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운

1 구름의 종류 중 하나

적운
Cumulus (Cumulus humilis)
積雲

600px
출처 위키미디어 커먼즈, 영문 위키피디아. 퍼블릭 도메인.
사진자료 더 보기

구름 정보
Cumulus
약어 (Abbreviation)Cu
기호 (Symbol)파일:Attachment/cumulus-symbol.png
고도 (Altitude)수직형 /
500m ~ 3,000m
(1,500ft ~ 10,000ft)
강수여부 (Precipitation)대개는 없음(usually no)

1.1 소개

기상학에서 구름을 분류하는 "10종 운형" 중 하나.
살면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구름 중 하나

수증기가 상승기류에 의해 솟구치면서 수직으로 만들어지는 구름. 순우리말 이름으로는 쌘구름이라고도 한다. 힘세고 강한 구름 물론 이 이름의 뜻은 "쌓여 있는 구름" 이라는 뜻. 한자어 이름이나 영어 이름이나 다 똑같은 의미를 담고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는 그냥 뭉게구름이라고 한다.

수증기와 웬만큼 강한 상승기류가 있는 곳이라면 전세계 어디서든 쉽사리 찾아볼 수 있으며, 실제로 매우 흔한 구름이다. 넓은 평원이나 산간 지역에서도 찾아볼 수 있고, 바다 위에서도 볼 수 있다.[1] 온대저기압의 한랭전선의 전선면에서 형성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적란운의 전조이다.

1.2 생성과 특징

거의 반드시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상승기류에 의해 수증기가 응결하며 발생한다. 적운의 사이즈는 수증기의 양 및 상승기류의 강도에 의해 좌우된다. 특히 상승기류가 강하면 강할수록 더욱 크고 아름다운 적운이 만들어지게 되며, 충분히 강한 상승기류는 적란운까지도 얼마든지 만들어낼 수 있다.

전체적인 모양새는 다양하지만, 일단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희고 복슬복슬한 색깔과 질감을 갖고 있으며, 충분히 사이즈가 큰 적운은 아랫부분이 어두컴컴한 회색빛을 띤다. 또한, 일반적으로 작을 때에는 솜사탕, 클 때에는 탑처럼 생긴 모양이다. 그리고 아랫부분은 평평하고 매끈한 반면, 윗부분은 도톰한 돔(dome) 모양 내지는 양배추 모양으로 생겼다.

적운과 적란운 사이에는 특정한 기준을 찾기 힘들 정도로 연속적인 관계가 있다. 아니, 어떻게 보면 사실상 적운과 적란운은 마치 "어린이와 어른" 을 나누는 것만큼이나 어렵다. 실제로 이 두 구름은 환절기에 자주 나타나는데, 오전에는 적운이었다가 오후에는 적란운이 되는 식인 경우가 많다.

다른 변수가 없는 환경에서, 굳이 적운의 일생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햇빛이 지표를 가열하면서 상승기류가 최초로 발생하게 된다. 이제 막 이슬점에 도달한 수증기는, 아주 작은, 마치 털뭉치처럼 보이는 손톱만한 구름을 만들어낸다. 그러다가 공기가 계속 상승하면서, 수증기는 그 공기를 타고 따라올라가 희고 작은 돔 모양의 솜사탕 같은 구름을 만든다. 이것이 바로 "Cumulus humilis". (구글 사진자료) 만일 여기서 상승기류가 더 강하다면, 이 구름은 시간이 지나며 더욱 상승하여, 이내 밑바닥이 어둡고 꽤 높이 뭉게뭉게 솟아오른 구름이 된다. 이것은 "Cumulus mediocris" 라고 불린다. (구글 사진자료) 상승기류가 이 이상으로 계속 상승한다면, 곧 하나의 거대한 탑을 이루며 고도 4~5km 이상까지 치솟아오르는 "웅대적운" 이 되며, 다른 이름은 "Cumulus Congestus" 이다. (구글 사진자료) 여기서부터는 적운으로 분류될 수 없긴 하지만, 이 이상으로 강력한 상승기류를 지니고 솟아오른 적운은 이내 적란운이 되어, 더욱 크고 아름다운 탑 모양의 "Cumulonimbus calvus", (구글 사진자료) 대류권 계면 근처까지 솟아올라가 사방으로 퍼져나가는 "Cumulonimbus capillatus" 가 된다. (구글 사진자료) 이런 구름들에 대해서는 적란운 항목을 참고하자.

작은 규모의 적운이라도 의외로 강력한 난기류(turbulence)가 발생하기 때문에, 경비행기가 그 속에 들어가면 상당히 흔들릴 수 있다. 시정이 제로가 되는 것은 덤. 그리고 적운에서도 간혹 강수가 나타나기도 한다. 이런 종류는 따로 "Cumulus praecipitatio" 라고 부른다. 물론 적란운의 그것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여담으로 여름철 하늘에 적운이 많아지면 야간에 복사냉각이 이뤄지지 않아서 열대야가 나타난다.

1.3 바리에이션

상술했듯이 적운에서도 간혹 비가 오거나 하는 일이 있는데, 아무래도 그 기세가 좀 약하다 보니 비가 땅에 닿지 못하고 도로 증발하는 일이 있다. 이렇게 되면 지상의 관찰자가 보기에는 마치 구름의 운저(밑바닥)에서 지상을 향해 부드러운 털 같은 꼬리가 드리워져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 현상 자체는 "미류운"(virga)이라고 불린다. 이것이 적운과 결합했을 때에는 (억지로 말을 조합하자면) "미류적운"(Cumulus virga)이 되겠다.

