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일 월드

1 원작

width=100%
한글판 명칭스마일 월드
일어판 명칭スマイル・ワールド
영어판 명칭Smile world
일반 마법
①: 필드의 모든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이 카드의 발동시에 필드에 존재하는 몬스터의 수 × 100 올린다.
듀얼로 활짝 웃어보자! 듀얼로 세상에 웃음을!모두의 미래에 미소를 주자!!-사카키 유우쇼

유희왕 아크파이브 52화에서 사카키 요코가 사용한 마법 카드. 이후에 아들인 사카키 유우야의 덱에 들어가게 된다. 모두에게 미소를 주겠다는 유우야의 엔터메 정신을 상징하는 카드로 보인다.

유우야의 덱에 들어가기는 했지만 역시 효과도 영 그렇고, 듀얼 전개에 방해가 될 뿐인 카드라 이후 출연이 없었는데, 90화의 vs바렛 전에서 뜬금없이 재등장. 뽑고 나서 유우야는 엄마와 엔터메 정신을 떠올렸지만, 이윽고 이 카드론 아무것도 할 수 없다며 다른 수단을 찾는다.

결국 92화에서 엄마와 아빠를 생각하며 고민하던 유우야가 지금의 자신은 모두에게 미소를 줄 수 없다고 인정하며, 유즈 한 명이라도 구하기 위해 패에서 마법 카드 1장을 묘지에 보내고 필드의 카드 1장을 파괴하는 매지컬 썬더의 코스트로 사용해서 묘지에 버려진다.

하지만 96화, 과의 결승전에서 재등장. 각검의 마술사, EM 래비시 호스, 레드 와이번의 공격력을 올린 뒤, 래비시 호스의 효과를 사용한 콤보로 레드 와이번을 파괴하여 대미지를 주려고 하지만, 잭의 함정 카드, 킹 싱크로에 의해 공격이 무효화 되고, 레드 데몬즈 드래곤 스카라이트가 소환되며 콤보가 무너지고 결국 효과가 무효화 된다.

104화에서 자신 필드가 빈 상황인데 사용했지만, 실제로는 아래의 스마일 포션과의 연계를 위한 것이었다.

108화에서 타일러 자매와 태그 듀얼을 할 때도 사용했는데 일부러 몬스터의 공격력을 올려서 다크 리벨리온과 맨 아래의 미라클 로켓 쇼의 효과를 극대화시켜 원턴킬을 냈다.

110화에서 유우쇼가 디스토피아에게 직접 공격을 당한 다음 턴에 스마일 월드를 발동시켰다. 그 이후에 에드 피닉스의 남은 라이프가 800이었는데 그 이후에 에드 피닉스는 패배하고 말았다.

111화에서 다시 유우야가 발동했는데 이번엔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뿐만 아니라 데스티니 히어로 디스토피아 가이에게도 가 붙여진다. 같이 효과를 받은 '대그 대거맨', '라프 메이커'는 모자로 눈이 가려져서 입꼬리만 올라갔는데 디스토피아 가이는 눈동자가 생겼다. 한술 더 떠 배를 부여잡고 다같이 웃기까지 한다.

또한 사카키 유우쇼가 지닌 찢어진 스마일 월드 카드가 1장 있는데, 이 카드의 찢어진 반쪽은 에드 피닉스가 들고 있었다.[1]

이렇게 작중에서는 엔터메 듀얼의 상징과도 같은 카드지만......

1.1 현실에서의 취급

빠빠가루(...).

발동 후 뭔가 번쩍거리는 것이 사람들에게 퍼지더니 어느새 웃고 있다는 기괴한 연출 때문에 이거 마약 아니냐는 소리가 나왔고, 마침 메이플스토리2에서 유행하던 빠빠가루 같다는 얘기가 퍼져서 이 카드 얘기가 나오면 빠빠가루 얘기도 심심치 않게 나온다.[2] 특히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에 ^^를 붙인 괴이한 연출 때문에 네타/매드무비 소재로 절찬리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일본 팬들 사이에서는 최악의 주인공 카드 라는 취급을 받는 카드로, 필드 위의 몬스터를 강제로 미소로 만든다는 면에서 기존 몬스터들의 이미지를 망가트린다는 면도 있고, 또 제작진의 의도와는 달리 "유우야는 아직도 독선적인 미소를 강요하는 게 아닌가?" 하는 비판도 보인다. 등장 이래로 거의 모든 듀얼에 나와서 듀얼을 단조롭게 만든다는 것도 비판거리.

