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변 조선족 자치주

(옌볜 조선족 자치주에서 넘어옴)

1 개요

延边朝鲜族自治州 / 延邊朝鮮族自治州

530px-Yanbian-map.png

연변(延邊, Yánbían, 옌볜) 조선족 자치주는 은 중국 길림성의 행정 구역이다. 주도(州都)는 연길이며, 면적 43,474km²이다. 인구는 2010년 기준으로 227만 1,600명이며, 인구 중에서는 한족이 64%, 조선족이 32%, 만주족이 2%를 차지한다.

북쪽에 위치한 연유로 기후는 추운 편이다. 연길의 1월 평균기온은 -13.6℃이며, 7월 평균기온은 21.5℃이다.# 연강수량은 528mm로 적은 편. 서북쪽 둔화의 경우 더 추워서 1월 평균기온이 -16.6℃에 달해 중강진(-16.1℃)과 비슷한 수준.

과거 간도(間島)라고 불렸던 지역으로 만주국때 간도성이 설치됐다. 만주국(1932-45)과 중화민국 시대(1945-49)에 연변의 여타 지역은 간도성/송강성에 속해 있었으나, 돈화는 길림성에 속했었다.

중공 수립 직후인 1952년 9월 3일(소위 구삼절(九三節). 자치주 차원의 공휴일) 조선족자치구가 되었다. 6.25 전쟁에서 북한군의 주력으로, 그리고 중공군에 참전하여 북한 공산정권을 위해 숱한 피를 흘렸는데 1952년 설립된 연변조선족자치구(延边朝鲜族自治區)가 전후 1955년 조선족이 극히 드문 돈화가 편입되며 연변조선족자치주(延边朝鲜族自治州)로 격하된것(...)[1] 중국은 소수민족 자치구역으로 자치구가 1급이고 자치주가 2급이다. 비록 조선족자치구가 위구르티베트, 내몽골와 같은 동급의 자치구역은 아니었다고는 하나 명칭뿐이더라도 내려앉은 것. 그야말로 토사구팽

돈화를 제외해도 현재는 조선족의 비율이 38%에 불과하다. 자치주는 기본적으로 소수민족 비율이 30%이상이어야 지정되는데 줄어드는 인구로인해 수십년 이후에는 자치주가 사라질수도 있다고 한다.[2][3] 조선족의 출산율은 저출산 문제가 심각하다는 한국보다도 낮은데, 2010년 기준으로 조선족의 합계출산율이 0.98이었다. 1990년대까지 출산율이 그리 낮지는 않았지만(통계상으로 보면 1999년까지 출산율이 2명대에 달했다.) 이촌향도의 영향으로 출산율이 급속하게 줄어든것이다.

연변 지역의 소득 수준은 상위권이었지만 공업이 별로 발달되지 않았다. 애초에 연변지역이 중국 대도시와는 상당히 멀리 떨어져있고, 공장이 위치해있기에도 중국내 단동같은 주요항구로부터 너무 멀리 떨어져있어서 별로 메리트가 없기 때문이다. 북한과 인접해있다는것이 그나마 연길이 가진 메리트라 할수있었지만 폐쇄된 북한의 상황때문에 북한의 항구를 쓰기 쉽지 않고 설상가상으로 90년대 이후에는 북한의 구매력이 형편 없어지면서 공업의 발달이 지체되었다. 거기에다가 개혁개방이 본격적으로 진행된 이후로부터 많은 조선족들이 돈을 벌려고 대한민국이나 중국 내에 있는 대도시로 일하러 가서 인구수도 급감하였고, 공업의 발전이 이루어질래야 이루어질 수 없었다. 한편 대한민국크고 아름다운 것에 환장한일부 극우주의자에게는 수복해야될 영토로 여기는 지역이기도 하다.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최동남단의 혼춘(훈춘)을 동북지역의 출해구(出海口)로 여기고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러시아의 크라스키노-블라디보스토크, 우수리스크등 러시아 극동지역 도시로의 육로 이동도 가능하다. 물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

특징으로 연변 곳곳의 가게들을 보면 한글 간판 위에 쓰고 아래에 중국어를 병기한 경우나 좌우로 한글중국어를 병기해 놓은 곳이 많은데, 가게의 경우 한글을 써 넣지 않으면 가게 허가가 안나기 때문이라고 한다. 조선족 상점은 한국식 세련된 폰트나 북한 폰트(...), 한족 상점은 굴림체나 돋움체, 궁서체 계열을 많이 쓴다. 자치주 외에서도 조선족이 많이 사는 하얼빈, 무단장 등의 도시 일부 지역에서 이러한 간판 형태가 발견되기도 한다. 그리고 훈춘의 경우 러시아 접경으로 러시아어-한국어-중국어의 3개 언어 병기를 볼 수 있으며 이 곳 조선족들은 러시아어를 섞어 쓴다.[4]

어쨌거나 한국과 이래저래 교류가 많고 경제적 문화적, 사회적으로도 한국의 깊은 영향을 받기에 한국 영사관이 설치되어 있을거 같지만 한국 영사관이 설치되어 있지는 않다. 그래서 연변 주민들이 한국행 비자를 발급받을려면 영사관이 설치되어있는 심양까지 가야된다(...)

최근에는 북한의 핵실험으로 방사능 유출에 대한 불안감이 심화되자 방사능 오렴에 대한 검사를 하고 있다.#

2 예하 행정구역

  • 6시 : 연길 용정 화룡 도문 돈화 훈춘[5]
  • 2현 : 안도 왕청

3 인구

도시명총인구조선족 인구 (명)조선족 인구비율
연변연길시410,000200,00048.8%
용정시250,000190,00076%
화룡시210,000152,00072.4%
도문시130,00082.00063.1%
훈춘시220,00080,00036.4%
돈화시480,00022,0004.6%
안도현210,00052,00024.8%
왕청현250,00085,00034%

= 총합 2,160,000명 인구 중 조선족은 863,000명(40%)
총인구는 2003년 추정치. 조선족 인구 기준 연도는 추가바람. 조선족 비율은 총인구와 조선족 인구가 같은 해에 측정되었다고 가정, 산출했다.

4 관련 문서

  1. 돈화의 편입은 조선족자치주를 약화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돈화지역은 자치주의 다른 지역과 달리 조선족이 거의 살고 있지 않은 지역이었기 때문이다.
  2. 나 혼자 산다에서 김광규백두산 방문했을때 가이드가 직접 언급
  3. 다만 원칙적으로는 그렇다고 하지만 소수민족 비율이 낮은 자치주들도 찾아보면 얼마든지 있다.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위차한 창지 회족 자치주(昌吉回族自治州)의 경우 1954년 자치주로 설정되었으나, 2010년 기준으로 회족의 비율은 9%, 위구르족의 비율은 4%에 불과하고 인구의 75%가 한족이다. 실제 중국에서 폐지되는 자치 지역의 경우 소수민족의 인구가 적다기보다는 상위 행정구역으로 승격하거나, 혹은 주변 대도시에 편입되는 경우이다.
  4. 조선족들의 외래어 차용어는 중국어를 제외하면 대개 러시아어 차용어들이며 일제시대를 겪은 세대들은 일본어의 영향도 받고 있다. 영어 차용어와 일부 불어 차용어가 존재하는 남한식 한국어와 달라 서로 말이 안 통하기도 한다. 애초에 동북 방언에 중국어와 러시아어 차용어들이 많다. 뭐 근래에는 남한식 한국어의 영향도 점점 많아지는 추세지만.
  5. 한국 한자음으로는 혼춘이나, 조선족들은 중국음으로 훈춘으로 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