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떨림 보정

1 개요

손떨림(수전증)으로 인해 작업 결과물(이미지, 영상)가 번지거나 퀄리티가 무너지는 것을 자제시키는 기능이다. 주로 사진이나 그림 작업에서 요구된다. 흙손에게는 신이 내린 축복.

흔히 캐논 카메라의 Image Stabilization, 스마트폰의 OIS(Optical(광학식) Image Stabilization)라는 용어로 일상에서 접한다. '손떨림 방지' 소위 '손떨방'이라는 축약어로도 익숙하다. 다만 짚고 넘어가자면 손떨림방지가 아니고 손떨림보정이다. 방지(prevent)는 그 어떠한 경우에도 이미지 상에 떨림이 없어야 하며, 보정은 말 그대로 이미지 상에 나타나는 떨림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2 촬영시 카메라의 기능

소니 a7m2 의 스테디샷(OIS, 5축) 작동 영상 (몇 축을 지원하느냐에 따라 효과가 달라진다.)

주로 저속셔터에서 카메라를 잡은 손의 흔들림을 보정하여 조금 더 나쁜 상황에서도 흔들림 없는 사진을 얻어내도록 하는 보조 기능이다. 기본적으로 손의 떨림의 반대 방향으로 센서나 렌즈의 상을 이동시켜 움직임을 상쇄시킨다.

기본적으로 광학적 기술로써, 필름 시대에는 렌즈에 별도 광학군을 증설, 그 광학군을 이동시켜 떨림을 보정하는 렌즈 구동식(Optical Image Stabilization)[1]만이 존재[2]했다. 이 방식은 뷰파인더에서 떨림 보정을 확인할 수 있어 구도를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고, 최근 대두되는 DSLR/미러리스의 동영상 촬영에서도 바디에 별다른 부담을 주지 않는 장점이 있다. 장점으로는 떨림보정이 확실하며 바디 손떨림보다 성능이 더 좋다. 어느정도냐면 70-200mm렌즈로 1/30~60로 찍어도 문제없을정도. 또한 광각렌즈가 아닌 이상 떨림이 확실히 나기에 손떨림 보정기능이 있는 렌즈를 쓰면 촬영하기 수월하다. 손떨림으로 인해 구도 변화 및 문제가 생기는 걸 막을수 있다. 단점으로는 렌즈가 커져야하기에 크기가 커지고 비싸진다는 단점과 손떨림보정기능이 없는 렌즈는 손떨림보정 효과를 전혀 못받는 점이다. 예전에는 몇몇 화각의 렌즈들에 손떨림보정기능을 못넣는 걸 보면서 기술이 딸리나 보다 했지만 탐론에서 24-70, 15-30에 엄연히 손떨림보정기능을 넣으면서 가격은 훨씬 싼걸 보면 캐니콘이 일부러 비싸게 파는 거다...그런데, 탐론 렌즈는 그것과 상관없이 그냥 싸지 않나?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센서 또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센서의 위치를 변경시켜 떨림을 보정하는 센서 쉬프트 방식의 광학식 보정 방법도 존재한다.[3] 이 방식은, 해당 마운트의 모든 렌즈[4]에 손떨림 보정 기능을 부여하고 여러기능들을[5] 쓸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올림푸스나 소니, 파나소닉의 5축 손떨림보정 외에는 뷰파인더에서 효과를 확인할 수 없고[6] 동영상에서의 IS지원도 기술적으로 어려워진다는 단점이 있다. [7][8] 또다른 단점으로는 렌즈내에서 보정되는 손떨림보다는 떨어진다는 것이다. 렌즈야 좀 크게 만들어서 4스탑 보정이 가능해지지만 바디의 경우 더 커져야 한다는 단점과 바디자체내에서 손떨림 보정 성능이 렌즈보다는 떨어진다.[9] 단, 올림푸스가 최초로 선보인 5축 손떨림보정의 성능은 바디 내 손떨림보정이면서도 웬만한 렌즈 내 손떨림보정보다 높은 능력을 발휘한다. [10]

