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계


363px-Nervous_system_diagram.png


nervous system, 神經系 [1]

1 의의

신경계는 기관이 모여 만들어진 기관계의 일종이며, 신경을 사용해 몸의 다른 기관을 통제하고 조정한다.

BC 300년경에 그리스에서 죄수나 빈민을 대상으로 해부를 하다가 발견되었다고 한다.[2]

역할은 척수, 그리고 우리 몸 각 부분사이에 필요한 정보를 서로 전달해 각 기관계를 연결하여 신체의 활동을 조절하고 조정하는 것이다. 인체항상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생명을 유지하고 번식하는 모든 과정에 관여한다[3].
지금 위키러가 마우스 휠을 내리거나 액정화면을 스크롤하여 글을 읽게하는것도 모두 신경계에 의해 통제되는것이다.

2 신경 세포

'뉴런(neuron)'이라고 부른다. 신경(neur-)의 기본 단위체(-on)라고 붙인 이름. 일반 세포처럼 핵이 있고 대사를 하는 등의 특징은 그대로 있지만, 특히 뉴런만이 지닌 특징은 신호의 전달.

핵이 있는 곳이 신경세포체이며 주변의 나뭇가지 같은 것이 수상 돌기혹은 가지 돌기(dendrite), 길쭉한 막대기들이 신경섬유라고도 하는 축삭 혹은 축색(axon; 軸索이라 발음이 2가지)이며, 신경섬유 말단과 수상 돌기가 맞닿은 곳이 시냅스이다.

이리저리 뻗은 나뭇가지 모양을 보면 알 수 있듯 시냅스는 뉴런 하나씩만 연결해 주는 틈이 아니라, 복수의 가지돌기가 복수의 섬유 말단과 만나서 아주 복잡한 네트워크를 이룬다. 이게 난해할수록 저장하거나 전달할 수 있는 정보량이 많아지는 것은 당연한 이야기. 시냅스가 마구 변하고 재형성되면서 당신기억생각을 만든다.

자세한 얘기는 뉴런으로 고고.

3 구조

450px
크게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경계는 전신에 분포한다. 중추신경은 뇌와 척수로 구성되어 있고 뇌막으로 둘러싸여 그 안의 뇌척수액으로 보호를 받는다. 또한 타원형의 단단한 머리뼈, 기다란 원통형 모양의 척추가 감싸고 있다. 말초신경은 척수신경과 뇌신경, 자율신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척수신경이 척수를 의미하는 게 아니고 뇌신경이 뇌를 의미하는 게 아니라는 것이 포인트.

3.1 중추신경계

뇌를 주축으로 해 몸의 거의 모든 곳에 연결되어있는 신경과 연결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하는 일은 생각. 신호를 온몸에 전달하며, 정보를 처리하고 해석해 결과를 내고, 저장하고 지시를 내린다.

신경 세포의 돌기가 모여 끈처럼 된 구조이며 3겹의 결합 조직으로 된 막인 수막[4]에 싸여있다. 수막과 뇌 사이에는 뇌척수액, 다시 말해 뇌수로 둘러싸여 있으며 이 뇌척수액은 충격을 흡수해주고, 순환계로부터 영양소를 받아 뇌에 공급하는 동시에 찌꺼기를 순환계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그야말로 뇌에게 있어 태아의 양수와 같은 역할.

3.2 말초신경계

  • 이 문단을 보기 전에 뉴런 문서를 볼 것을 권장.

중추 신경계를 제외한 모든 신경과 연관된 세포를 모조리 묶어서 말하는 명칭[5]. 인체의 외부 자극을 감각수용기를 통해 받아들여 감각신경계를 통해 척수를 거쳐 로 전달한다. 크게 구심성 신경과 원심성 신경으로 나뉘는데, 구심성 신경부(Afferent Division)는 감각을 수용하는 감각 뉴런으로 이루어져 있어 감각기관으로부터 자극을 받아들여 중추신경계로 연결하는 부분이고, 원심성 신경부(Efferent Division)은 운동 뉴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추신경계로 부터 정보를 근섬유나 내장기관으로 전달한다.

어떤 돼지홈런을 날리면 누군가가 팍팍 서는 것

3.2.1 체성 신경계

외부에서 들어오는 감각을 중추신경계통으로 올려보내거나, 아니면 중추신경 계통으로부터 전달 받은 것을 몸의 말단 운동기관으로 전달해 근육운동을 일으킨다. 말단에서 뇌로 감각 신호를 전달하는 쪽을 구심성(afferent) 신경, 뇌에서 말단으로 운동 신호를 전달하는 쪽을 원심성(efferent) 신경이라고 한다. 영어 단어 발음 구별이 힘들다.

3.2.2 자율 신경계

의식적으로 제어하지 못하는 신체 내부 기관을 조절하는 신경계. 주로 싸움-회피(fight or flight, F-F) 반응을 기반으로 한다. 뇌의 시상하부를 중추로 소화, 순환, 심박, 배설 등의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관여한다.

3.2.2.1 교감 신경계

신체적인 활동을 할 때 혹은 스트레스 상황이나 긴장을 요구하는 상황에서 교감 신경계가 작용을 한다. 교감 신경계가 작용을 할 시 근육이나 뇌가 활성화되기도 하지만 반대로 내장기관 중 소화 기관은 오히려 비활성화되기도 한다.

3.2.2.2 부교감 신경계
휴식을 취하고 있을 때 활성화되는 신경계로서 주로 쉬거나 잠을 자거나 할 때 활성화된다.
  1. 기본적으로 신경이 신경계의 하위 분류이나, 그다지 큰 차이는 없다. 신경 항목 참조. 본 위키에선 기관계의 일종으로서의 시점으로 신경계를 설명.
  2. 소니아 샤,'몸 사냥꾼',정해영 역,마티,2006,p23
  3. 소화씹고 뜯고 맛보고 즐기고부터 생식 행위까지, 무엇을 하든 일단 움직이고 보아야 한다.
  4. meninges
  5. 신경계 뿐만 아니라 다른 기관계 역시 척추와 그 외로 분류하는 경우가 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