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녀전기/애니메이션

일본 만화 / 목록일본 애니메이션 / 목록
· · · · · · · · · · · · ·
숫자 · 라틴 문자
· · · · · · · · · · · · ·
숫자 · 라틴 문자
유녀전기
幼女戦記
Saga of Tanya the Evil
300px
원작카를로 젠(カルロ・ゼン )
캐릭터 원안시노츠키 시노부(篠月しのぶ)
감독우에무라 유타카(上村泰)
캐릭터 디자인
총작화감독
호소고에 유지(細越裕治)
시리즈 구성
각본
이하라 켄타(猪原健太)
부감독슌도 카나(春藤佳奈)
서브 캐릭터 디자인타니구치 히로미(谷口宏美)
마키 타카오(牧孝雄)
타카다 하루히토(髙田晴仁)
복식 디자인타니구치 히로미(谷口宏美)
마도구 디자인에바타 료마(江畑諒真)
프롭 디자인모리야마 요우(森山洋)
총기 디자인아키시노 Denforword
히요리(秋篠Denforword日和)
오오츠 나오(大津直)
키 애니메이터이시바시 쇼스케(石橋翔祐)
쿠리타 신이치(栗田新一)
호리우치 히로유키(堀内博之)
이펙트 디렉터하시모토 타카시(橋本敬史)
군사 고증오오후지 레이이치로(大藤玲一郎)
미술감독히라야나기 사토시(平栁悟)
색채설계나카무라 치호(中村千穂)
촬영감독톤쇼 신지(頓所信二)
3D CGI 디렉터타카하시 마사토(高橋将人)
편집진구지 유미(神宮司由美)
음향감독이와나미 요시카즈(岩浪美和)
음악카타야마 슈지(片山修志)
애니메이션 제작NUT[1]
제작유녀전기 제작위원회
방영 시기2017년 ~
분량12화[2]
공식 홈페이지

1 개요

라이트 노벨 유녀전기애니메이션에 대한 문서다. 일본에서는 2017년 01월 06일(금)부터, 한국은 2017년 01월 11일(수)부터 방영되었다. 제작사는 신생 제작사인 NUT이다. 방영사는 일본은 AT-X 등 여러 곳에서 방영되며 한국에서는 애니맥스에서 방영한다.

2 영상

번선 CM
제2차 PV(괴물 ver.)
제2차 PV(요정 ver.)

2.1 미니 애니메이션

전에 오버로드의 미니 애니메이션을 만든 적이 있는 스튜디오 푸YUKAI에 제작했다. 자세한 것은 문서 참조.

3 방영 리스트

※ 모든 에피소드의 각본은 이하라 켄타(猪原健太)가 집필.출처

방영 목록 일람
회차제목일본 최속한국 방영
원제국내
제 1화ラインの悪魔라인의 악마2017.01.06 (금)2017.01.11 (수)
제 2화プロローグ프롤로그2017.01.13 (금)2017.01.18 (수)
제 3화神がそれを望まれる신이 그것을 원한다2017.01.20 (금)2017.01.25 (수)
제 4화キャンパス・ライフ캠퍼스 라이프2017.01.27 (금)2017.02.01 (수)
제 5화はじまりの大隊시작의 대대2017.02.03 (금)2017.02.08 (수)
제 6화狂気の幕開け광기의 개막2017.02.10 (금)2017.02.15 (수)
제 6.5화戦況報告[3]-2017.02.17 (금)-[4]
제 7화フィヨルドの攻防피요르드의 공방2017.02.24 (금)2017.03.01 (수)
제 8화火の試練불의 시련2017.03.03 (금)2017.03.08 (수)
제 9화前進準備전진 준비2017.03.10 (금)2017.03.15 (수)
제 10화勝利への道승리로 가는 길2017.03.17 (금)2017.03.22 (수)
제 11화抵抗者저항자2017.03.24 (금)2017.03.29 (수)
제 12화2017.03.31 (금)2017.04.05 (수)
  • 국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맥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예고편에서 9살목소리 모드로 후임을 후려팬다던지 예고편의 화면과 목소리가 불일치하다가 본래 목소리로 돌아오는등 예고편 훼이크가 심하다.

4 주제가

4.1 오프닝

opening theme JINGO JUNGLE
카탈로그 넘버ZMCZ-10928
발매일2017.02.08
발매사카도카와
노래Mayu
작사hotaru[5]
작곡Tom-H@ck
편곡Tom-H@ck
트랙곡명비고
1JINGO JUNGLETV 애니메이션 <유녀전기> 오프닝 테마
2Frozen Rain
3JINGO JUNGLE (instrumental)
4Frozen Rain (instrumental)

MYTH & ROID의 멤버인 Tom-H@ck과 hotaru가 밝히기로는 인간은 모두가 자기중심적인 JINGO(애국자)이며, 그런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만드는 것이 JUNGLE(무법지대)인 애국자의 무법지대로 약육강식의 정글이 이번 싱글의 컨셉이라고.