5축 손떨림보정이란 기존의 손떨림 보정이 요우(Y축 방향 회전)와 피치(X축 방향 회전)이라는 두 가지 회전에 대한 보정이었던 것에 상하좌우의 시프트(Y축과 X축 방향으로의 직선운동) 보정과 롤(Z축 방향 회전)에 대한 보정을 추가한 것이다. 상하좌우의 직선운동에 대한 보정은 근접(마크로) 촬영을 위한 보정 기능인데, 5축 손떨림보정을 잘 모르는 사람들이 기존의 2축 보정이 이 상하좌우의 직선운동에 대한 보정이라고 착각하는 경우가 있다. 기존의 2축은 상하좌우의 직선운동이 아니라 요우와 피치라는 두 가지 회전운동이므로 착각하지 않도록 주의하자. 5축 손떨림보정을 간략화한 3축 손떨림보정이라는 것도 존재하는데 이것은 상하좌우의 직선운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제거하여 저가화한 것이다. 올림푸스에 이어 소니도 A7 II에서부터 5축 손떨림보정을 채택하고 있는데, 구형 수동 렌즈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하좌우의 직선운동에 대한 보정이 불가능하므로 3가지 회전운동에 대한 보정만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SLR 클럽 등의 리뷰에서는 5축 손떨림보정에 대한 몰이해로 인해 구형 수동 렌즈 사용시 상하좌우 직선운동과 롤 방향 회전운동에 대한 보정만 이뤄진다는 잘못된 설명을 해 놓고 있으므로 그대로 믿지 않도록 주의하자. 3축 손떨림 보정에는 직선운동에 대한 보정은 포함되지 않는다.)
파나소닉은 GX85부터 5축 손떨림보정을 지원하며, 4K영상촬영에서도 지원한다.(5축 손떨림보정+디지털손떨림보정)

위의 두 방법 이외에, 주로 저가형 디지털 카메라에서 이용되는 방식으로 디지털 방식이 있으나, 이는 그저 감도를 끌어올리고 셔터속도를 빠르게 하여 흔들림을 예방하는 것 또는, 센서의 외곽 부분을 일부러 이용하지 않아 그 부분을 마치 센서 쉬프트 보정 방식에서 센서가 움직이는 범위처럼 활용하는 꼼수가 존재하나, 두 방식 모두 광학식에 비하면 병맛이다.[11]
하지만 근본적으로 손떨림 보정을 탑재하기 힘든 스마트폰 등에서는 이러한 소프트웨어적인 보정이 유용하게 쓰이고 기술적으로도 많이 개선되어 예전처럼 안습이라고 할만한 수준은 이미 지났다. 2010년대 초중반부터 출시되는 고급 스마트폰에는 광학식 손떨림 보정 기능이 탑재되기도 한다.

웹에서는 '손떨림 방지'라는 이상야릇한 용어로 혼동을 불러오나 손떨림 보정은 손떨림을 줄여 주는 것이지 아주 없앨 수는 없으며, 결정적으로 빠르게 움직이는 피사체에 대해서는 지극히 취약하다.


렌즈교환식 제품군 기준으로 현존하는 손떨림 보정 기능의 명칭은 다음과 같다.

  • 렌즈 구동식
캐논: Image Stabilizer (IS)
니콘: Vibration Reduction (VR)
탐론: Vibration Compensation (VC)
시그마: Optical Stabilization (OS)
삼성전자: 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
소니: Optical SteadyShot (OSS)[12]
파나소닉: Mega/Power Optical Image Stabilization (Mega/Power O.I.S)
  • 센서 쉬프트 방식
미놀타: Anti Shake (AS)[13][14]
소니: SuperSteadyShot (SSS)
올림푸스: Image Stabilization (IS)
펜탁스: Shake Reduction (SR)
파나소닉: Dual IS[15]

