島津の退き口
1 개요
세키가하라 전투 중에 있었던, 적진을 향해 철수한다는 병신같지만 멋있는 퇴각전. 일본어로는 島津の背進이라고도 한다. 한국어로는 정해진 번역어가 없고 시마즈의 퇴각, 후퇴, 전진철수 등으로 부른다.
2 시마즈군의 상황
조선에서의 철수 후, 세키가하라 전투가 벌어지기 전에 사츠마의 상황은 좋지 않았다. 히데요시의 규슈 정벌 후 시마즈는 사츠마, 휴가, 오스미 3국만을 인정받게 되는데 히데요시의 이간책으로 휴가는 요시히로에게, 오스미는 히데요시와 협상을 이끈 이주인 타다무네에게 주어졌다. 임진왜란에서도 다른 영지가 그렇듯 원하지 않았음에도 히데요시의 징병 압박에 시달렸고, 전쟁으로 많은 피해를 입었다. 여기에 파병에 반대한 시마즈 요시히사와 히데요시의 명령을 들을수밖에 없었던 요시히로간의 반목도 시작된다. 또한 1599년에 이주인 타다무네가 반란을 일으키려 해서 미리 제거했고, 이 때문에 그의 영지에서 반란이 일어나 진압해야 했다.
이런 상황에서 세키가하라 전투가 벌어진다. 하지만 시마즈 요시히로가 처음 파병하러 간 건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후시미성 방어 지원요청 때문이었다. 때문에 대군을 동원할 필요까지는 없었던 상황이었다. 그런데 상황이 급변해서 이시다 미츠나리가 거병해 버렸고, 후시미 성주 토리이 모도타다는 요시히로의 입성을 거부한다. 이에 대해서는 시마즈 쪽의 자료만이 남아있어, 사실 어떠한 배경이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확인이 되질 않는다. 어차피 소수에 얼마 안 가서 함락됐으니 시마즈군까지 길동무 삼을 필요 없다는 선의일 수도 있다.
이렇게 시마즈군은 서군 한복판에 남겨진 꼴이 되었고, 그냥 돌아갈 수도 없게 되어 서군에 참가하기로 마음을 바꾸었다고 한다. 그러면서 본국에 지원요청을 하지만 요시히사는 들어주지 않았고, 시마즈 토요히사 등 수백여명만이 가문의 뜻과는 별개로 각자 요시히로를 도우러 왔다고 한다. 이렇게 모인 시마즈군의 규모가 약간씩 다른데 이 때문일 것이다. 보통 1500~1600명 정도로 본다.
이렇기에 요시히로가 시마즈 가문 차원에서 병력을 동원할 수 없었고 직접 모은 병력만 간 것으로 평가된다. 여기서 요시히사 등 가문에서 이를 지원하지 않은 이유는 여러 설로 갈린다. 위의 상황 때문에 보내고 싶어도 못 보냈다는 것, 서군에 참가한 요시히로에 반대했다는 것, 임진왜란 때의 무리한 징병과 피해로 인해 여력이 없엇다는 점[1] 등이다. 어떤 이유든 요시히사는 세키가하라에 적극적으로 참전하는 것, 최소한 서군으로 적극 참전하는 건 반대했음이 분명하고 덕분에 나중에 모두 요시히로 때문이라고 떠넘기며 시마즈를 지킬 수 있게 되었다.
3 세키가하라에서
- 최초의 조우전에서 미츠나리가 자신과 사쓰마 군대를 버려두고 도망가 버렸고, 그가 주장했던 야습도 무시당했다. 이런 굴욕에 그는 이런 큰 싸움에서 결국 관망만 하기로 결정한다. 이는 요시히로의 큰 실책 중 하나가 되었다.
전투에서 시마즈군은 본진의 서쪽에 위치해 비교적 최전선에 있었지만 침묵한다. 초반에 우키다 히데이에가 분전해 후쿠시마 마사노리 등을 일시 패퇴시켰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이후 미쓰나리가 참전을 요구하는 사자를 보내자 말에서 내리지 않고 말했다는 게 군법에 어긋나고 시마즈를 모욕했다면서 죽이려고 달려들 정도였다. 전황이 밀리자 미쓰나리가 직접 와서 부탁했지만 오늘 전투는 각 부대가 스스로의 힘을 다하여 싸울 뿐이외다. 승패는 하늘이 정할 터라고 대답했고, 계속 요청을 무시한다. 나중에 우키다 부대가 패퇴할 때는 자기네 구역을 지나서 퇴각하자 사격을 가해서 '자기편에게 총쏘는 머저리 같은 놈들'이라고 욕도 먹었다.
이런 정치감각 떨어지고 이해할 수 없는 결정을 한 이유는 쉽게 추측할 수 없다. 미쓰나리가 무시한 것에 대한 분노 때문이라면 정말 큰 실책이다. 그런 무시를 받으면 안 된다는 게 당시 무사들이나 사츠마 무사들의 가치관일 수는 있을 것이다. 역시 이해하기는 힘든 부분이겠지만.
