사되기 전이라 지금 정도로 뜨거운 감자가 되지는 않은 상황이었다. 나중에 A급 전범들이 합사되었다는 소식을 들은 쇼와 덴노는 격노하여, 다시는 야스쿠니 신사를 찾지 않았다. 당시엔 전쟁이 끝난지 얼마 안되었기 때문에 일본은 여전히 전범이라는 꼬리표가 따라다녔고 지금도 미국의 영향력이 막강했다. 헌데 그 미국을 공격하고 아시아 전체를 쑥대밭으로 만들어버린 A급 전범들을 옹호했었다가는 유엔 헌장 53조, 107조에 의거하여 미국이 일본을 재차 공격하여 없애버렸을지도 모른다. A급 전범 합사 이후 처음으로 참배했던 나카소네 야스히로 총리는 1985년 패전 40주년 기념으로 아무 생각 없이(…) 야스쿠니 신사에 갔다가, 아시아 전체가 격노하는 상황에 매우 기겁하였다. 그 후로 그는 다시는 야스쿠니 신사에 가지 않았고, 각료들에게도 "야스쿠니 신사에 가려거든 절대 개인 자격으로만 가라."고 엄명을 내릴 정도였다.
  11. 뒤에 부부가 함께 꿔다 놓은 보릿자루처럼 있는 마사히토 친왕의 양복 행커치프를 보면 뒤집힌 사진이다.
  12. 도쿠가와 가문 출신이며, 시어머니 기타시라카와 후사코(北白川房子)는 메이지 덴노의 7녀이다. 딸 기타시라카와 하츠코(北白川肇子)는 출생 직후(1939년)부터 장래의 황태자비로 물망에 올랐으나 평민 쇼다 미치코에게 밀려 탈락, 나가코 황후의 외가인 시마즈 가문으로 시집갔다.
  13. 일본 황실에서는 매년 12월에 직계 가족들끼리 모여 가족사진을 찍는다.
  14. 일본 황실에서 일부일처제가 확립되기 시작한 것은 다이쇼 덴노 때로(데이메이 황후가 아들만 4명을 낳아서), 이게 법제화된 건 쇼와 덴노 때다. 그러니까 이 말이 나왔을 때는 아직 일부일처제가 확고하지는 않았을 때다.
  15. 유모를 두긴 하였으나 수유도 가능한 나가코 황후가 직접 하였다고.
  16. 말이 평민이지, 닛신(日淸) 제분이라는 대기업 회장의 장녀이며 외가는 옛 화족 소에지마(副島) 가문이다.
  17. 쇼와 덴노의 고모부이자, 나가코 황후의 숙부이다.
  18. 황족 가문의 딸로 태어난 여성을 부르는 이름. 이름 뒤에 "미야(宮)"을 붙이며, 높여 부를 때는 그 뒤에 "사마(樣)"를 붙인다. 예를 들어, 나가코 황후의 사촌 언니 이방자(李方子) 비는 "마사미야(方宮)", "마사미야사마(方宮樣)"라고 불렸다. 반면 화족 가문의 딸로 태어난 여성에게는 "기미(君)"를 붙인다. 이방자 비의 친정어머니 나시모토 이츠코(梨本伊都子)는 "이츠기미(伊都君)", "이츠기미사마(伊都君樣)"라고 불렸다.
  19. 아이즈 번의 다이묘 마츠다이라 카타모리의 손녀로, 이방자 비의 이종사촌 여동생이다.
  20. 마지막 쇼군도쿠가와 요시노부손녀로, 외가는 방계 황족인 아리스가와노미야 가문이다.
  21. 이방자 비의 이모이다. 가쿠슈인 동창회장을 지내며 옛 황족 및 화족들의 우두머리로 군림하였고, 궁정 내에서 막강한 권력을 휘둘렀다. 노부코 또한 나가코 황후와 마찬가지로, 죽는 순간까지 미치코 황태자비를 미워했다.
  22. 이방자 비의 친정어머니. 이츠코는 거의 평생에 걸쳐 일기를 썼는데, 당시 일기에는 "이제 일본도 다 끝났구나!!"라고 썼다.
  23. 키쿠코 비는 어린 시절 친정어머니 미에코(實枝子)로부터 배운 '아리스가와 류 서도'를 미치코 황태자비의 자녀들에게 가르치기도 했다.
  24. 미카사노미야 다카히토 친왕의 아내. 화족 다카기 마사나리(高木正得) 자작의 차녀. 자녀를 낳지 못한 둘째 형님 세츠코 비, 셋째 형님 키쿠코 비와 달리, 3남 2녀를 낳았다. 그러나 세 아들 모두 부모보다 먼저 죽고 말았다. 친정아버지 마사나리는 패전 후 화족의 지위와 재산을 잃고 어려움을 겪다 자살했다.
  25. 유리코 비의 외삼촌 이리에 스게마사(入江相政)는 문학가 야나기하라 뱌쿠렌의 언니인 이리에 노부코(入江信子)의 3남으로, 쇼와 덴노의 시종장을 지냈다. 스게마사는 이때 보고 들은 궁중의 일들을 기록했는데, 이 궁중일기는 꽤 유명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