국내 노래방에 수록되었다. 금영노래방 번호는 44124, 태진노래방 번호는 28653.

가사

Don't go away 逃げ場はない
Don't go away 도망칠 곳은 없어

Oh why? You're crying 嗤え 狂え
Oh why? You're crying 비웃어라 미쳐라


Coming up… Coming up…


嗚呼 殺意の眼 粋な獲物 昂ぶる 昂ぶる
아아 살의의 눈 세련된 사냥감 흥분 된다 흥분돼


Not enough… Not enough…


まだその命 愉悦に足りはしない
아직 그 목숨 유열을 느끼기에 충분치 않아


We all are the jingoes oh-oh-oh


獣じみた欲を貪れ
짐승같이 욕망을 탐하라


We are in the jungle oh-oh-oh


さあ牙を研げ 死の数を競おう ah
자, 이빨을 갈고 죽인 숫자를 겨뤄보자 ah

Go on your way 容赦もなく
Go on your way 용서도 없이


No one is left 奪い尽くす
No one is left 빼앗아라


Showing up… Showing up…


大儀と似せたそれは私刑 甚振(いたぶ)る 甚振る
대의와 닮은 그것은 사형 떨고 있다 떨고 있어


You're the same… You're the same…


善と言い張る醜さこそが本性
선이라고 우기는 추악함이야말로 본성


We all are the jingoes oh-oh-oh


弱き者を慈悲も残さず
약한 자를 자비도 남김없이


We are in the jungle oh-oh-oh


喰い尽くすのは 獣より人間(ひと)の性(さが)
먹어치우는 것은 짐승보다도 인간의 본성


Dance it up U-Ra-Ra
o-o-o-o-o-o-o
Hurry up I-Ya-Ya
o-a-o-a-o-a-o


The world will be colorful, painful, beautiful
When your life is lost


We all are the jingoes oh-oh-oh


獣じみた欲を貪れ
짐승같이 욕망을 탐하라


We are in the jungle oh-oh-oh


さあ牙を研げ 死の数を競え
자, 이빨을 갈고 죽인 숫자를 겨뤄보자


The jingoes oh-oh-oh


嬲(なぶ)り倒す 味を舐めては
괴롭혀 쓰러뜨리고 맛을 보고는


We are in the jungle oh-oh-oh


また舌を出す 狂った人間(とも)たちよ ah
또다시 혀를 내밀고 미쳐있는 인간들아 ah


We all are the jingoes oh-oh-oh


We are in the jungle oh-oh-oh

4.2 엔딩

ending theme Los! Los! Los!
카탈로그 넘버ZMCZ-10929
발매일2017.02.22
발매사카도카와
노래유우키 아오이
작사hotaru[6]
작곡야기 유이치(八木雄一)[7]
편곡eba[8]
트랙곡명비고
1Los! Los! Los!TV 애니메이션 <유녀전기> 엔딩 테마
2전선의 리얼리즘(戦線のリアリズム)
3Los! Los! Los! (instrumental)
4戦線のリアリズム (instrumental)

유러피안 파워메탈 스타일의 곡으로 작사가인 hotaru는 트위터에서 본 곡이 발매당일 ITMS[9] 총합 1위를 달성해서 매우 기쁘다는 말을 남겼다. 극장판 소드 아트 온라인의 일부 곡을 포함해서 2월에만 ITMS 10위권 곡을 2곡 이상 배출하게 되었다.

가사

Feuer! Sperrfeuer! Los!
사격! 포격! 돌격!

Achtung! Deckung! Hinlegen! Halt!
주의! 엄폐! 포복! 정지!

Feuer! Sperrfeuer! Los!
사격! 포격! 돌격!

Achtung! Deckung! Hinlegen! Halt!
주의! 엄폐! 포복! 정지!

戦場へ 前線へ そして死の淵まで
전장으로! 전선으로! 그리고 죽음의 구렁까지!

命捨てたその覚悟を示せ
목숨을 건 그 각오를 보여라!

Feuer! Sperrfeuer! Los!
사격! 포격! 돌격!

Achtung! Deckung! Hinlegen! Halt!
주의! 엄폐! 포복! 정지!

聞こえるだろあの砲声が
저 포성이 들리나?

抵抗するウジの声だ
저항하는 버러지들의 소리다.

踏み潰せ! 踏み潰せ!
밟아 버려! 밟아 버려!

諸君 我々の任務はなんだ?
제군! 우리의 임무는 뭔가?

