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항목 : 야마하, 야마하/신디사이저 목록, 신디사이저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이 문서는 토막글로 분류되는 800바이트 이하의 문서입니다. 토막글을 채우는 것은 기여자의 따뜻한 손길입니다. 이 틀을 적용할 시 틀의 매개변수로 분류:토막글의 하위 분류 중 적절한 분류를 지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문서는 토막글로 분류되는 800바이트 이하의 문서입니다. 토막글을 채우는 것은 기여자의 따뜻한 손길입니다. 이 틀을 적용할 시 틀의 매개변수로 분류:토막글의 하위 분류 중 적절한 분류를 지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야마하/역대 파생형 신디사이저 | ||
1987~1989 | ~ | 1988~2007 |
V시리즈 | → | EOS시리즈 |
1 시리즈 목록
1.1 V2
1987년 출시. DX11이라는 이름으로 팔리기도 했다.
1.2 V50
1989년 출시.
파생형 주제에 "야마하 최초의 워크스테이션 신디사이저"[1]어? SY77 아니었어?[2]
DX100을 베이스로 만들어져서 그런지 FM 신디사이저다.[3]
- 참고 : V50이 망한(?) 이유[4]
서태지가 서태지와 아이들 1집의 타이틀 곡인 <난 알아요>를 만들 때 썼던 신디사이저가 V50이라고 한다. 동영상 댓글 참조.
2 사용 뮤지션
-
마라카스왕자아키야마 카츠히코[5] - P-MODEL(해동 P-MODEL 시기 : 1991~93)[6] - V50 - 릭 웨이크먼(예스(밴드)) - V50
- 코무로 테츠야(TM NETWORK) - 1988~89년 CAROL "A DAY IN A GIRL'S LIFE 1991" 라이브 투어에서 V50을 3대나 사용했다고 한다.
다만 라이브 영상에서는 안 나온다.
- ↑ 세계 최초는 코르그의 M1(1988년 출시)이다.
- ↑ 실질적으로는 SY77이긴(똑같이 1989년에 발매) 하다. 왜냐하면 이 모델의 인기와 판매량이 좋지 않은 점도 있고, 일본 내에서는 EOS 때문에 묻히기도 하기도 했고, 그리고 이 모델이 좀 홍보가 덜 되어있다. 사실 (출시 당시 기준) 포지션 상으로도 DX7S와 EOS B200의 중간에 있다보니 상당히 애매한 물건.
- ↑ SY77은 FM주파수와 WM음원을 혼합해서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신디사이저이다.
- ↑ 정리하자면 "DX100과 다를 바 없는 소리+내장된 리버브 이펙터가 FM 신디사이저의 특징을 깎아먹음"이라 할 수 있겠다.
근데 그냥 이펙터를 끄거나 사용을 안하게 설정하면 되잖아 - ↑ 케이온!의 아키야마 미오의 모티브가 된 인물이기도 하다.
- ↑
주인 잘못 만나서발로 걷어 차인 적 있다(…).(3분 56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