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셀

다른 뜻에 대해서는 아래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600px
미국의 국립기상대 (Birmingham, AL) 웹사이트 사진 자료이다.

width=100%
(출처)

Supercell

1 개요

뇌우(thunderstorm)의 한 형태로, 회전하는 상승기류를 동반하는 구름. 메조사이클론이라는 특징적인 기상현상이 관측되며 인류가 알고 있는 뇌우 중 가장 위험한 축에 든다. 토네이도와 관련은 있지만 동일한 것은 아니다. 일단 크기 단위가 다르니. 이론상 전세계 어디서든 발생 가능하지만 아무래도 대평원이 존재하는 북미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다. 드문 예이지만, 2005년 인도 뭄바이에서 슈퍼셀이 발생하였다. 당시 이 괴물은 15km 상공까지 이르렀으며, 시간당 백수십 mm 의 엄청난 폭우를 쏟아부은 끝에 결국 일강수량 944mm 라는 기록적인 결과를 길이 남기게 되었다.

대개 외따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스콜과는 다르며, 일단 발생하면 막대한 양의 우박강풍, 그리고 기습적인 하강기류인 다운버스트를 동반한다. 국지적이긴 하지만 최악의 악천후를 불러오는 위험한 자연현상. 특히 낮은 확률로 메조사이클론에서 토네이도가 형성되기도 한다. 한마디로 말해서 열대성 저기압보다는 작고 수명도 짧은 녀석이 국지적으로는 파괴력이 동등할 지경이며, 부수적으로 안좋은 것까지 만들고 다닌다는 이야기다. 모 영화에 따르면 이런 것도 있다고 한다. 어?

외양은 흔한 적란운으로 보이지만 그보다 훨씬 크고 아름답다. 굳이 묘사하자면, 중심부가 불타오르는 듯이 빛나는 느낌의 흰색이며, 거대한 원반처럼 생긴 모루구름을 허리에 낀 양배추 모양의 원통형 탑처럼 생겼다. 사진 자료 참고. 다만 아침이나 저녁 어슴푸레할 때에는 칠흑같이 어두운 먹장구름 그 자체가 된다. 영화 트위스터에 등장하는 세 번째 토네이도 추적에서, 그 토네이도를 매달고 있던 암회색 구름을 상상하면 된다. 특징적인 모루구름 위로는 강력한 상승기류로 인해 구름이 대류권 계면을 돌파하여 치솟아오르고, 이때 상승하는 공기는 대략 15~20km 상공에까지 이른다. 하부에는 (슈퍼셀만의 전유물이 아니긴 하지만) 구름벽[1](Wall Cloud)이라는 현상이 관측되며 이는 종종 토네이도 발생의 징조로 해석된다. 또한 슈퍼셀의 이동방향 전면부에서 흔히 아치구름(Arcus Cloud 또는 Shelf Could)이라 불리는 수평 방향의 구름이 수반되는 경우가 많은데, 두루마리 구름(Roll Cloud) 내지는 모닝글로리(Morning Glory)와는 서로 다른 것이므로 주의. 앞에 설명한 구름벽과도 헷갈리는 사람들이 많다. 실제로 구글링해 보면 이 구름은 무슨 외계인 침공이나 재난영화의 한 장면 같은 분위기를 연출하기도 한다. 가히 충격과 공포. 그 아래에서는 기온이 급강하하며 격렬한 돌개바람이 휘몰아친다.

그 자체만으로도 충분히 재앙에 가까운 피해를 입히지만 특히나 토네이도의 훌륭한 산실이 되어 주기에, 북미의 여러 연구소와 기상대, 아마추어 기상학 매니아,[2] 폭풍 추격대,[3] 중서부 지역 주민들이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는 존재다. 게다가 일단 한번 발생했다 하면 떼로 덤벼드는 게 토네이도의 특성인지라, 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도플러 레이더가 개발되었다는 뒷얘기도 있다.

기상학자들은 어떤 슈퍼셀이 토네이도를 잉태하고 있는지 추적하기 위해 후크 에코(hook echo)라는 현상이 나타나는지 확인한다. 즉, 레이더 영상에서 토네이도를 품은 슈퍼셀은 마치 좌우가 뒤집어진 형태의 반점 모양을 하게 되는데, 여기서 반점의 "고리"(hook) 끝부분에 토네이도가 나타난다는 것.[4] 슈퍼셀 구름덩어리가 반점 모양으로 바뀌게 되는 것은 즉 다시 말하면 구름이 회전하기 시작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이렇게 보면, 의외로 토네이도는 적란운의 중심부가 아니라 변두리에 나타나는 셈이다. 후크 에코의 규모는 수~십수 km 정도의 직경 정도로 작고, 비강우 구역(rain-free base)이라 하여 비도 잘 내리지 않는다.