殲滅だ 一匹残らずの殲滅だ
섬멸이다! 하나도 남김없이 섬멸하는 거다!

なすべきことはただひとつ
해야 할 일은 오직 하나

地獄を作れ!
지옥을 만들어라!

弾丸の雨に打たれに行くのか?
비처럼 쏟아지는 포탄 속을 가는가?

笑止千万 国のためだ!
우습군, 제국을 위해서다!

戦場へ 前線へ そして死の淵まで
전장으로! 전선으로! 그리고 죽음의 구렁까지!

命捨てた覚悟を示せよ
목숨을 건 각오를 보여라!

忠誠を従順を そしてその魂を
충성을! 순종을! 그리고 그 혼을!

全て捧げ勝どきを揚げよ
모두 바쳐 승리의 함성을 울려라!

さぁ、ここに築いて見せろ
자, 여기 쌓아 올리자!

天に届く人の山を
하늘에 닿을 시체의 산을!

Feuer! Sperrfeuer! Los!
사격! 포격! 돌격!

Achtung! Deckung! Hinlegen! Halt!
주의! 엄폐! 포복! 정지!

Feuer! Sperrfeuer! Los!
사격! 포격! 돌격!

Achtung! Deckung! Hinlegen! Halt!
주의! 엄폐! 포복! 정지!

8화에서는 다른 엔딩이 나왔는데, 아티스트는 "니이나 마코". 제목은 "전선의 리얼리즘"이다. 이 곡은 9화에서도 엔딩이 나오기 전에 나온다.

5 반응

아직 완결도 되지 않았고 웹소설 출신으로 큰 인기를 끌었지만 애니화에 대해서는 팬들조차도 반신반의하던 상황에서 이렇게 2017년 1월 방영이 결정되었고 PV 2편의 반응도 상당히 좋은편. 단 애니의 퀄리티나 원작을 잘 따라갈지 여부는 뚜껑을 열어봐야 아는 상태라고 신중한 반응이 있기도 하다. 제작사인 NUT가 완전 신생 제작사에 이게 첫작품이라 우려하는 팬들도 적지 않은데 역량 부족으로 자칫 애니가 용두사미로 끝날 수도 있다는 우려 때문. 거기에 감독을 맡은 우에무라 유타카단탈리안의 서가, 펀치라인 두 작품의 감독을 하면서 두작품 모두 시원하게 말아먹은 전력이 있는 감독이라는 점이 가장 우려되는 부분이다.

1쿨 12화 분량으로 확정되었는데 원작을 지나치게 축약하거나 오리지날 전개로 바뀌지 않을까 우려되기도 한다. 소설 1권 분량만 다루고 애니가 인기를 끌게 된다면 후속 애니가 나올지도 모르지만 일단 1쿨에다 초보제작사, 감독 문제로 기대 못지 않게 우려가 큰 것도 사실.

작화 면에서는 오버로드의 경우처럼 소설의 삽화가 애니메이션으로 그릴만한게 못 되는 그림체이다보니 어떤 그림체로 그려지느냐도 관심을 보았었는데, 공개된 그림체에 대한 호오가 갈리고 있다. 일단 첫번째 특징은 일반적인 이 바닥 애니메이션과 다르게 입술의 디테일이 묘사되어 있다는 점인데, 주인공인 타냐의 광기를 잘 표현할 수 있는 작화라고 호평하는 팬들도 있는 반면, 입술만 튀어나와 보이는 전쟁물다운 이상한 작화오리라고 혹평하는 팬들도 있다.

1화 방영 후의 반응은 호불호가 갈리는 편. 대체로 초보 제작사에 따른 작화 퀄리티에 대한 우려는 종식되었으며, 전투씬의 퀄리티와 전쟁 상황에 대한 묘사는 훌륭하다는 평가다. 그러나, 1화는 인물 소개 프롤로그처럼 방영되어 원작 팬들에게는 원작의 포인트와 인물성을 완전히 비틀어버린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를 낳았다. 대체적으로 원작의 경우, TS요소 및 착각물 요소가 산재해 있어, 이에 대한 재미가 포인트인데, 그냥 타냐전쟁광으로 만들어버렸다는 것. 타냐뿐 아니라, 부관인 비샤의 캐릭터성까지 비틀었다는 의견이 나올 정도였으니(천연 속성 추가). 다만 1화의 경우 타냐의 내면 묘사가 나오지 않았다는 것을 감안하면 오히려 이쪽이 원작 고증에 충실한 셈인데, 작내에서 타인의 눈에 보이는 타냐의 인물상이 바로 1화의 그것이기 때문. 즉, 시청자 또한 작중 인물들과 마찬가지로 타인의 위치에서 보이는 타냐의 모습이기에 전쟁광으로 보이는 것일뿐이라는 소리다.

