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종

1 묘호의 한 종류

1.1 개요

太宗. 일반적으로 국가의 기틀을 다진 황제에게 붙이는 묘호. 국가를 창건했기 때문에 붙는 태조란 묘호와 다른 점은 국가의 창건자는 아니라는 점이다. 하지만 사실상 국가의 창건자에 준하는 공적을 세워야 받을 수 있는 묘호다.

대부분 건국 초기의 극심한 혼란을 수습하고 나라를 안정궤도에 올려놓아 이후 수백년간 왕조가 지속될 수 있는 기반을 굳건히 한 군주에게 태종이라는 묘호가 붙다. 만만치 않은 반대세력을 굴복, 제거시키는 과정에서 숙청 등 상당한 진통을 겪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태종이란 묘호를 가진 군주는 대체로 강한 의지를 지닌 파워풀한 군주라는 인상이 강하다. 또 태종이란 묘호를 받은 군주들은 명군이라 평가받는 군주들이 많은 편이다.

보통 창건자인 태조의 아들인 군주에게 태종이라는 묘호가 붙는 경우가 많은데, 그 이유는 왕조의 창건시 태조와 함께 국가 창건에 큰 공을 세운 경우가 많은데다가 왕조의 창건자가 세상을 떠난 후에 흔히 야기되는 혼란을 수습하고 왕조가 계속 이어질 수 있도록 교통정리 및 왕조의 체제를 제대로 형성해야 하는 막대한 책무가 이 2세대 임금에게 부여되기 때문이다. 창건자가 어렵게 나라를 세웠더라도 그 아들 세대에서 왕조를 유지하지 못하고 멸망한 사례[1]가 비일비재하다. 실제 태종의 묘호를 받은 군주 중에는 왕조 초기의 불안정한 상황에서 쿠데타를 일으켜 스스로 왕위에 오르고 강력한 왕권을 구축하여 나라를 안정기에 올려 놓은 경우도 적지 않다. 그래서 반드시 제2대 임금이라고 태종이라는 묘호를 받는 것은 아니며, 다른 묘호를 받는 경우도 많다.

또한 앞서 설명한 이유로 인해 제3대 임금이나 그 다음대의 임금도 태종의 묘호를 받을 수 있다. 당장 통일신라태종 무열왕도 그런 사례며, 조선 태종도 해당된다. 다만, 태종 무열왕의 경우는 묘호 자체가 원래 중국의 제도고 신라 초기에는 서해안에 항구가 없어 중국과 본격적으로 교류를 할 수 없었기 때문에 김춘추 시대에 새로 도입한 것에 가깝고 이방원의 경우에는 사실 전임 군주인 정종이 숙종 때까지도 묘호를 받지 못한 군주였다는 것을 생각하면 사실상 조선의 2대 국왕 자격으로 태종이라는 묘호를 받은 셈이다.

태종의 묘호를 받은 많은 군주들 중에 아버지가 정한 후계자를 죽이고 즉위한 사람이 셋이나 된다(...)다만 그런만큼 능력도 먼치킨. 당 태종 이세민, 조선 태종 이방원, 명 영락제 주체[2]가 그들이다. 그리고 송 태종의 경우 즉위 과정이 굉장히 미심쩍다. 해당 항목 참고.

사산 왕조에도 비슷한 왕이 있었다 한다. 하지만 동아시아의 군주가 아니기에 태종이란 묘호를 받지는 않았다.