때로 슈퍼셀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멀티셀(multicell)[5] 형태의 거대한 활 모양으로 퍼져가기도 하는데, 이를 보우 에코(bow echo)라고 부르기도 한다. 물론 대량의 강우와 강력한 폭풍, 큼지막한 우박 등 스펙 자체는 약해지지 않는다. 이것이 강할 경우 따로 데레초(derecho)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런 폭풍은 미국 중부~동부 일대에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서 막대한 피해를 입힌다. 종종 뉴스에서도 미국 동부 일대가 "데레초" 폭풍의 습격을 받아 초토화됐다는 소식을 접할 수 있다. 관련기사

미국 중서부로 유학 간 한국 학생들이 혀를 내두르게 되는 주된 원인 중 하나이기도 하다. 슈퍼셀이 마을에 접근하면 일단 사이렌이 요란하게 울리면서 무슨 공습경보처럼 주민들이 대피하고, 그렇게 한번 생난리를 치고 나면 으레 "이런 데서 어떻게 살아요?" 라고 현지인들에게 되묻게 된다고 한다. 그럼 현지인들은 "한국도 태풍 매번 부는데 잘 살잖아요?" 라고 태평스럽게 대답한다는 듯. 그런데 한국에서의 태풍은 거의 복불복 급이라 걸릴 때도 있고 안 그럴 경우도 있지만 이 지역은 거의 연중행사 급인데..

호주 북부에서도 자주 발생한다. 특히 다윈(Darwin) 지역, 티위 섬(Tiwi Islands) 지역에서 발생하는 슈퍼셀은 매해 9월부터 3월까지 아주 연례행사 급으로 뭉게뭉게 만들어지곤 한다. (컴퓨터 시뮬레이션 영상) 호주 사람들에게 이 슈퍼셀은 따로 헥터(Hector)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는데, 적도 근처이다 보니 대류권 계면이 엄청나게 높아서 이 슈퍼셀의 꼭대기는 무려 해발 20km(?!!) 근처까지 솟아오를 수 있다고 한다.[6] 당연히 이 동네에서도 종종 토네이도가 나타난다.

인터넷 뉴스에도 떴는데 역시나 기자가 슈퍼셀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어 보이는 상태로 기사를 썼다. 슈퍼셀 스톰이라는 표현을 슈퍼셀 스톱, 슈퍼스톰셀(…), 놀라운 태풍(…) 등으로 써 놨다. # 참고로 1~3번째 사진이 바로 구름벽(wall cloud)을 찍은 것이고, 4번째 사진이 아치구름을 찍은 것이다.

아무래도 좋을 일이지만 구름벽이 신문 만평에 등장한 적이 있다. #

2 같이 보기

구름의 종류
일반형상층운x16px 권운(새털구름), x16px 권적운(조개구름), x16px 권층운(무리구름)
중층운x16px 고층운(차일구름), x16px 고적운(양떼구름)
하층운x16px 층운(안개구름), x16px 층적운(두루마리구름), x16px 난층운(비구름)
수직형x16px 적운(뭉게구름), x16px 적란운(쌘비구름)
특수형상위형웅대적운, 열탑, 열대성 저기압, 슈퍼셀, 안개
수반형모루구름, 유방운, 아치구름, 구름벽, 미류운(꼬리구름), 깔때기구름
일반형야광운, 진주운, 편운, 삿갓구름, 렌즈구름, 파상운, 모닝글로리, 거친물결구름
그외Fallstreak Hole
인공생성비행운, 스모그, 버섯구름
  1. 구름이 링크에 보이는 저 지경까지 갔다면 최대한 신속하게 대피해야 한다! 토네이도가 바로 저 밑에서 내려오는 거다.
  2. 토네이도 발생 시 레이더 영상을 보여주며 인터넷으로 중계하기도 한다. 역시 양덕...?
  3. 놀랍게도 익스트림 스포츠의 하나.
  4. 슈퍼셀 전면에서 뜨거운 공기는 "후크" 의 안쪽으로 말려들어가서, 후크 속에서 빙글빙글 돌며 메조사이클론을 따라 상승한다. 후크의 바깥쪽 부분에서는 찬 공기가 밀려내려오면서 아치구름을 만들어낸다.
  5. 분류에 따라서는 중위도의 흔한 일과성 소나기를 싱글셀(singlecell), 열대성 저기압이나 열대 스콜 등을 멀티셀, 그리고 미국 중서부의 강력한 구름덩어리를 슈퍼셀로 나누기도 한다.
  6. 이곳 외에도 열대지방의 적란운들이 전반적으로 이런 경향이 많다.
  7. 이 슈퍼셀은 인류 역사상 가장 강력한 토네이도로 꼽히는 "2013년 엘 레뇨 토네이도" 를 연성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