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푸르 1세

사산 왕조의 역대 황제
초대 아르다시르 1세2대 샤푸르 1세3대 호르미즈드 1세

사산 왕조황제. 제위기간 242-272년

로마 황제를 포로로 잡아들이고 굴복시킨 샤한샤
페르시아의 재부흥을 일궈낸 명군
사산 왕조태종[1]

1 외치

이 시기 사산 페르시아는 로마 제국과의 전쟁이 지속되었는데, 재위 초기에 군대를 보내 시리아 일대를 공략하였지만 고르디아누스 3세의 선방에 막혀 실패한다.

이후 로마와 한동안 평화를 지속하다 로마가 게르만족의 침략으로 혼란에 빠지자 로마 제국의 동쪽 국경을 공격하여 아르메니아를 점령하고, 253년에는 시리아의 안티오크를 약탈하였다. 결국 로마 황제 발레리아누스는 직접 군대를 이끌고 점령당한 지역을 수복하기 위해 시리아로 향하였다.

Shapour%20the%20Great%20Sassanid,%20Valerian,%20Senator,%20Savar%20&%20Female%20Sardar.jpg

그러던 중 260년 에데사에 머무르던 발레리아누스의 군대 내부에 전염병이 돌기 시작하였다. 전투력을 상실한 로마군은 페르시아군과 휴전협상을 시도하였다. 이 때 계략을 사용하여 샤푸르 1세는 발레리아누스를 포로로 잡는 엄청난 성과를 거두었다.[2] 반대로 말하자면 로마 입장에서는 역사상 황제가 적국에게 최초로 포로가 된 엄청난 치욕인 셈이다.

이후 온갖 능욕[3]을 다 당한 발레리아누스는 260년 말 무렵에 옥사한다. 샤푸르 1세는 발레리아누스의 시신을 돌려보내거나 안장하지 않고 가죽을 벗겨 주황색 염료로 염색된 상태에서 속에는 지푸라기로 채워서 박제되어 신전에 전시했다. 페르시아판 고인드립 이는 승리를 영원히 기념하기 위함과 동시에 로마 사신들에게 공개적으로 보여줌으로써 모욕감을 느끼게 하는 용도로 이용되었다. 단, 이것은 과장 또는 날조로 실제로는 홧병으로 사망했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실상 황제가 그 정도로 가혹하게 당했다면 로마 측에서도 나중에 국가를 재건한 뒤 정식으로 문제 삼던지, 보복할 때 명분으로라도 썼을 텐데 그런 사례가 전혀 없다.

어쨌든 샤푸르 1세는 바위 절벽에 이러한 업적을 기념하는 부조를 크고 아름답게 새겨넣었다. 이 부조에는 납치 후 휴전조약을 체결한 필리푸스 아라부스도 쌍으로 엮여서 까이고 있다(...). 참고로 역대 페르시아 황제들이 즐겨 하던 행동으로 큰 업적을 기리기 위해 이러한 부조를 많이 만들었다.

2 내정

이후 샤푸르 1세는 군데샤푸르의 대도시를 수사 부근에 건설하고 사로잡은 포로를 사역하여, 카른 강을 막아서 유명한 농경용 수리 공사를 완성하였다. 이는 페르시아 관개농업의 기초가 되었다. 외정과 내치면에서 훌륭한 면모를 보여준 사산 왕조의 몇 안되는 명군이였다. 그런데 이런 황제가 얼마 없었다는게 문제지...

종교적인 성향으로는 한때 마니교를 비호하기는 했지만 얼마안가 조로아스터교를 신봉한다.
  1. 사실 아시아 왕조의 태종과 샤푸르 1세는 공통점이 많다고 볼 수 있다. 원래 정식 후계자 아니었다가 왕이 된점, 외치와 내치에 성공을 거둔 점, 태조의 사후 직후 또는 얼마 되지 않아 즉위한다는 점 등이 있다. 즉 국가를 직접 세우지는 않았지만 그에 준하는 업적을 세운 왕에게 태종이라는 묘호를 준다는 점에서 샤푸르 1세는 거기에 걸맞는 왕이기도 하다.
  2. 당시 경호병력을 최소화하자는 조건을 내걸었는데, 이러한 조건을 충실히 이행한게 발레리아누스에게는 크나큰 실책이였다.
  3. 황제(샤푸르)가 말을 탈 때의 인간 디딤돌(...)로 쓰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