2 OCG

width=100%width=100%
한글판 명칭스마일 월드
일어판 명칭スマイル・ワールド
영어판 명칭Smile World
일반 마법
① :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 시까지, 필드의 몬스터 수 × 100 올린다.

어드밴스드 토너먼트 팩에서 뜬금없이 OCG화. 첫 공개시 사람들이 상승치를 500으로 오인해 깡공격력을 만들 수 있는 카드로 사용할 수 있을 거라는 뜬소문이 퍼진 해프닝이 있었다. 실제로는 그런거 없이 원작 그대로 나왔지만. 정확히는 원작에 있던 '이 카드의 발동시에' 부분이 삭제되긴 했다.[3]

일단 상승 수치가 턱없이 낮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써먹기가 힘들다. 양 쪽 필드에 몬스터가 꽉 차있어도 그 공격력은 겨우 1000. 게다가 이 수치가 상대방에게도 오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이 카드의 발동 후 상대방의 몬스터를 치우지 않으면 말짱 도로묵이 되어버린다.

그리고 그럴 바에는 차라리 필드 위의 몬스터의 공격력을 500 높여주는 필드 마법이나 한 놈에게 공격력을 몰아주는 장착 카드를 사용하는 것이 훨씬 낫다. No.103 신장령양 라그나 제로와 쓰면 좋을지도 모르지만, 그 카드조차도 강자의 고통, 블랙 가든과 같이 다른 카드를 사용하는 상황이 더 나을 때가 많다.

이런 이상한 카드이긴 하지만, 실전 듀얼 사용을 배제한다면, 원작에서의 기행을 재현할 수 있는 좋은 네타 소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사실, 토너먼트 팩에서 처음 수록되는 카드들은 이 카드처럼 그냥 소장용인 경우가 꽤 있다. 해당 팩이 증정 성격이 강하다 보니 일어나는 현상. 이후 스타터 덱 2016에도 재록되었다.

데스티니 히어로 디스토피아 가이EM 러프메이커가 OCG화 되면서 아예 못 써먹을 카드는 아니게 되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어드밴스드 토너먼트 팩 2015 Vol.4AT12-JP003노멀 페러렐 레어일본세계 최초수록
비매품
STARTER DECK 2016ST16-JP022노멀일본
Starter Deck: YuyaYS16-EN022노멀미국미국 최초수록
스타터 덱 2016ST16-KR022노멀한국한국 최초수록

3 관련 카드

3.1 스마일 포션

한글판 명칭스마일 포션
일어판 명칭スマイル・ポーション
영어판 명칭Smile Potion
일반 함정
① : 자신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고, 상대 필드의 몬스터의 공격력이 올라간 경우에 발동 할 수있다. 자신은 덱에서 2 장 드로우한다.

사카키 유우야가 104화에서 사용한 카드.

3.2 미라클 로켓 쇼

MiracleRocketShow-JP-Anime-AV.png

한글판 명칭미라클 로켓 쇼
일어판 명칭ミラクル・ロケット・ショー
영어판 명칭Miracle Rocket Show
지속 마법
① : 이 카드가 마법 & 함정 존에 존재하는 한, 상대 몬스터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고, 상대가 받는 전투 데미지는 0이 된다.
② : 배틀 페이즈 종료시에 발동한다. 이 카드의 효과로 0으로 한 상대의 전투 데미지의 합계분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유우야가 108화에서 사용한 카드. 간략하게 말하자면, 전투 데미지를 그대로 번 데미지로 치환해버린다는 뜻이다. 아마조네스의 알현실의 효과로 10100이 된 타일러 자매의 라이프를 한 번에 깎아버렸다.
  1. 유우쇼가 아카바 레오에게 전해주라고 에드에게 건네주지만 에드가 찢어버렸다. 반쪽은 유우쇼가 주웠지만, 반쪽은 에드가 주운 것. 하지만 결국 1년 동안 계속 들고 다녔고, 그걸 안 유우야는 웃으면서 에드가 유우쇼와의 듀얼에서 웃었다는 것을 눈치챈다.
  2. 그레이스 타일러는 이 카드를 보면 왠지 기분이 좋아진다고 한다.
  3. 해당 표현은 '발동시' 필드의 몬스터만을 세겠다는 것으로, OCG와는 달리 스마일 월드에 다른 카드가 체인되어 몬스터 수가 바뀌었다고 해도 상승치가 그대로라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