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카

1 고대 중앙아시아의 유목민

Sakā (고대 페르시아어)
Sacae (라틴어)
शक (산스크리트어, "사카")
塞 (한자, "변방 새")

사카란 원래 아케메네스 왕조 시절 페르시아인들이 스키타이인들을 부를 때 쓰는 말이었다. 당시 스키타이계 종족들은 현대의 우크라이나에서 우즈베키스탄에 이르기까지 광활한 스텝 지역 곳곳에 흩어져 있었는데, 페르시아인들은 이들을 모두 사카라고 불렀다. 후대의 그리스 로마 역사가들은 이들을 구분하여 서쪽인 우크라이나 지역에 있던 이들을 스키타이, 동쪽인 중앙아시아에 있었던 이들을 사카라고 하였다. 하지만 사카라는 것이 특정 부족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스텝 지대에 살던 여러 유목민 부족들을 모두 뭉뚱그려 부른 것이기 때문에 그들이 모두 스키타이 계열이나 이란어족이라고 단정짓기는 어렵다.

이들은 아케메네스 왕조나 파르티아에 정복되지 않고 자기들끼리 잘 살았다. 키루스 2세가 사카의 일파로 추정되는 마사게타이와의 전쟁에서 전사한 적이 있는 반면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침공 당시 가우가멜라 전투에서는 사카 족의 카타프락토이가 페르시아 측에 서서 싸웠다.(확실히 확인된것인 아니지만 올리버 스톤의 알렉산더 영화에서 나오는 베수스가 입고있던 기병 갑옷복장도 사카나 사르마티아 중장갑 기병의 복장으로 추정된다.) 파르티아가 세력을 펴기 시작한 BC 2세기 경에는 중앙아시아에서 밀려난 대월지가 서쪽으로 쳐들어왔는데, 여러 사카 부족들이 대월지의 압박으로 남쪽으로 밀려났다. 그 와중에서 박트리아 왕국이 붕괴되었고, 파르티아도 왕이 전사하는 등 피해를 입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카 족은 이후 인도 방향으로 이동하여 정착하였다. 이들을 인도-사카, 그 땅을 사카스탄이라고 하였는데, 현대 이란파키스탄 접경지대인 시스탄-발루치스탄 지역이다. sistan은 sakastan이 변형된 것이다. 이후 이들의 운명은 확실치 않다. 기원후 1세기 경에 해당 지역에 곤도파레스 왕조, 혹은 인도-파르티아 왕조가 들어섰으며, 대부분의 인도-파르티아와 인도-사카 세력은 이후 서서히 파르티아와 사산 왕조에 복속되어 페르시아화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중앙아시아에 잔류한 세력이 있을 수 있지만, 에프탈의 침입에 이어 5세기 이후 튀르크인들이 전 중앙아시아를 석권했으므로 그 물결에 휩쓸려 사라졌을 가능성이 높다.

2 일본성우

사카 오사무 항목을 보라.

3 이나즈마 일레븐대사

사카 야로제 항목을 보라.

4 사운드 카드의 줄임말

사운드 카드 항목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