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무새와 담당 과학자였던 아이린 M. 페퍼버그. |
이름 | 알렉스(Alex) |
종 | 아프리카 회색 앵무 |
생몰년 | 1975년 ~ 2007년 9월 6일(31세) |
입양장소[1] | 미국 시카고 오헤어 국제공항 근처 애완동물 가게 |
사망지 | 미국 매사추세츠 주 월섬, 브랜다이스 대학교 |
비고 | 천재 앵무새 |
1 소개
천재 앵무새라고 불리는 아프리카 회색 앵무새. 인디애나주 퍼듀대학 소속의 아이린 페퍼버그 박사가 연구하고 훈련시킨, 현재까지의 알려진 앵무새들 중 가장 지능이 뛰어났다고 평가되는 앵무새다.
2 언어구사력
실제로 말을 할 줄 아는 것을 넘어 인간에 가까운 지능이 있는 게 아닌가 의심될 만큼 복잡한 언어를 구사했다. 실은 위키니트들보다 영어를 더 잘했다 카더라부리를 닦을 헝겊을 정중하게 요청하거나, 꾀를 부리거나, 심지어는 거짓말, 떼쓰기 같은 고도의 정신활동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 덧붙여 100여 개의 영단어를 구사하고,[3][4] 50개의 사물을 식별하며, 1부터 8까지의 숫자를 셀 수 있었다.[5]
동물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 사이에는 웬만한 사람들보다 더 유명하며, 타임지[6], 이코노미스트[7], 네이처 등 각종 유명지에 실린 VIP. 새팔자가 상팔자 워낙에 유명했던지라 유튜브 등지에서 여러 방송 출연분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평균 수명이 50세 정도에 주변 환경만 좋다면 100살 가까이 살 수 있는 대형 앵무새임에도 불구하고 31살의 젊은(?) 나이에 요절해 많은 사람들이 안타까워하였다. 원래 천재는 일찍 죽는다잖아 죽기 전날에 "You be good.[8][9] See you tomorrow. I love you"란 유언을 남겼다고 한다.[10]
3 알렉스의 과학적 의미
과학계나 여러 동물 관련 계열에는 상당한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동물이란 그저 일정한 자극을 주면 반응하여 특정 결과를 산출하는 로봇쯤으로 간주하던 기존 패러다임을 상당히 뒤집어 놓았기 때문.
1970년대에 과학계 인식을 나타내는 한 총회가 있었는데, 그 이름은 <영리한 한스 현상, 말, 고래, 유인원과 사람들의 의사소통>으로, 동물 언어 연구자들의 작업을 비난하기 위해 기라성 같은 과학자들이 한데 모인 대대적인 행사였다. 총회의 주도적인 분위기는 "그들은" 말할 수 없고 오로지 "우리만" 말할 수 있다는 오랜 편견을 전제로 하고 있었다.
아이린 페퍼버그씨가 알렉스의 언어학습훈련을 하면서 각종 비난 및 곤궁을 겪은 것도 학계가 저렇게 생겨먹었기 때문. 그녀는 자신의 고생담을 수필 '천재 앵무새 알렉스와 나'에서 적었다. 어느 정도였나면, 연구비를 지원받으려 했더니 답변이 "앵무새 언어 학습을 연구한다는 것 자체가 정신이 나간 짓이며 그런 데에 줄 돈은 없다"였다고 한다.
다만 아직까지도 일부 학자들은 알렉스가 정말로 언어를 구사할 수 있었는지에 대해 회의를 나타내기도 하는데, 언어를 '이해' 했다기보다 '무작정 외운 것' 아니냐거나 '알렉스를 대상으로 실험을 할 때면, 언제나 보상이 있었다(즉, 올바른 대답을 이끌어내기 위한 장치가 있었다)' 라는 등의 주장을 하고 있다. 즉 위에서도 언급된 영리한 한스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경우라는 것인데, 이에 대해 알렉스가 언어를 구사할 수 있었다고 주장하는 쪽에서는 처음 보는 사람을 비롯해 누가 질문을 하더라도 제대로 답을 했다며 반박하고 있다.
더구나 언어를 제대로 구사하는 앵무새는 알렉스 말고도 여러 마리가 존재한다. 자세한 항목은 앵무새 참조. 앵무새가 아니더라도 고릴라 코코처럼 수화로 인간과 의사소통이 가능한 동물들도 존재했다.
4 기타
- 알렉스를 담당하던 과학자인 아이린 페퍼버그가 알렉스와 함께 했던 이야기를 담은 책인 Alex & Me가 출간되기도 했다. 이 책은 한국에도 알렉스와 나라는 이름으로 번역되어 2009년에 출간되었다.
- 현재 중학교 3학년 과정에서 알렉스와 관한 이야기가 교과서에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