3 드로잉시 그래픽 소프트웨어의 기능

SAI, 망가 스튜디오를 비롯한 몇몇 드로잉 소프트웨어에 있는 기능으로, 타블렛을 이용한 드로잉 시 손의 흔들림으로 인해 삐뚤빼뚤해진 선을 보정하여 매끄럽게 해 주는 기능이다. 다만 이 보정을 너무 심하게 설정할 경우 컴퓨터로 보정된 획일화된 선만 나오기 때문에 소위 손맛(…)이 느껴지는 선의 느낌을 낼 수 없어 일부 작가들은 사용하지 않기도 한다.
  1. 캐논과 니콘이 사용하는 방식, 렌즈 메이커인 시그마와 탐론도 이 방식이다.
  2. 공돌이 집단 미놀타는 필름실 자체를 흔들어 보정하는 방식을 개발하려 했다 카더라는 썰이 있다. 이게 헛말은 아니었는지 디지털 시대로 넘어와서는 CCD와 렌즈군을 포함한 광학계 전체를 흔들어서 보정하는 방식을 개발했다. 정작 제품 자체는 망했어요.
  3. 혼동할 수도 있지만, 센서 쉬프트 방식은 분명 광학식 보정이다. 소니, 펜탁스, 올림푸스가 이 방식을 쓰고 있다.
  4. 펜탁스와 올림푸스, 그리고 소니의 일부 제품(A7 II, A7R II, A7S II)는 수동렌즈에 대해서도 초점거리 수동입력에 의한 보정기능의 최적화를 지원한다.
  5. 먼지털이, 수직수평 맞춤, 구도등이 있고 펜탁스는 아예 천체사진을 찍을 수 있게 하는 기능도 있다... 최근에는 올림푸스와 펜탁스에서 센서를 미세하게 움직여서 중형급 화소와 화질로 높이는 기능이 탑재됐다.
  6. 근데 감으로 익혀버리면 별차이 없다. 올림푸스와 파나소닉은 전자석을 이용하여 센서를 공중에 띄워서 지속적으로 떨림을 보정하는 방식이므로 렌즈 내 손떨림 보정과 마찬가지로 손떨림 보정되는 것을 뷰파인더해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렌즈 광축 방향으로 회전하는 떨림에 대한 보정도 가능하다. 소니 알파 7II에서 채택된 방식도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방식이므로 뷰파인더에서 확인할 수 있다.
  7. 렌즈손떨림에 비하면 전력을 더 많이 먹지만 별차이는 없다.
  8. 소니 SLT제품군은 그래서 바디의 SSS를 작동시키면 몇 분 내로 센서가 과열되어 촬영이 불가능하다. 허나, 펜탁스와 올림푸스의 DSLR은 동영상 촬영시 이 기능이 문제 없이 작동한다. 정확하게, 소니 SLT 제품군의 SSS 기능은 마그네틱 서보가 아니라 다른 방식으로 센서를 움직인다. 덕분에 해당 메카닉의 발열량이 엄청나게 높아져 센서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 반면 마그네틱 서보를 사용하면 전자석에 의한 공중부양을 통해 센서 위치를 조절하기에 높은 전력도 필요없고 의외로 높은 정밀도의 보정이 가능해진다.어쨌든 최신형 SLT들은 이러한 문제가 해결되었으나 소니가 미러리스를 주력으로 밀겠다고 선언하는 바람에 소니도 결국 렌즈 내 손떨림 보정을 주로 사용하게 되어 E 마운트의 APS-C 렌즈들은 손떨림 보정 기능을 내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후 풀프레임 미러리스인 알파 7 II를 내놓으면서 소니는 다시 바디 내 손떨림 보정으로 돌아가기 시작하였다.
  9. 특히 망원에서 두드러지는 요소인데 최대한 앞에 손떨림보정기가 있을수록 보정 능력이 훨씬좋다. 어떤 렌즈는 아예 맨앞에 존재하기도 하는데 이 렌즈는 초망원렌즈.
  10. 허나 이 올림푸스조차도 망원렌즈에도 손떨림보정장치를 넣었다. 300mm f/4라는 초망원렌즈로 올림푸스에 따르면 망원렌즈는 오히려 렌즈내 손떨림방지기능이 훨씬 효율적이라고 판단하여서 그렇게 하였다고 한다.
  11. 주로 자이로센서를 사용해 셔터개방시간동안 센서위치가 어느정도 변했는지를 계산, 이동거리에 따라 blur 현상이 발생한 이미지의 픽셀들을 쉬프트!!!! 해서 보정한다. 여담으로 최정상급 전자식 손떨림 보정 기술력을 가진 회사는 카메라 회사가 아닌 애플이다.
  12. E마운트 제품군은 바디의 SSS를 포기한 대신 렌즈에 탑재한다.
  13. 최초로 개발된 센서 쉬프트 방식 손떨림 보정기구이며 DSLR이 아닌 하이엔드 카메라 디미지 A1에 가장 먼저 적용되었다. 여담으로 미놀타가 센서 쉬프트 방식을 개발하게 된 이유는 디미지 7 시리즈에 탑재된 GT렌즈의 화질을 떨어뜨리지 않는 손떨림 보정기구를 만들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렌즈 내 손떨림 보정일 경우 크든 작든 화질의 저하는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14. 그러나 그 시초는 필름 카메라 시절부터 이어져오는데, 미놀타가 필름 카메라 시절 필름이 움직이는 필름 쉬프트를 개발하다가 필름이 원체 커서 포기했던 것을 디지털 쪽에서 다시 만든 것이다. 그래서 미놀타의 알파렌즈에는 손떨림 보정기능이 없다.
  15. 렌즈에 들어가는 Mega/Power O.I.S의 2축 광학식 보정기술과 센서 쉬프트의 5축을 결합해서 동시에 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