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사조약에 찬성한 다섯 대신에 대해서는 을사오적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五賊
시(詩)를 쓰되 좀스럽게 쓰지 말고 똑 이렇게 쓰럈다/ 내 어쩌다 붓끝이 험한 죄로 칠전에 끌려가/ 볼기를 맞은 지도 하도 오래라 삭신이 근질근질/ 방정맞은 조동아리 손목댕이 오물오물 수물수물/ 뭐든 자꾸 쓰고 싶어 견딜 수가 없으니, 에라 모르겄다/ 볼기가 확확 불이 나게 맞을 때는 맞더라도/ 내 별별 이상한 도둑이야길 하나 쓰겄다그리고 실제로 볼기가 불이 나게 맞았다(...)
1 개요
김지하가 1970년 사상계에 발표한 풍자시. 재벌, 국회의원, 공무원, 장성, 장차관을 을사오적에 빗대어 1970년대 당시 한국사회에 만연했던 부정부패와 비리를 해학적으로 풍자하였다. 당연히 시대가 시대였던만큼 그 후폭풍은 엄청나서 김지하를 필두로 사상계의 편집진들이 줄줄이 코렁탕을 먹었으며 결국 사상계는 이 사건을 빌미로 강제로 폐간되게 된다.
2 줄거리
판소리의 형태를 계승한 서사시의 일종으로 크게 다음과 같은 줄거리로 이루어져있다.
1. 오적 소개
또 한 놈 나온다. / 국회의원 나온다. / 곱사같이 굽은 허리, 조조같이 가는 실눈, / 가래끓는 목소리로 웅숭거리며 나온다 / 털투성이 몽둥이에 혁명공약 휘휘감고 혁명공약 모자쓰고 혁명공약 배지차고
2. 포도대장에게 오적을 체포할 것을 지시
여봐라 / 게 아무도 없느냐 / 나라 망신시키는 오적을 잡아들여라 / 추상같은 어명이 쾅, / 청천하늘에 날벼락 치듯 쾅쾅쾅 연거푸 떨어져 내려 쏟아져 퍼부어싸니 / 네이- 당장에 잡아 대령하겠나이다, 대답하고 물러선다
3. 꾀수가 오적으로 오인받아 고문을 받음
애고 애고 난 아니요, 오적(五賊)만은 아니어라우. 나는 본시 갯땅쇠로 / 농사로는 밥 못 먹어 돈벌라고 서울 왔소. 내게 죄가 있다면은 / 어젯밤에 배고파서 국화빵 한 개 훔쳐먹은 그 죄밖엔 없습넨다. / 이리 바짝 저리 죄고 위로 틀고 아래로 따닥 / 찜질 매질 물질 불질 무두질에 당근질에 비행기 태워 공중잡이 / 고춧가루 비눗물에 식초까지 퍼부어도 싹아지없이 쏙쏙 기어나오는건 아니랑께롱
4. 꾀수가 오적들의 거처를 밝힘
꾀수놈 이 말듣고 옳다꾸나 대답한다. / 오적(五賊)이라 하는 것은 재벌, 국회의원(獪狋猿), 고급공무원(跍礏功無獂), 장성(長猩), 장차관(瞕矔)이란 다섯 짐승, 시방 동빙고동에서 도둑시합 열고 있오.[1]
5. 오적을 체포하기 위해 포도대장이 출동
오적(五賊) 잡으러 내가 간다 / 남산을 훌렁 넘어 한강물 바라보니 동빙고동 예로구나 / 우뢰 같은 저 함성 범같은 늠름 기상 이완대장(李浣大將) 재래(再來)로다 / 시합장에 뛰어들어 포도대장 대갈일성, / 이놈들 오적(五賊)은 듣거라 / 너희 한같 비천한 축생의 몸으로 / 방자하게 백성의 고혈 빨아 주지육림 가소롭다 / 대역무도 국위손상, 백성원성 분분하매 어명으로 체포하니 오라를 받으렷다
6. 포도대장이 매수[2]당해 오적의 주구가 되고 엉뚱한 꾀수가 체포
이리 속으로 자탄망조하는 터에 / 한 놈이 쓰윽 다가와 써억 술잔을 권한다 / 보도 듣도 맛보도 못한 술인지라 / 허겁지겁 한잔 두잔 헐레벌떡 석잔 넉잔 (중략) / 포도대장 뛰어나가 꾀수놈 낚궈채어 오라 묶어 세운 뒤에 / 요놈, 네놈을 무고죄로 입건한다.
7. 오적과 포도대장이 벼락을 맞고 급사. 권선징악
어느 맑게 개인 날 아침, 커다랗게 기지개를 켜다 갑자기 / 벼락을 맞아 급살하니 / 이때 또한 오적(五賊)도 육공(六孔)으로 피를 토하며 꺼꾸러졌다는 이야기. 허허허
3 특징
내용이 워낙 파격적이다보니 사람들이 쉽게 지나치는 점이지만 오적은 문학적인 측면에서도 상당히 기념비적인 작품이다. 쓱 읽어만 봐도 일반적인 현대시와 다른 몇가지 독특한 점들을 찾아낼 수 있는데
- 함축적인 운율미가 대부분인 현대시와는 달리 한국 고유의 전통 시가인 가사, 판소리, 타령의 형식을 빌렸다는 점.[3]
- 액자식 구성.[4]
- 풍자와 조소를 통하여 적극적으로 화자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있다는 점.
- 잦은 의성/의태어 및 비속어 사용.
- ↑ 보면 알겠지만 해당 단어를 지칭하기 위해 원래 쓰이는 한자 대신에 부수 개 견(犬)자를 집어넣어서 비꼬고 있다.
즉 인간에 탈을 쓴 짐승이란 뜻이다.그 개새끼는 우리 개새끼 - ↑ 당연하지만 이건 당시 권력의 시녀 노릇을 하던 경찰과 사법부에 대한 통렬한 야유이다.
- ↑ 내용적으로 보자면 이 시는 군부 독재에 대한 비판을 목적으로 쓰여졌지만 형식적인 측면으로 보자면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명맥이 끊긴 한국의 고유 시가를 부활하려는 목적이 있었다는 연구자들의 견해도 존재한다.
- ↑ 오적 전문을 읽어보면 알겠지만 화자 본인은 이야기 바깥에 존재하는 '전달자'이다. 아예 구절 중간에 '지금 내가 말하고 있는 건 구전된 이야기'라고 못박고 있을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