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Uturi the Baby General
지리산을 배경으로 하는 아기장수 설화 중 하나로, 7차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 국어에 이 이야기가 등장했다.
여기 저기서 전해오는 아기장수 설화 가운데 하나이다. '우투리'는 '우두머리'의 변형이라는 설이 있으며, '동구리'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반쪽이처럼 웃통(상반신)만 있는 아이라 해서 우투리라고 하는 설도 있다. 제주도에도 삼별초와 김방경을 주인공으로 하여 비슷한 설화가 존재한다.
교과서에 실린 것은 보리라는 출판사의 옛이야기 보따리 시리즈 10권에서 가져온 것으로[1], 실린 내용은 여러 구전설화를 모아서 재편집한 판본에 가깝다.
2 줄거리
임금과 벼슬아치들이 폭정을 부려 시달리던 백성들이 영웅을 바라던 때의 이야기다. 지리산에 살던 가난한 부부에게 아이가 태어나는데 어떤 도구를 써도 탯줄이 잘리지 않다가 억새풀울 베어다가 탯줄을 치니 그제야 잘라졌다. 억새 외에 대나무 같은 것을 쓰는 설화도 있다.
부부는 아기 이름을 우투리라 지었으며 우투리는 아기 때부터 남다른 모습을 보였는데, 방에다 잠깐 눕혀놓고 나갔다 오면 아기가 올라갈 수 없는 시렁이나 장롱 위에 올라가 있는 것이다. 이를 이상하게 여긴 부부가 몰래 아이를 바라보니 겨드랑이에 붙은 조그만한 날개로 날아다니던 것이었다. 겨드랑이에 날개가 난 아이는 장차 영웅이 될 아기란 얘기였는데, 영웅이 태어난 걸 알면 높으신 분들이 커서 자기한테 대들기 전에 싸그리 죽여버리려고 그러니 부부로선 기쁨보단 걱정이 더 크게 들었다.
부부는 의논 끝에 아이를 데리고 지리산 깊은 곳으로 숨어들어갔으나[2] 그새 백성들에게 소문이 돌아 높으신 분들의 귀에도 들어갔으며 임금은 장수에게 군사를 맡겨 우투리를 잡으러 보내게 된다.[3] 우투리는 일이 수상함을 알고 감쪽같이 사라졌으며 장군은 우투리의 부모를 잡아 고문을 하지만 그들도 우투리가 어디 갔는지는 모르기에 별 수 없이 며칠 후에 풀어주게 된다. 집에 돌아오니 우투리가 눈물을 흘리며 부모를 기다리고 있었다.
그 이후 우투리가 콩 한 말을 가져와 어머니에게 볶아달라고 했으며 어머니는 콩을 볶다가 한 알이 톡 하고 튀어나오는 걸 보고 배가 고파 그걸 주워먹고 만다. 우투리는 볶은 콩으로 갑옷을 만드는데 어머니가 주워먹은 딱 한 알이 모자라서 왼쪽 겨드랑이 날개죽지 아래를 못 가리게 된다.
우투리는 그 뒤에 어머니에게 '조금 있으면 군사들이 다시 올 것 입니다. 혹시 내가 싸우다 죽거든 뒷산 바위 밑에 묻어 주되, 좀 쌀 서 되, 콩 서 되, 팥 서 되를 같이 묻어주세요. 그리고 삼 년 동안은 아무에게도 묻힌 곳을 가르쳐 주지 마세요. 그러면 삼 년 뒤에는 나를 다시 만날 수 있을 것입니다.'라고 말한다.
그러고 다시 군사가 쳐들어오자 우투리가 그 앞에 나가 대치한다. 군사들은 겁을 먹고서 가까이 오지 못하고 멀리서 활만 쏘지만 전부 콩갑옷에 맞아 힘 없이 부러진다. 그러자 우투리가 왼팔을 들어서 콩 한 알이 모자라 빈 부분을 드러내고 가만히 있는데 그 때 마지막 화살 하나가 날아와 그 부분을 맞춰 전서한다. 군사가 물러나자 우투리의 부모는 우투리의 말 대로 곡식을 준비해 뒷산 바위에 묻어준다.
그 소식을 듣고 이제 안심하고 있었는데 몇년 뒤 백성들 사이에서 우투리가 아직도 생존해 있다는 소문이 임금의 귀에도 들어가자 이번에는 임금이 직접 군사를 거느려 지리산으로 쳐들어갔으며 우투리의 부모를 붙들어 아이를 묻은 곳을 밝히라고 협박하자 어머니가 묻은 곳을 실토한다. 임금은 뒷산 바위로 가서 바위 밑을 파보지만 아무리 파도 아무것도 나오지 않자, 바위 밑이 아니라 바위 속에 무언가 있겠거니 하고 바위를 열어보려고 한다.