만일 탑처럼 솟아오르는 적운의 꼭대기에 삿갓 모양의 구름이 씌워진다면, 그 구름은 거의 반드시 강력한 적란운이 될 징조이다. 상승기류가 굉장히 강하면서도 거칠고 빠르다는 뜻이기 때문. 이 경우는 "Cumulus pileus" 가 된다.

적란운은 강수 도중에나 강수 후에 조각조각 부서지며 사라지는데, 이런 경우는 "Cumulus pannus" 또는 "SCUD(Scattered Cumulus Under Deck)" 라고 불린다. 이와 생김새가 비슷하기도 한, 하늘에 떠 가는 흔한 조각구름의 경우는 "Cumulus fractus" 라고 한다. 이런 구름은 다른 적운의 생명이 다하며 붕괴할 때 떨어져 나오거나, 적란운의 강수가 끝나고 수명이 다할 무렵 측면 등에서 부서져 떨어진 경우이다.

1.4 같이 보기

구름의 종류
일반형상층운x16px 권운(새털구름), x16px 권적운(조개구름), x16px 권층운(무리구름)
중층운x16px 고층운(차일구름), x16px 고적운(양떼구름)
하층운x16px 층운(안개구름), x16px 층적운(두루마리구름), x16px 난층운(비구름)
수직형x16px 적운(뭉게구름), x16px 적란운(쌘비구름)
특수형상위형웅대적운, 열탑, 열대성 저기압, 슈퍼셀, 안개
수반형모루구름, 유방운, 아치구름, 구름벽, 미류운(꼬리구름), 깔때기구름
일반형야광운, 진주운, 편운, 삿갓구름, 렌즈구름, 파상운, 모닝글로리, 거친물결구름
그외Fallstreak Hole
인공생성비행운, 스모그, 버섯구름

2 천랑열전의 등장인물

파일:Jeokwun.jpg

천랑열전, 나우(만화)의 등장인물. 성우는 모용비와 동일한 강수진.

비소광에 이은 연오랑의 라이벌 캐릭터였으나 모용비에게 라이벌 포지션을 강탈 당하고 한없이 듣보잡으로 떨어질뻔하다가 마지막에 소향과 부부가 된 복받은 놈.

본래 성격이 매우 난폭하여 신룡문[2]에서 조차 버린 제자. 사휘의 집에서 행패를 부리다 연오랑과 한판 붙게 된다. 하지만 희대의 사기재능인 천랑의 재능을 지닌 연오랑은 끝없이 강해지고 적운은 사형인 금천무와 함께 듣보잡이 되어가며 비중또한 줄어든다.

그나마 소향을 건진게 수확이라면 수확. 그야말로 천랑열전의 야무치가 따로없다. 아니 야무치보단 훨씬 나은놈이다. 마누라 얻은게 어디야! 진짜로 소향과 이어진 것 빼곤 중간에 유화[3]단령에게 연오랑의 소재 관련 정보를 캐가 건넨것 이후 한 일이라곤 없다. 연오랑이 넘사벽급으로 강해진게 문제인듯.

나우에서도 소향과 함께 등장하는데, 20년의 터울이 있는 만큼 적운도 굉장히 강해졌다. 이명은 자칭 비천신룡이지만 아난가나 무림인들도 적운 비천신룡이라 부른다(...) 이미 소규모 문파 정도는 멸문 시킬만한 실력 + 엄청난 내공을 가진 연아린의 내공까지 흡기공으로 빨아들인 유세하야차의 인과 파멸진을 사용 했음에도 적운에게 졌으며 명왕신교의 인간병기 아난가 따위는 가볍게 제압한다. 다만 어디까지나 천랑열전에 비해서이지 똑같이 전작출신 인물들 연오랑,월하랑이 나우에선 아예 세계관 최강자가 되었기에 상대적으로 묻혀버렸다.

유세하를 상대로 이기긴 했으나 내상을 입었으며, 특수한 수법으로 항아라는 소녀로 변신하여 내공을 절반밖에 운용하지 못하던 월하랑은 시바와 호각으로 싸웠지만 적운은 "조금 힘겹지만 처리할만한 수준" 이라며 공격하려고 했었다. 소향이 변장한 항아가 없었으면 천랑열전에서 오명을 채 씻기도전에 당했을 만한 상황이었다.

게다가 최종결전때는 산공독에 중독되어 활약조차도 없다. 눈물난다.

더불어 현 신룡문의 지도자. 본래는 자기 사제에게 떠 넘겼으나, 그 사제가 신룡문을 지키기 위해 희생하고 적운에게 신룡문을 넘겼다. 버림받은 망나니였던 인물이 세계관 최강 조직의 리더가 되었다. 그야말로 인생의 승리자.

하지만 비교 대상이 세계관 최강인 월하랑, 시바라 그렇지 전작에서는 전혀 활약 없었던 적운이 후속작에선 상당한 고수로 나와서 환영하는 독자들이 많았다.그래서 활약상은?
  1. 심지어는 우주의 다른 행성들에서도 쉽게 보이는 구름이다.(…) 대표적인 예로는 당연히 목성의 가스 구름들. 그러나 특이하게도 금성은 적운을 찾아보기 힘든 행성이라고.
  2. 천랑열전 세계관에서 무림 서열 2위 조직. 1위는 청수문사실 소림은 2대항렬 듣보잡 조연빼곤 등장이 없었다
  3. 결마로와 결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