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수근

1 소개

愼守勤
(1450 ~ 1506)

조선의 인물. 자는 경지(敬之)또는 근중(勤仲). 단경왕후의 아버지.

거창 사람으로 성종 때 1475년에 수조관을 지내고 1484년에 통훈대부 행 사헌부 장령에 임명되었으며, 1492년에는 통정대부 승정원 동부승지, 우부승지, 통정대부 좌부승지, 절충장군 첨지중추부사, 통정대부 호조참의를 지냈고 1493년에 귀의 종기를 치료했다.

연산군 때 1495년에 좌부승지를 지냈고 공이 없는데도 외척이라 중직에 등용되었다는 상소가 올라오기도 했으며, 1496년에는 우승지, 1497년에는 가선대부 좌승지, 승정원 도승지, 자헌대부 행 승정원 도승지를 지냈다.

1498년에 숭정 이조판서에 임명되었고 1500년에 병으로 사직했다가 판돈녕부사, 우찬성을 지냈고 1506년에 훗날 중종이 되는 신수근의 사위인 진성대군을 옹립하는 반정을 일으키자는 박원종의 제의를 "세자가 총명하니 믿어보자."라고 거절했다가 중종반정이 일어나 3형제가 유자광(柳子光) 일파에게 살해되었다.

2 평가

한편 신수근에 대한 평가는 연산군일기 및 중종실록에는 매우 부정적이나, 영조실록과 국조인물고에는 상당히 긍정적인 평가가 남아있다.

연산군일기에는 도승지가 되자 시기심이 있어 남을 해치는 일이 많고 세력을 빙자해 제 뜻대로 행동해 겉으로는 부드럽게 말하면서도 자기를 좋지 않게 하는 사람에게는 암암리에 중상하고 도승지가 돼서는 승정원의 일을 자기 마음대로 해서 동렬의 사람들이 그가 하는 짓을 비웃었다고 한다.

중종실록에는 중전 신씨(폐비 신씨)의 오빠로 총애를 받고 상당한 뇌물을 받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영조실록에는 영조가 신수근에 대해 "신수근의 마음은 괴로왔고 신수근의 뜻은 확고하였다. 훈척에 연연하지 않고 섬기는 바를 바꾸지 않으며 순박하고 강개하여 자신을 돌보지 않았으니, 만약 포장(褒奬)하지 않으면 어떻게 임금은 임금답게 신하는 신하다운 도리를 바루겠는가? 대신으로 하여금 품처하게 하라." 라고 하였다고 한다. 또 국조인물고에는 신수근이 외척임에도 재산이 없어 노비 수도 매우 적었다고 적고 있다.

아무래도 중종반정을 일으킨 세력이 연산군일기와 중종실록을 편찬한 것을 생각하면, 아무래도 후대의 평가가 조금 더 사실에 가까울 것이다.[1]

3 사극에서

  1. 또 한가지 더 보면 연산군의 신하들 중에서 어찌보면 가장 양신적이다. 정국공신의 대부분이 연산군 치하에 누릴거 누린 이즐인걸 생각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