바위를 열어보려고 하나 딱히 방법이 없자 이번엔 우투리를 낳을 때 뭔가 이상한 일이 없었으냐고 우투리의 부모를 협박하자 이번에도 우투리의 어머니가 비밀을 알려주었다. 임금이 다시 뒷산으로 가 억새풀로 바위를 치자 바위가 갈라지며 속을 들여다 볼 수 있게 되었다. 그 안을 보니 우투리를 묻을 때 같이 묻은 곡식들이 병사가 되고 말과 무기가 되어 있었다. 바위가 열린 틈으로 바람이 들어가자 그 많은 병사들이 녹듯이 사라졌고, 우투리도 같이 사라졌다. 이때가 딱 3년(혹은 정해진 기간)에서 하루가 빠지는가 모자라는 날이라고 한다.
우투리가 피를 토하고 쓰러졌거나 "너 들어올 줄 알았다. 에미가 원수라."라는 유언을 남기기도 한다. 이성계가 나오는 설화에선 "좋은 자식을 방정맞은 년이 말을 해서 죽였다."라는 이유로 어머니를 살해하는 판본도 있으며 실제로도 이성계는 덕망과 무자비가 미묘하게 공존하는 인물이였다. 아들이 세상을 떠난 이후 부모 모두 혹은 어머니가 연못에 몸을 던져 자결하는 버전이나 우투리가 언젠가 다시 자신이 나타날 것을 예언하고 땅 속으로 사라지는 버전도 있다.
이 뒤로는 지리산 어느 자락에서 날개 달린 말이 며칠 밤낮을 구슬피 울다가 냇물 속으로 사라졌다고 하며 그 뒤로도 물 속에서 말 우는 소리가 들린다는 소문이 돌고, 백성들은 우투리가 이번엔 물 속에서 살아 있다고 믿는다는 이야기.
3 그 외
조력자로 지리산 산신령이 등장하기도 하며 우투리를 도운 지리산 산신령에게 화가나서 임금이 지리산을 경상도에서 전라도로 귀양보낸다는 이야기이다. 이는 태조 이성계가 명산을 찾아다니며 산제를 지낼 때 지리산만 복종을 하지 않아 나라를 도모한 뒤에 지리산을 전라도로 귀양보냈다는 이야기가 미묘하게 짬뽕이 된 것으로 보인다.
구전 설화인지라 다양한 버전이 존재하며 배경이 지리산이 아닌 것도 다수 있으며 구전 설화의 특성상 전해오는 지역마다 사람마다 각기 다른 이야기가 있다.
영웅의 출현을 통해 부패한 세상의 개혁을 원하는 민중의 바람이 스며든 이야기지만 결말이 항상 배드 엔딩이라는 게 특징이다. 이는 기존의 권력에 맞서기에는 너무나도 나약한 소시민의 모습을 묘사한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우투리 엄마 안티카페도 존재한다(...)
뭐 거꾸로 생각해보면, 우투리 부모 입장에선 지은 죄도 없이 자식 때문에 생고생한 이야기로 사회생활 포기하고 이사까지 가고, 그런 노력도 소용없이 고문당하는 등. 콩을 주워먹는 부분에도 '배가 고파'라는 설명이 들어가니 가난한 생활을 추측할 수 있는 부분.
애초에 등장인물이 아니라 그들이 사는 사회가 제일 문제인 이야기로 우투리가 죽임당하는 이유가 '영웅이라서'일 정도이니.
한편,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에 성공한 아기장사 설화가 올라왔다. 심지어는 그 아기장수가 형제로 나와서 용이 된 할아버지와 함께 적을 물리치는 설화도 있다.
그런데 황산대첩에서 이성계에게 패하고 전사한 소년 왜장 아기발도가 우투리의 모델이라는 견해가 있다. 아기발도의 행적과 우투리의 설화가 비슷한 점이 많고, 무엇보다 아기발도란 이름 자체가 일본 이름이 아니라 한국어 아기 + 몽골어 바토르(장수, 영웅)에서 비롯되었기 때문.[4] 이 설을 받아들일 경우 아기 장수를 제거한 왕이 이성계로 나오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으며, 작중에서 지배층이 부정적으로 묘사되는 것도 역성혁명을 일으켜 고려를 멸망시킨 이성계에 대한 민중의 반감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도 있다.
아기 장수를 모티프로 한 애니메이션으로 아장닷컴이 나온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