1.2 역대 군주

성명묘호시호재위기간비고
김춘추(金春秋)신라태종(新羅太宗)무열왕(武烈王)654~66129대 왕
이방원(李芳遠)조선태종(朝鮮太宗)성덕신공건천체극대정계우문무예철성렬광효대왕
(聖德神功建天體極大正啓佑文武睿哲成烈光孝大王)
1400~14183대 왕
조비
(曹丕)
조위태종
(曹魏太宗)[3]
문황제
(文皇帝)
220~226
자지(子至)태종(商太宗)-BC 1582~BC 15714대 왕
유항(劉恆)태종(漢太宗)효문황제(孝文皇帝)BC 180~BC 1575대 황제
사마욱(司馬昱)동진태종(東晉太宗)간문황제(簡文皇帝)371~3728대 황제
이웅(李雄)성한태종(成漢太宗)무황제(武皇帝)304~334초대 황제
장무(張茂)전량태종(前涼太宗)성왕(成王)320~3243대 왕
부등(苻登)전진태종(前秦太宗)고황제(高皇帝)386-3943대 황제
석구멱(石寇覓)후조태종(後趙太宗)효황제(孝皇帝)-후조태조(後趙太祖) 추존
유욱(劉彧)유송태종(劉宋太宗)명황제(明皇帝)465~4726대 황제
소강(蕭綱)소량태종(蕭梁太宗)간문황제(簡文皇帝)549~5512대 황제
탁발사(拓跋嗣)북위태종(北魏太宗)명원황제(明元皇帝)409~4232대 황제
이세민(李世民)태종(唐太宗)문무대성대광효황제(文武大聖大廣孝皇帝)626~6492대 황제
성라피(盛羅皮)남조태종(南詔太宗)위성왕(威成王)-5대 귀의왕(歸義王) 피라각(皮羅閤) 추존
조광의(趙匡義)태종(宋太宗)지인응도신공성덕문무예렬대명광효황제
(至仁應道神功聖德文武睿烈大明廣孝皇帝)
976~9972대 황제
이덕명(李德明)서하태종(西夏太宗)광성황제(光聖皇帝)-서하경종(西夏景宗)이 추존
야율덕광(耶律德光)태종(遼太宗)효무혜문황제(孝武惠文皇帝)927~9472대 황제
단사량(段思良)대리태종(大理太宗)성자문무황제(聖慈文武皇帝)946~9513대 황제
완안성(完顏晟)태종(金太宗)체원응운세덕소공철혜인성문렬황제
(體元應運世德昭功哲惠仁聖文烈皇帝)
1123~11352대 황제
패아지근와할태(孛兒只斤窩闊台)태종(元太宗)영문황제(英文皇帝)1229~12412대 황제
주체(朱棣)태종(明太宗)[4]체천홍도고명광운성무신공순인지효문황제
(體天弘道高明廣運聖武神功純仁至孝文皇帝)[5]
1402~14243대 황제
오응웅(吳應熊)오주태종(吳周太宗)효공황제(孝恭皇帝)-오세번 추존[6]
애신각라황태극(愛新覺羅皇太極)태종(淸太宗)응천흥국홍덕창무관온인성예효경민소정륭도현공문황제
(應天興國弘德彰武寬溫仁聖睿孝敬敏昭定隆道顯功文皇帝)
1627~16432대 황제
이불마(李佛瑪)리태종(李太宗)개천통운존도귀덕성문광무숭인상선정리민안신부용견체원어극억세고공응진보력통현지오흥륭대정총명자효황제
(開天統運尊道貴德聖文廣武崇仁上善政理民安神符龍現體元御極億歲功高應眞寶歷通玄至奧興隆大定聰明慈孝皇帝)
1028~10542대 황제
진경(陳煚)[7]쩐태종(陳太宗)통천어극융공무덕현화우순신문성무원효황제
(統天御極隆功茂德顯和佑順神文聖武元孝皇帝)
1225~1258초대 황제
여원룡(黎元龍)후레태종(後黎太宗)계천체도현덕성공흠명문사영예인철소헌건중문황제
(繼天體道顯德聖功欽明文思英睿仁哲昭憲建中文皇帝)
1433~14422대 황제
막등영(莫登嬴)막태종(莫太宗)흠철문황제
(欽哲文皇帝)
1530~15402대 황제
완빈(阮瀕)응우옌태종(阮太宗)선위건무영명장정성덕신공효철황제
(宣威建武英明莊正聖德神功孝哲皇帝)
1648~16874대 황제

2 이사부의 다른 이름

신라장군 이사부(異斯夫)의 다른 이름으로 한자는 苔宗.

태(苔)는 잇(이끼), 종(宗)은 부(남자)에 해당하는 말이다. 고로 널리 알려진 이사부는 신라어의 음을 따서 쓴 이름이고, 태종은 신라어의 뜻을 따서 쓴 이름이 된다. 의미는 이끼남(...). 당시 신라 인물들은 삼맥종(심맥부), 세종(노리부) 등 이런 식으로 표기가 현대 일본어처럼 음 표기와 훈 표기로 나뉘었다.
  1. 이런 경우 말제라 불린다
  2. 처음엔 태종의 묘호를 받았지만 나중에 성조(成祖)로 바뀌었다.
  3. 링크 참조.
  4. 이후 성조(成祖)로 고침
  5. 이후 계천홍도고명조운성무신공순인지효문황제(啓天弘道高明肇運聖武神功純仁至孝文皇帝)로 고침
  6. 오삼계의 아들로 그의 서자이다.
  7. 베트남 쩐(陳) 왕조의 시조. (재위 1225∼1258) 본명쩐까인(陳煚). 리 왕조 8대 황제의 외척 출신. 종숙 쩐투도(陳守度)가 리 왕조를 멸망시키자 쩐 왕조를 세우고 그 제위를 얻었다. 중국을 본떠 과거제도를 실시하고, 몽골()의 침공을 격퇴하는 등의 업적(쩐흥다오 항목 참조)을 남겼다. 레반흐우(黎文休)에 의해 베트남 최초의 역사서 《대월사기(大越史記)》가 이 때부터 기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