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학

藥學 / Pharmacy

1 개요

과학의 범위
자연과학물리학 · 화학 · 생명과학(생물학) · 지구과학 · 천문학
형식과학수학 · 통계학 · 논리학 · 암호학 · 이론전산학 · 결정이론
응용과학공학 · 의학 · 수의학 · 치의학 · 약학 · 건축학 · 농학 · 컴퓨터과학
사회과학정치학 · 사회학 · 경제학 · 지리학 · 인구통계학
과학이 아닌 것유사과학 · 비과학 · 반과학 · 변경지대의 과학 · 인문학

나라마다 커리큘럼이 많이 다르나 기본적으로 약사를 양성하는 약학대학에서 가르치는 것이라고 정의하면 크게 틀리지 않는다. 약사의 법적업무가 나라마다 달라서 무엇이 약사의 업무냐에 따라 약학의 정의도 바뀌게 된다. 이런 애매모호한 정의말고 순수하게 학문적 정의를 찾는 다면 약학대신 약리학을 찾아볼 것. 이것은 유치원교사 양성이 목적인 유아교육학과 순수학문인 아동심리학의 관계와 똑같다. 만약 시대가 바뀌어서 유치원교사에게 아동심리학지식이 더이상 필요하지 않다면 유아교육학의 내용은 바뀌게 되는 것이지만 아동심리학자체는 내용이 바뀌지 않는다.

2 범위

기초의학: 현재 (6년제) 약사 면허 시험 제 1영역에 해당하는 과목들을 포함한다. 해부/생리/병리학, 생화학, 미생물/면역학, 약리학, 예방약학, 독성학 등
제약약학: 약사 면허 시험 제 2영역에 해당하는 과목들을 포함한다. 분석화학, 천연물의약품화학, 의약화학, 생약학, 의약합성화학, 제제(공)학[1], 생물의약품학, 물리약학, 약물역학
임상약학: 약사 면허 시험 제 3영역에 해당하는 과목들을 포함한다. 조제실무, 약물치료학(임상약학)[2], 약물유전체학, 약물동태학, 예방약학[3]
보건학: 약사 면허 시험 제 3 영역 및 4 영역에 해당하는 과목들을 포함한다. 의약품경제학, 약무행정학[4], 약사법규
등을 약학대학에서 학부과정에서 다룬다. 약사고시 평가 과목은 다음과 같다.

4년제 약사고시 과목 : 약물학, 생화학, 미생물학, 정성분석학, 정량분석학, 생약학, 위생약학, 무기제약, 유기제약, 약제학, 대한민국약전, 약사 및 마약류 관리 법률 [5]
6년제 약사고시 과목 : 1 영역 (생화학, 예방약학, 미생물학, 약물학, 병태생리학), 2 영역 (물리약학, 의약품합성 및 의약화학, 분석화학, 약제학, 생약학), 3 영역 (약물치료학, 처방 검토 및 조제, 투약과 복약지도,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약무행정 및 경영관리), 4 영역 (약사법 및 마약류 관리 관련 법률)

이렇게 서로 다른 계열의 과목들이 들어있는 이유는 역사적맥락으로 볼 때 약사(藥事)에 포함되는 일, 즉 법적으로 '약사법'의 규정 범위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달라졌기 때문이다.

3 약학을 전공하는 방법

3.1 학부에서 전공

약학대학 학부과정을 졸업하면 약사 면허를 딸 수 있는 국가고시를 치를 수 있게 된다. 이를 합격하면 약사가 된다.
약학대학의 학제가 6년제로 개편된 2011년 부터는 수능이 아닌 약학대학입문자격시험를 통해 대학에서 공부한 기초과학을 평가받은 후 약학대학에 입학하며, 입학 후에는 4년제의 1학년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기초과학과 교양과목은 수강하지 않는다. 마지막 6학년에 이르면 모든 과정을 마치고 한 해 동안 기초실습과 심화실습으로 나뉘어 지역약국, 제약회사, 3차 의료기관(흔히 볼 수 있는 대학병원들이 이에 속한다)에 파견되어 일정 기간동안 수련하게 된다. 보통 기초실습이 모든 영역을 맛보기로 다 돌아다니는 반면, 심화실습에서는 위에 나열한 영역들에 연구기관(대학원[6])을 추가하여, 이들 중 본인이 원하는 분야를 특정하여 10주~15주간의 실습기간을 갖게 된다. 이때, 본인이 원한다면 외국계 제약회사에서 인턴쉽 형식으로 근무하고 실습으로 인정을 받을수 도 있다.

3.2 대학원에서 전공

농학, 생물학, 화학, 생명공학 등의 관련 전공을 한 뒤 약학대학 대학원에 지원하면 된다. 교수들의 세부전공이 약사국가시험과목별로 구분되어있기 때문에 그 용어와 분류체계에 익숙하지 않은 외부인들은 처음엔 어리둥절할 수 있으나 결국은 위에 언급한 것처럼 유아교육학이 아닌 아동심리학같은 순수학문의 주제에 한정해서 매우 협소한 범위의 기초연구를 해당세부분야전공자와 경쟁하며 연구해야한다. 즉 대학원 수준에선 약대만의 고유영역이라는 게 거의 없다. 다시말해 전공이 면역학이라면 "약학면역학"이라는 저널이 아니라 국제적 의학저널인 Immunity에 투고해야하는 것이다.

3.3 의사로서 전공

큰 병원의 임상약리학과 수련의 과정에 지원하면 된다.

4 기타

디시인사이드에 약학을 다루는 약학 갤러리가 있다.

대한약사회에서 운영하는 약에 대한 정보를 볼 수 있는 약학정보원 이라는 사이트가 있으니 애용해 보자. 의약품 이름 검색 뿐만 아니라 집에 굴러다니는 이름모를 정체불명의 약을 그 생김새로 무슨 약인지 알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의약품 식별 서비스도 제공한다.

여담이지만, 대한민국의 행정법 중 藥事법은 약사들을 위한 법이 아닌 약에 관련된 모든 사적 행위들을 규제하는 법을 의미한다.

비슷한 예로 정부 단체 중 중앙藥事심위위원회 도 藥事와 관련된 심의를 하는 기관이지 약사들이 심의하는 곳이 아니다.

대한약전 에서는 각종 의약품들의 표준을 다루고 있다.
  1. 약제학이라고도 한다.
  2. 의대의 임상과목처럼 질환별로 사용되는 약물을 다룬다.
  3. 기존의 명칭은 위생약학
  4. 일부에선 사회약학이라고도 부른다.
  5. 기존 4년제 제도 하 약사고시는 제 66회를 마지막으로 사라졌다.
  6. 대학원에 진학하게 하려는 교수들의 사심이 반영된 제도이다.연구기관 실습에 들어가는 비용을 아끼기 위해서 모교 대학원 연구실에서 실습하는 경우로, 실재로는 학부생들을 귀찮아하는 교수들이 많다. 자연대등에서는 학부생이 연구에 참여하는 것은 권장사항일뿐 학점에 반영하지는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