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설적인 스페이스 오페라 어드벤처물인 스타워즈.
명성에 걸맞게 국내에도 영화 개봉 및 소설판[1], 대여비디오 등이 여러 차례 정식 발매되었는데... 그 중 어지간히 골깨는 센스 빵점의 발번역, 혹은 센스없는 번역 몇 가지를 소개해 본다.
목차
1 대여비디오 95년 리뉴얼(?)판
참으로 뜬금없이 95년 봄경, '전설적 SF작품을 소장할 기회!'라며 화질과 음질을 대폭 보강한 전혀 아닌 것 같았지만 클래식 3부작의 비디오판이 판매/대여용으로 국내에 풀렸다. 케이스 자켓의 일러스트나 테잎 타이틀 스티커의 일신 등 외견 면에서는 나쁘지 않았지만.. 어쩐 일인지 90년, 91년에 나왔던 비디오판보다 번역이 훨씬 조악하다. 게다가 일부 초기판은 장면이 거꾸로 돌아가는 치명적인 개판 편집[2]을 보여준다.
갤럭덕 제국은 명백한 오역.[3] 베이더 대왕이라고 한것도 잘못인것이, 시스의 '로드'가 본디 고대 코리반인들의 제왕 칭호에서 유래한 것이라고는 하지만, 작중 베이더의 지위는 왕이나 통치자가 아닌 군 사령관에 가까운 것이기 때문. 대왕인데 타킨 총독하고 거의 동등한 위치에 있을리가 없잖아 이게 무슨 전한시대처럼 황제하고 왕이 동시에 있던 것도 아니고 한국어로 번역하기는 좀 애매하긴 하지만, 실제로 저기에서의 lord의 의미는 그만큼 초월적인 작위와 위치를 지녔다는 의미로 봐야지 곧이곧대로 대왕이나 군주라고 하면 곤란하다. 사실 다스 베인계 시스부터는 '시스 로드'에서 'lord'의 의미가 상징적인 의미라고 봐야한다.
2 '도서출판 공간'의 클래식 3부작 소설판(93년 출간)
대체적으로 태클을 걸고 싶어지는데 태클 걸기가 힘든, 기묘하면서도 돌직구적인 번역이 특징.
- 스타 디스트로이어 -> 스타 구축함
- '성간전함' 내지 '우주구축함'이라든가 스타 디스트로이어라든가로 우리말이면 우리말, 영어면 영어로 통일했으면 더 좋았을 부분.
- 사실 '기'라고 번역해도 딱히 틀린 것은 아니다. 조지 루카스도 동양의 기 사상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밝혔고 작중에서 묘사되는 포스의 특성도 동양의 기와 꽤 닮아 있으니. 하지만 <힘>이라고 센스있는 번역을 한 고려원미디어판에 비하면 역시 좀 촌스러운 느낌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 반란군, 반군 보다는 이쪽이 좀 더 어감이 긍정적이어서가 아닐까 싶다. 다만 무식한 누구시절이었으면 공산당과 잘 얽히는 이 단어의 늬앙스 때문에라도 역자는 코로 설렁탕 좀 마셨을지도.(…) 제왕이란 칭호 역시 명백한 오역. 특히 Emperor라는 뜻이 황제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고 팰퍼틴의 공포 통치를 상기한다면 제왕이라는 어중간한 호칭보단 황제라는 칭호가 다크사이드에 더 부합한다.
3 2004년 DVD판
- 새로운 희망에서 스톰트루퍼가 오비완과 루크를 심문하는 장면에서 오비완이 "당신들이 찾는 로봇가 아니오"라는 말을 한다. 이는 "드로이드"라는 생소한 용어를
Ctrl+F -> 바꾸기무조건 "로봇"으로 바꾸려다가 생긴 문제로 보인다.
- 제국의 역습에서 다스 베이더가 다이베이더로 오기된 부분이 있다.
사실 사망 플래그
- 제국의 역습에서 베스핀에서의 결투 후 이제큐터로 돌아온 베이더가 장교들에게 밀레니엄 팔콘과 그 승무원들을 산채로 잡아오라는 의미로 모든 무기를 스턴(기절)모드로[4][5] 설정하라고 명령을 내리는데, 이걸 정신을 쏙 빼놓을 무기를 준비하라는 의미를 알 수 없는 대사로 번역해버렸다(...).
4 보이지 않는 위험 극장판 자막
5 클론의 습격 KBS 더빙판 번역
- 전편인 보이지 않는 위험에선 드로이드로 제대로 번역해놓고선 드로이드가 죄다 로봇으로 번역되었다.
6 시스의 복수 중국 해적판
시스의 복수가 개봉된 이후 중국에서 발번역 해적판 DVD가 발매되었다. 이른바 Star Wars-The Third Gathering: Backstroke of the West.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 ↑ 주로 클래식 3부작의 소설판
- ↑ 제다이의 귀환 편에서 베이더의 화장을 치르는 루크 머리위로 저항군측의 승전 폭죽이 터지는 씬이 있는데, 터진 폭죽이 오그라들며 전투기로 회수된다(..)
- ↑ 이것은 처음에 갤럭'틱'이라고 썼던 것을, 자막 작업을 위해 옮겨쓰는 과정에서 잘못보고 갤럭덕으로 해놓은 것으로 여겨진다.
- ↑ 구공화국/제국군의 경우 블래스터가 살상/스턴 이 두가지 기능이 있다.
- ↑ 새로운 희망에서 스톰트루퍼들이 레이아를 기절시킬 때 블래스터에서 푸른 색 원이 발사되는 데 이게 스턴모드이다. 마찬가지로 클론전쟁에서 쇼크트루퍼들이 아소카를 추격할 때 아나킨의 명령에 따라 스턴모드로 블래스터를 설정시키는 묘사가 나온다.
- ↑ 드로이데카는 "기갑로봇"으로 번역됐다. KBS에서 더빙방송할땐 드로이드로 제대로 번역되어 나왔다
- ↑ 원판에선 viceroy,즉 총독이다. 이 장면만 빼곤 "총독"이라고 제대로 번역되었고 후속편에서도 "총독"으로 제대로 번역되어 나온다. 보이지 않는 위험의 시기 때 무역연합의 주요 자리들은 네모디안들이 차지했으나, 무역 연합은 말 그대로 다양한 이익집단들의 "연합"이지 특정 부족을 상징하는 단어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