반면 서군이 패할 가능성을 점친 것이라면 납득이 된다. 어차피 소수에 대장에게 무시당하고 있으니 큰 전공을 세울 순 없을 것이고, 서군이 이기더라도 큰 포상을 받기도 힘든 상황이다. 반면 미쓰나리의 군재가 부족함을 아는 상황에서 동군이 이길 경우를 대비했다면, 동군에 피해를 최대한 덜 주려는 방침일 수 있다. 후술할 이에야스의 본진을 지나칠 때 한 행동이 맞다면 이걸 의도했을 것이다.
아무튼 시간이 지나면서 고바야카와 히데아키 등이 동군으로 배신, 서군은 패주하게 된다. 동군은 서군 본진으로 밀고 나가면서 시마즈군의 퇴로가 끊겼고, 시마즈군도 공격받게 되었다.
서군의 패배가 확실해진 상황, 시마즈군은 참으로 황당한 결정을 내린다.
4 앞으로 퇴각한다
시마즈 요시히로는 자결을 결심했지만, 조카인 시마즈 토요히사가 설득해서 막는다. 다이묘인 대장이 죽는 것은 사츠마는 물론이고 당시 일본에서 절대 막아야 할 일이었다. 이에 시마즈군은 무슨 일이 있어도 요시히로만은 탈출시킨다는 결론을 내리고 퇴각을 결심한다.
문제는 퇴로가 끊겼고 후퇴할 곳은 후방의 험한 이부키 산맥이었다. 이동하기에는 너무 힘들었던 것, 거기에 사츠마로 돌아가더라도 오사카에 있는 인질들도 구해서 가야 했기에 빠르게 가야 했다. 이에 시마즈군은 적진을 돌파해서 이세로(路)를 통해 귀환환다는, 앞으로 퇴각한다는 결정을 내리게 된다. 적이 대부분 서군 본진에 가 있기에 의외로 전방이 병력의 밀도가 낮았던 점도 고려됐을 것이고 전쟁광 이미지인 시마즈군 특유의 정신도 한 몫 했을 것이다. 시마즈군은 깃발을 버리고 부대표식을 부러뜨린 후 모두가 한덩어리가 되어 징을 치고 고함을 지르며 동군을 향해 돌격하기 시작했다.
후쿠시마 마사노리는 이들을 상대하지 않았고 차츰 동군 본진으로 오자 혼다 타다카츠와 이이 나오마사는 이들을 포위하려 하였다. 이 때 시마즈군이 쓴 전술이 바로 가문 고유의 진법 스테가마리(捨て奸)였다. 본진이 도주하는 동안 수 명의 팀으로 나눈 저격수가 후미에 남아 추격해오는 적 부대의 지휘관을 저격하고, 저격 후에는 총을 버리고 적진에 뛰어들어 시간을 번다(이하 반복)는 진법이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시간벌기로 투입된 병사는 전사가 확실하기 때문에 인망이 없는 지휘관은 절대로 쓸 수 없는 전술이기도 하다.
이 과정에서 이 진법을 쓰는 와중에 이에야스의 본진 옆을 지나치기도 했다. 이 때 부하에게 시마즈 요시히로, 이번에 뜻하지 않게 적이 되어 싸우다가 지금 막 진압을 지나 본국 사츠마로 돌아가옵니다. 내 마음에 대해선 훗날 바로 말씀 올릴 것이외다라고 외치게 했다고 한다.
조카 시마즈 토요히사와 가신 쵸주인 모리아츠(長寿院盛淳)가 요시히로의 갑옷을 입고 카게무샤 역할을 하였다. 둘 다 전사했고, 모리아츠는 죽기 직전까지도 "시마즈 요시히로가 여기있다!"고 외쳤다고 한다. 이렇게 적지에서 벗어났을 때, 병력은 50~80명 정도로 줄어 있었다. 도쿠가와측에서는 이들을 막던 이이 나오마사가 저격당했고, 2년 후 상처가 악화돼 병사한다. 또한 나오마사의 사위로 함께 첫출전했던 마츠다이라 타다요시[2]도 저격당해서 나오마사가 죽은 후 얼마 안 돼 병사한다.
그리고 이들의 목숨을 바쳐서 요시히로는 살아남았다. 이후 그는 이세로를 따라 이가성을 지나 오사카로 가서 인질을 구출했고, 세토 내해를 가로질러서 영지로 도망치는 데 성공한다. 도망가던 중에 같은 서군 소속인 다치바나 무네시게를 만난다. 무네시게의 친부 쇼운이 시마즈 가문과의 전투에서 죽었기 때문에 무네시게가 복수를 생각한다면 80명밖에 없는 시마즈군은 죽은 것이나 다름없었다. 하지만 무네시게는 '일전의 은원관계는 잊은지 오래입니다. 함께 힘을 합쳐 규슈로 갑시다'라며 대인배다운 태도를 보여 요시히로는 크게 감격한다. 이후 영지로 돌아간 무네시게가 주변의 나베시마, 구로다, 가토 등의 동군 세력에게 협공당하자 은혜를 잊지 않은 요시히로는 지원군을 보내주기도 했다.
