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니구모(이누야샤)

Onigumo1.jpg

鬼蜘蛛

일본판 성우한국판 성우
야나카 히로시홍시호

이 작품의 최종보스 겸 만악의 근원 나라쿠 탄생의 원흉 중 하나
이놈만 없었어도 이누야사와 키쿄우는 해피엔딩

이누야샤의 등장인물.

50년 전, 무수한 악행을 벌이던 도적으로 무슨 까닭인지[1] 전신에 화상을 입고 절벽에서 떨어진 탓에 전신을 움직일 수 없는 폐인이 되었다.

다만 이 와중에 등짝에 새겨진 거미 모양의 문신 혹은 화상 자국만은 무사했는데 아마 이름과 연관이 있는 것 같다.

그 후 키쿄우에게 수습되어 동굴로 옮겨져 간호받았다. 물론 키쿄우도 그가 악당이라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누워있는 게 전부인 사실상 시한부 인생이라 죽기 전에 자비를 베푼다는 느낌으로 돌봐준 듯 하다.[2]

이에 반해 그는 자신을 간호해 주던 키쿄우에게 흑심을 품었고, 그 추잡한 마음이 자신들을 퇴치하고 사혼의 구슬을 정화하던 그녀에게 원한을 가진 수많은 요괴들을 그가 있던 동굴로 끌어들였다.

그는 자신을 요괴들이 하나로 융합해 강력한 존재로 거듭나기 위한 이음새로 내주는 대가로 키쿄우와 자유로운 몸을 원했고 계약이 성립되어 요괴들은 그를 뜯어먹고 이를 매개로 하나로 합쳐져 훗날 나라쿠라 불리는 괴물로 재탄생했다.

허나 그의 바람과는 달리 융합체의 심신 대부분을 차지하던 요괴들의 집단의식은 키쿄우와 이누야샤를 이간질해 서로를 공격해 배신감과 증오 속에 죽게 만들었다.[3]

그 후 그의 마음은 나라쿠 속 깊히 묻혀있었다가 무소우에 담겨 시험삼아 배출됐었다. 아마 무소우가 쓰러지면서 본인의 혼도 끝장났을 것으로 추측된다.

작품 내내 오니구모의 얼굴은 단 한 번도 공개되지 않는다. 회상 장면에서도 그의 얼굴은 가려져 있거나 검게 칠해져있다.

몸이 멀쩡한 시절에도 무수한 악행을 저지르고 다녔으며, 다 죽어가던 상황에도 자길 돌봐준 사람에게 흑심이나 품어대는 걸 보면 정말 인성 하나는 최악에 속하는 인간이었으리라 추측된다.[4]
  1. 애니판에서는 이에 대한 과거사가 추가된다. 원래는 도적이었는데 라세츠(나찰)이라는 도적단의 동업자(백령산 편 초반에 그곳에서 죽고 싶었으나 지금의 몸 상태론 가기 힘들다고 머리카락을 잘라 키쿄우에게 대신 묻어달라던 노쇠한 도적)에게 사혼의 구슬을 빼앗자고 제안했다가(사실 라세츠의 수하들을 뺏기위해 이누야샤의 손을 빌려 나철을 제거하려는 오니구모의 음모였다) 그가 이누야샤에게 당해 애꾸가 되는 등 구사일생으로 살아남자 이에 대한 보복으로 그 꼴을 당했다고 한다. 뭐 제안은 오니구모가 했으니 둘 다 작품 만악의 근원이지만.
  2. 화상입은 건 그렇다 치고도 절벽에서 떨어졌다면 정신이라도 살아있는 게 용한거다(...) 아마 전신의 뼈와 내장, 신경 등이 떨어져서 바닥에 부딪혔을 때의 충격으로 인해 상당수준으로 손상되었을 확률이 높으니, 현대보다 의술이 떨어지는 전국시대 무렵에선 그냥 고통스러워하면서 죽거나, 누가 목숨을 끊어주는 식으로 죽는 게 다였을 것이다. 게다가 몸을 못 움직이니 욕창도 생겼을 것이고...
  3. 당연히 요괴들 입장에선 자기네들을 퇴치하는 걸 주업으로 삼던 키쿄우에 대한 원한이 강했고, 그들의 원한을 만족시키는 방식으로 키쿄우를 죽게 만들고 싶었을 것이다. 자진해서 이음새가 되겠다고 한 인간의 속내 따위를 알게 뭔가(...)
  4. 동업자였던 라세츠 조차 오니구모가 자신과는 비교도 안되는 잔혹한 악당이라고 한 걸 보면 얼마나 악질이인지 짐작이 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