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 40초부터보면 아래 움짤의 장면을 볼 수 있다.
파일:Attachment/a0109941 498aef703b6cf.gif
도조 히데키의 뒤통수를 치는 움짤의 주인공 되시겠다.
大川周明
1886년 12월 6일 ~ 1957년 12월 24일
야마가타 현 사카다 시 출신, 도쿄제국대학에서 인도 철학을 전공했고 이 때문에 그는 인도의 독립운동을 지원했다. 1915년 인도 독립운동에 관여하여 이를 지원했고 굽타를 자택에 숨겨주는 등 인도독립운동을 도왔고, 1916년에 《인도에 걸친 국민적 운동의 현실 및 유래》라는 책을 썼고 인도의 독립운동 상황을 일본에 알리려고 했으며 이를 통해 타고르를 비롯한 인도의 인사들과 친분을 맺기도 했다.
1919년에는 만주 철도회사에 입사하고 동아경제조사국에 근무하였으며, 1920년대에는 중국 각지를 방문하고 일본의 새로운 변혁을 역설했다. 한편 우익 사상가 기타 잇키나 미쓰카와 가메다로 등과 교우하며 국가주의 극우단체인 유존샤 (猶存社), 고지샤(行地社), 진무카이(神武会) 등을 결성하였다. 또 아시아주의의 입장에서 각 지역의 독립운동과 서양열강의 동향에 관해 《부흥 아시아의 각 문제》를 1921년에 편집했으며 압둘 아지즈 이븐 사우드, 케말 아타튜크, 레저 파흐라비 등의 평전인 《아시아의 건설자》를 1941년에 편집했다. 한편 일본정신의 부흥을 제창한 민족주의자들과 함께 《일본정신연구》를 집필하기도 했다.
그는 이론가에 머물지 않고 체제 전복을 통해 초국가주의적인 정권을 수립하려했는데, 1931년의 3월 사건,[1] 10월 사건에 관여했다. 1932년 5.15 사건에도 관여했고, 실패하여 5년 수감생활을 하게 되었다. 출옥후 1938년에는 동아 경제 조사국 부속 연구소 소장을 지내고, 1939년에는 《일본2천6백년사》를 출판했고 이 책은 베스트셀러가 되었지만, 당시에는 역도들로 여겨졌던 호조 요시토시, 아시카가 다카우지 형제를 찬양하는 내용 때문에 큰 비판 받았고 책을 개정해야 했다.
태평양 전쟁기에 아시아주의를 내세우며 대동아 전쟁을 옹호하는 활동을 전개, 극우파 지식인으로 명성을 날렸다. 만주사변 때에는 만주국을 건국하는 것을 지지했으며, 만주국은 일본의 도움으로 만주인들의 번영과 경제적인 자립을 이루게 될 것이라고 찬양했다. 그러나 중일전쟁이 발발하고 있을 시기에 슈메이는 감옥에 있던 상태였다. 한마디로 감빵에 들어가서도 정신을 못차렸다는 것이다. 게다가 미국과의 전쟁에 관해서는 "최후의 순간까지 이 전쟁을 지지하며 1940년에 일본이 좀 더 준비가 될 때까지 전쟁을 늦추는데 노력해야 한다"라고 밝히기도 했다. 이 와중에 중국에서의 일본군 철수를 주장하는 여운형과 시국을 논하기도 했다.
그러나 태평양 전쟁이 끝나게 되자 오카와 슈메이는 민간인으로서는 유일하게 A급 전범으로 기소되었다. 그의 죄목은 자신의 문학적인 인기를 이용해서 일본 국민들을 현혹시켰고, 군부와 결탁하여 군국주의의 주장에 정당성을 부여했고 우익 세력을 이끌면서 전쟁을 계속 일어나게 하고 이 전쟁을 칭찬한 것이 이유였다. 그렇게 패전 후에 민간인 A급 전범으로 분류되어 소환되었으나 첫날 재판에서 헛소리를 하고 앞에 앉아 있던 도조 히데키의 뒷통수를 때리는 정신이상 증세를 보여 사형을 면하고 불기소 입건, 정신병원에 수용되었다. 더 자세하게는 오카와 슈메이가 하늘색의 파자마를 입고 맨발에 게다를 끌면서 재판에 임했는데 휴정 중에 앞에 앉아있던 도조 히데키의 대머리를 뒤에서 큰 소리가 날 정도로 때리면서 "Inder kommen Sie!"[2]를 외쳤고 다시 It's a comedy!, I, I, Think를 연발해 법정에서는 서로 웃고 난리가 났다고 한다. 다음날 법정에서 호주의 웹 재판장은 오카와 슈메이를 정신이상이라 판단했고 1947년 4월 9일에 재판에서 제외했다. 오카와 슈메이는 미군병원에 입원당한 후 매독에 의한 정신장애를 진단받았다.
그러나 병원에 있으면서 코란을 번역하는 등 정신병자와는 거리가 먼 활동을 보였으며, 출소된 이후에는 일본 농촌의 부흥을 위해 활동하기도 하였다. 죽기 2달 전에 인도의 네루 수상에게 초대받기도 했다. 이 때문에 현재 일본에서는 전범재판 당시 그가 보여준 정신이상 행동이 사형을 면하기 위한 훼이크였다는 여론이 대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