5 평가
현대의 시각으로 보면 이해하기 어렵다. 하지만 그 시대의 일본은 무슨 일이 있어도 주군의 목숨을 우선시했고, 주군이 죽을 경우 자신도 몰락하는 시대였다. 때문에 주군이 죽으면 따라 죽거나 추신구라처럼 복수하는 게 당연시됐다. 거기에 사무라이가 가오 하나로 사는(...) 시대이기도 했다. 이렇기에 적 본진을 통과해 퇴각하고 전멸했어도 대장을 살린 이 퇴각이 높게 평가받은 것이다. 현대인의 입장으로 보면 처음부터 제대로 싸울 것을 방관하다가 마지막에 전멸한 별 의미없는 전투고 좋게 보더라도 왠지 등신같지만 멋있어 정도라면, 그 시대에는 정말 멋있는 퇴각전으로 평가받은 것이다.
병사들이 모두 자원해서 요시히로를 따라왔다는 점, 그들 전원이 거의 100% 전사가 확실한 전투에 기꺼이 목숨을 내놓은 점에서 그가 평소에 부하들에게 인망을 충분히 쌓았음을 말해준다. 이런 모습 덕분인지 시마즈 요시히로의 평가는 당대나 현대 일본에서나 높은 편이다.
노량해전 때와 비교해서 생각해보면 재미있다. 시마즈군이 큰 피해를 입었지만 요시히로는 배를 바꿔타고 탈출했다는 점, 조선 수군의 장수들의 피해가 컸던 점 등이 비슷하다. 이 때처럼 작전을 짜고 스테가마리를 한 건지는 알 수 없지만, 조선 수군 격파보다는 고니시 유키나가 구원과 탈출이 목적이었다는 것을 생각하면 요시히로를 살려보내겠다는 생각은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규슈로 돌아간 후 시마즈 가문은 모든 책임을 요시히로에게 돌렸고, 요시히로는 자식에게 자리를 물려주고 은거하는 형태로 책임을 진다. 이런저런 요인이 있겠지만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열심히 싸우지 않았고 그냥 퇴각만 한데다 시마즈군이 강병이라는 것을 이에야스에게 확실히 보여준 점 등은 이에야스가 시마즈 가문을 함부로 건드리지 못하게 한 이유에 포함됐을 것이다.
6 각종 매체에서의 모습
시마즈 요시히로의 중요한 에피소드로 거론되며, 짧고 굵게 간 시마즈 토요히사가 주목을 받기도 한다. 대표적인 것이 드리프터즈, 이거 하나로 주인공이 되었다.
NHK 대하드라마에서 세키가하라 전투가 나올 때 그리 주목을 받진 않는 편이다. 전투 자체가 주요 부분[3]과 해당 작품의 주인공만 나올 때가 많기 때문이다. 2000년에 나온 아오이 도쿠가와 삼대는 예외로, 세키가하라 400주년을 기념해 대규모 전투를 보여주었고, 덕분에 전투의 화려한 대단원으로 시마즈의 퇴각도 보여줄 수 있었다.
노부나가의 야망에서는 세키가하라 전투를 구현하기 힘드니 나오기 힘들다. 노부나가의 야망 창조에서는 PK에서 시마즈 가문 전국전으로 추가되었고 영상도 추가되었다. 본인 전국전은 물론 세키가하라 전국전 자체에서도 제법 비중이 있는 편이기도 하다.
전국무쌍에서는 시마즈 요시히로가 나온 2에서부터 계속 중요한 에피소드로 나온다.
전국무쌍 2에서의 영상. 시마즈 토요히사가 클론무장인데도 비중이 높다. 여기서는 동군 다 쓸어버린 다음에 서군도 다 쓸어버린다. (...)
전국무쌍 4에서의 영상. 세키가하라 전투를 서군으로 플레이할 시, 토요히사와 요시히로는 무조건 함께 선택하게 되며 이 전투를 자신의 목숨을 버릴 곳이라고 결정해 요시히로를 먼저 보내고, 자신은 백부가 도망갈 시간을 벌어주기 위해 조총 난사로 추격해오는 적들의 발을 묶는다. 이이 나오마사가 나오지 않아서인지 이벤트 영상에서 이이 나오토라를 상대하다 혼다 타다카츠의 공격을 정통으로 맞고 사망하며, 죽기 직전, "전장에서 투구를 떨어뜨리는 것은, 무사의 수치다."라는 요시히로의 충고를 떠올려 투구를 확인한 뒤, 떨어뜨리지 않았음을 깨닫고 부끄럽지 않은 죽음이었다며 미소지으며 숨을 거둔다.- ↑ 한국에서 주로 미는 설이다. 내부 상황설이 맞다면 최소한 그 이유 중 하나는 되었을 것이다
- ↑ 이에야스의 4남
- ↑ 양측의 격돌, 고바야카와 히데아키의 배신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