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크 앙 시엘

アルカンシェル
Arc en Ciel[1]

1 궤적 시리즈에 등장하는 극단.

파일:Attachment/아르크 앙 시엘/ab.jpg

Arc-en-ciel(제로의 궤적)


Arc-en-cie(제로의 궤적 에볼루션)

제로의 궤적벽의 궤적에 등장하는 극단 및 극단이 공연을 하는 장소의 이름. 여기저기에 붙어있는 포스터에서 익숙함을 느꼈다면 그건 아마 뮤지컬 위키드의 그것을 패러디 한 것으로 보인다.

크로스벨 자치주의 관광명소로 꼽힐 정도로 유명한 극단이다. 또한 극단의 프리마돈나인 이리아 플라티에는 크로스벨의 사람이라면 팬이 아닌 사람이 없다고 할 정도로 인기있는 스타이기도 하다.

작중에서는 크게 연관이 없다가 이리아와 연관된 일(협박장이 날아왔다거나 스토커가 붙은 낌새가 느껴진다거나)로 들어가게 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협박장 관련 사건은 2장의 주요 사건이기도 하다.

키리카 로우란은 이들의 공연을 보고 '기술 그 자체는 다른 공연에서도 찾아보려면 찾아볼 수 있지만, 무대에서 불꽃같이 타오르는 열정만큼은 어디서도 볼 수 없는 멋진 공연'이라고 평했다.

소속 캐릭터는 은근히 카레이도 스타에 대한 오마주로 볼 수 있는 부분이 많다. 이리아-레이라, 리샤-소라, 슈리-로제타. 특히 머리색이나 캐릭터 관계를 보면.. 물론 성격 등 차이나는 부분도 많지만.

비중있는 조연들이 많은 만큼 스토리에서 여러 차례 언급되곤 하는데 그중에도 가장 큰 부분은 역시 벽의 궤적 엔딩, 크로스벨이 제국의 지배를 받는 모습과 로이드를 포함한 일행들이 각지 흩어져 저항활동을 벌이는 암울함[2]이 지나고 아르크 앙 시엘 건물의 빛이 들어오며 이리아, 리샤, 슈리가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장면은 크로스벨의 해방 그 자체를 상징함과 더불어 상당한 명장면. 정말 클리어의 보람이 없게 만들던엔딩 후 스토리가 그리 암울하지만은 않을 것임을 보여주었다. 그런데 섬의 궤적2는 제국령 크로스벨이다. 프리퀄인가

1.1 구성원

2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 시리즈에 등장하는 병기

발동 지점을 중심으로 백 몇십km 범위의 공간을 왜곡시켜 반응소멸을 일으키는 마도포. 시공관리국이 보유한 마법 병기 중에서도 최강으로 묘사된다. 하지만 그 피해 범위가 너무나 크기 때문에 함부로 사용할 수 없다.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 A's에 등장하는 로스트 로기아어둠의 서의 폭주한 방어프로그램을 파괴할 방법이 아르크 앙 시엘뿐이기 때문에 작중에서는 대 어둠의 서 결전병기 정도로 취급받으며, 실제로 11년 전에 함선 1대를 먹어치운 어둠의 서를 파괴하는데 사용되었다. 이때 함선에서 탈출하지 않고 어둠의 서를 막고있던 크라이드 하라오운이 사망하였다.

작중에서는 차원항행함 아스라에 장비되었으며, 최종결전 시에 타카마치 나노하의 아이디어로 격전 끝에 분리시킨 어둠의 서의 방어 프로그램의 코어를 우주 공간으로 보낸 뒤에 파괴하여 주변에 미치는 피해를 최소화하였다.

나노하 A.S DVD 6 북클릿에서 공개된 설정에 의하면 아르크 앙 시엘의 소멸 범위는 최대 사거리보다 크다고 나온다. 즉 소멸 범위가 직경 백몇십km의 범위인데 반해 최대사거리는 몇십km 정도밖에 안된다는 것. 이것만 보면 자살병기가 따로 없지만 다행히 착탄 후 소멸반응까지 걸리는 시간이 있어서 그 사이에 안전 거리까지 대피 할 수 있다.

4기 코믹스 마법전기 리리컬 나노하 Force에 등장하는 휴케바인 일가의 아지트 비공정 휴케바인은 아르크 앙 시엘의 직격을 버텨낸 전적이 있다고 한다. 이것은 방어력이 높아서가 아니라, EC 디바이더나 비공정 휴케바인을 비롯한 이클립스 웨폰은 모든 종류의 마법 공격을 무효화하기 때문이다.
  1. 프랑스어. 영역하자면 arch of sky 즉 하늘의 아치=무지개다. 프랑스어에서는 보통 명사의 마지막 자음 다음에 모음이 오면 연음이 되므로 외래어표기법에 따라 '아르캉시엘'로 써야하지만 '라르크 앙 시엘'이라는 유명 밴드로 많이 알려져 있으므로 이 이름으로 표기함. 물론 이 밴드 표기명도 엄밀히 말하자면 한국어 오기다. 제로의 궤적 PC판 한글패치에서는 아르캉시엘로 올바르게 번역되었지만 섬의 궤적 2 번역은 여전이 아르크 앙 시엘로 번역되었다.
  2. 이 과정에서 계절이 흐르는 묘사가 함께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