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관리

1 직업의 일종

janitorial service / Facility Management

아파트, 공공주택, 오피스텔,호텔,병원 등 다양한 종류의 건물의 운영 특히 시설 전반에 관련된 잡다한 업무를 도맡아 하는 직종. 사실 말이 거창해서 그렇지 실제로는 거의 잡부에 가깝다. 관리자 이외에 말단 기사는 대부분 전기기능사 아니면 보일러 관련 기능사 자격증 외에는 별다른 요구를 하지 않으며 이 때문에 구직 자체는 어렵지 않으나 경력이나 대우가 좋지 않으며 계속 근무해도 임금이 오르지는 않으며 계속해서 박봉에 시달리는 직종. 소방법 개정이후로 안전보조선임자의 등록으로 인해 말단기사들도 왠만하면 자격증이 있는 사람들을 원한다. 경력이 오래된 사람들은 자격증 취득 후 타 직종으로 빠지거나 매너리즘에 빠져 같은일을 반복하는 사람들만 있으므로 신입부터 자격증을 토대로 경력을 쌓게하겠다는 의지가 보이나..... 턱없이 낮은 연봉으로 인하여 구인이 어려운 상황.
연봉이 안오르는 다른 이유는 AM(Asset Management) → PM(Project Management) → FM(Facility Management)으로 이어지는 우리나라 시설관리업종 구조상의 문제이기도 하다. 쉽게 말하면 하도의 재하도. 할당예산이 줄어드니 인건비도 당연히 줄어들수밖에......
시설관리인들이 주로 모이는 시설인, 시설잡 사이트에 들어가봐도 시설관리에 대해서 별로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은 별로 없으며 태반이 우거지상을 하고 있다. 아파트 경비와는 기묘한 대립관계. 예전에는 경비와 시설관리를 다른 업체에 따로 맡기는것이 대부분이었으나 용역업체들이 시설/보안/미화를 통틀어 취급하면서부터 대립관계가 줄어들기 시작했다. 다만 아파트의 경우 시설은 관리사무소 직영으로하고 보안만 용역을 맡기는 경우도 적지않다. 공사장,생산직 하던 사람들이 하면 매우 몸이 편하다는걸 알게 될 거다. 단, 용역으로 갈아타는 추세이다. 용역회사가 늘어나긴 하지만 시설관리직을 회사 직영으로 두는 곳도 있어서 의외로 용역을 안쓰는 곳도 많다.

기계분야/전기분야/소방분야/영선분야로 나뉜다. 하지만 업무 분장이 명확히 구분되어 있지는 않고 급하면 다같이 달려들어 일을 해결할 때가 많다.

  • 기계 : 공조냉동,가스,위험물,에너지관리 기능사가 필요하다. 다만 여기서 유의할것이 각 건물마다 설치되어 있는 기계들이 다르므로 모두 취득하는 것이 유리하다.
  • 전기 : 전기산업기사가 필요하다. 자격증 없이는 안전관리자 선임이 불가능하므로 자격증의 희소가치가 높다. 특히나 전기의 경우 전기기사자격증과 경력10년이면 이 업계에서 편히 놀고먹는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 소방 : 소방설비산업기사가 필요하다. 소방법 강화로 소방안전관리자 선임을 지정해야하므로 자격증은 필수.
  • 영선 : 별다른 자격증이 필요없다.

전기외에 소방,기계는 자격증없이도 안전관리자 교육을받으면 선임할수있지만 실제채용에서는 자격증소지자를 필요로한다. 법령 개정으로 선임과 관련한 직종의 자격증을 취득한 인원이 필요하다.

2 직무의 일종

Facilities officer

직무의 종류
-마케팅보안시설관리총무
-생산직재무정보보호법무
비서리스크구매환경안전기획
IT생산관리영업연구개발인사
-품질관리홍보고객 서비스노무


공공기관이나 기업에서 총무 직무의 하부직무.

인테리어 아무리 비싼 돈을 들여서 해놔도 시설관리가 엉망이면 건물은 쓰레기통 비스무리하게 되기 쉽다. 그래서 시설관리직이 얼마나 잘 하느냐가 고객 서비스를 위해 엄청나게 중요하다.

2.1 하는 일

하는 일은 다음과 같다.

  • 부동산 관리

1. 건물 관리인 (janitorial service) : 시설관리 직업에서 하는 것과 같다.
2. 시설물 유지보수 (maintenance), 건물 기계 설비. 화장실 뚫기. 고장난 기계 수리.
3. 시설 관리 용역 : 시설직 업무를 해주는 아웃소싱 서비스 제공자를 관리함.
4. 환경안전직이 해주지 않을 경우 시설직이 건물 내에서의 환경안전 관리.
5. 총무직이 해주지 않을 경우 시설직이 카운터(receptionist), 보안직, 우편, 예약 시스템 등 사무실 돌아가는 상황을 관리함.
6. 환경미화. 청소부를 고용할 경우 청소부를 관리하는 업무가 추가되고, 청소부를 고용하지 않을 경우 사무실, 회의실, 탕비실, 도서, 잔디 깎기 등을 시설관리직이 한다.
7. 예산 수립, 취득, 처분, 임차, 편의시설 임대,

  • 사무환경 관리

- 에너지 절약
- 사무실 배치도를 구성하고 가구를 놓는다.
- 화상회의 방식 등
- 각종 비품 구매, 사무용품 구매, 소모성 물품 운반 및 관리

  • 고정자산 관리

고정 자산에는 토지, 건물, 구축물, 기계장치, 차량/운반구, 건설용 장비, 공구/기구, 비품 등이 있다. 총무부서는 고정 자산을 일일이 기록한 자산 관리 대장을 만들고 업데이트하며 재물조사를 통해 물건이 제대로 있는지 확인한다.

  • 중고장비 매각, 폐기 자산 재활용

2.2 시설관리직이 갖춰야 할 역량

1. 자산 관리(property management), 임대 (lease), 건축 용어, 건축 실무에 대해 알아야 한다. 구내식당이 있을 경우 급식에 대해서도 알아야 한다.
2. 시설직에 쓰이는 예산, 재무, 계약 관련 상황, 구매에 대해 알아야 한다.
3. 출장을 자주 가게 된다 해도 할 수 있어야 한다.
4. 자차소지자를 우대한다는 곳도 있는데 기름값만 주고 폐차 될 때까지 굴려먹을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