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관
조선시대 효종 때 부터 열린 청주, 대전, 공주, 대구, 전주, 원주 등에서 한약재를 전문적으로 유통·판매하는 재래시장으로 그 중에서도 대구 약령시가 유명하다.
2 대구 약령시
대구광역시의 재래시장 | |||||||||
3대 재래시장 | 서문시장 | 칠성시장 | 관문시장 | ||||||
주요 재래시장 | 교동 ‧ 동구 ‧ 동서 ‧ 서남 ‧ 신천 ‧ 약령시 ‧ 와룡 ‧ 팔달 ‧ 평화 | ||||||||
기타 재래시장 | 남구 | 명덕 ‧ 봉덕 ‧ 성당 ‧ 영선 | |||||||
달서구 | 월배 | ||||||||
달성군 | 화원 ‧ 현풍백년도깨비 | ||||||||
동구 | 동대구 ‧ 동대구역전 ‧ 방촌 ‧ 송라 | ||||||||
북구 | 산격 ‧ 서변 ‧ 대구농수산물도매 ‧ 칠곡 | ||||||||
서구 | 서부 ‧ 신평리 ‧ 원고개 | ||||||||
수성구 | 목련 ‧ 상동 ‧ 수성 ‧ 신매 ‧ 청구 | ||||||||
중구 | 남문 ‧ 떡전골목 ‧ 방천 ‧ 번개 ‧ 염매 |
대구광역시 중구 남성로 일대의 골목 재래시장으로 주요품목은 한약재. 덕분에 근방에 한약방과 한의원이 많고, 근처에 가기만 해도 씁쓰르한 한약냄새가 풍긴다. 약전골목이라고도 불린다. 여담으로 이곳에서 동쪽으로 조금만 가면 대구 최대 번화가인 동성로가 나온다.
대구 약령시의 발생과정에는 여러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약재 채집의 효율성이라는 국가적 필요로 인해 정부의 지원하에 설치되었다는 것이고, 둘째는 지리적으로 좋은 약재터 환경을 가진 경상도 지방의 약재를 중국에 보내는 조공품의 하나로 제공하기 위해 개설되었다는 설, 셋째는 일본의 조선약재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수출용 약재의 효율적인 수집을 위해 대구 약령시가 발달하기 시작했다는 설이 있다. 결론은 3가지 다 어느정도 영향을 미친걸로
2.1 대구 약령시 한방문화축제
대구 약령시 한방문화축제는 조선시대 약령시 개장행사를 현대적으로 승화시켜 1978년 제1회 달구벌 축제 행사의 일환으로 개장행사가 개최된 것을 기점으로 매년 5월초 전통 한의약 축제로 대구 약전골목 일원에서 개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