실제로 2화부터 본격적으로 타냐의 전생과 성격을 묘사하면서 착각물의 요소등이 제대로 등장하기 시작했고, 묘사에 대한 불만은 많이 사라지고 있다. 대체적으로 지루하다고 느껴질 수 있는 원작의 독백 및 대화 씬은 적절하게 쳐내고, 각 시퀀스 및 씬마다 타냐의 표정을 부각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면서 호평이 많아지는 중이다.

표현상의 또다른 지적은 타냐가 이끄는 부대원들이 자신 포함해서 모두 맨머리 상태라는것이다. 고공에서 비행을 하면서 작전을 수행하는데 현실에서 그렇게 아무것도 안쓰고 하늘에서 날라다니면 그냥 실명이다. 비행기에서 뛰어내려 스카이다이빙을 즐기는 사람들이 바보라서 고글 끼는거 아니다.[10] 마법으로 막나보지 뭐... 코믹스판의 경우는 타냐가 이끄는 마도비행대대 전투원들이 본인 포함 철모, 고글등 최소한의 보호구는 있다. 단 서적판 일러스트에서는 철모와 고글이 아닌 일반 군모와 관측용 쌍안경을 장비하고 있기는 하다. 애초에 군복 색깔도 하늘에서 눈에 잘 안띄는 색으로 해야하지 않을까

오프닝곡의 반응은 은근히 중독성 있고 잘 뽑았다는 평가가 우세하다. 우스개 소리로 노래 도입부의 가사 발음 덕분에 한국 팬덤들 한정으로 본격 알라 찾는 노래라는 농담이 나오기도 한다. 알라후 아크바르!!!

6 총평

7 차이점

원작, 코믹스, 애니 등의 각 캐릭터들이 주인공인 타냐를 빼고 외모가 크게 다르다. 물론 타냐도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다른 인물들에 비하면 원작과의 차이가 그리 심하지 않은 편 어딜봐서?.
캐릭터 디자인 비교 1
캐릭터 디자인 비교2

가장 크게 차이나는 묘사는 존재 X. 원작과 코믹스에서는 그래도 부하들인 천사들이 등장하는 등, 존재 X가 '신'이라는 것을 부각시키는 묘사가 다수 있었지만[11], 애니메이션판에서는 실체도 없이 각종 피조물에 빙의하여 대화하고, 말투 또한 원작과 코믹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딱딱하다.

8화 전까지는 원작 스토리와 크게 다르지 않았으나 8화 마지막에 앤슨 수가 메어리 수를 대신해 각성, 부활하게 되며 원작과는 다른 노선을 타는 것이 확정되어 이후 많은 차이가 발생할 것으로 보이며 이전 오리지날 괴작들로 인해 이후 행보를 불안하게 보는 사람들도 있지만 초기부터 타냐와 어느정도 접점이 있었던 점본적은 있지만 누군지는 기억못함과 7화 마지막에 장렬히 산화한 모습으로 팬층이 늘어난데다 딸인 메어리 수발암라는 소녀병보다 실적이 있던 군인이 참전하는게 개연성이 있어 대체로 좋다는 평이다.

8 기타

오버로드의 일러스트레이터인 so-bin이 애니 방영 기념으로 응원 일러스트를 그려주었다. 나오는 인물은 타냐 데그레챠프아인즈 울 고운.

AT-X판 애니메이션 2화 지하철 장면에서 광고판에 오버로드 극장판 홍보가 있다. 한 번 보이고 마는 수준이 아니라 플랫폼 양쪽에 하나씩 붙어있다.

반응 문단에서 봤듯이, 입술에 대해선 사람들에 따라 호불호가 갈리고 있다. 그 와중에 티비플유튜브에 입술을 지운 영상도 올라왔다. 링크

8.1 합동 기자회견

b0365026_5837a875510ef.jpg

니코니코 동화

11월 24일 오후 9시, 오버로드유녀전기엔터브레인 간의 인기작으로써 니코니코 동화에서 생방송으로 합동 기자회견을 했다.

  • 출연진
유우키 아오이(유녀전기: 타냐 데그레챠프 역/오버로드: 클레만티느 역)
하라 유미(오버로드: 알베도 역/아이돌 마스터: 시죠 타카네 역)
MYTH & ROID(유녀전기 주제가 아티스트)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유녀전기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유녀전기가 첫 작품인 신생제작사이다.
  2. 총집편인 6.5화까지 포함하면 13화가 된다.
  3. 1화부터 6화까지의 내용 총집편으로, 타냐가 이를 회상하고 코멘트하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4. 애니맥스에서는 6.5화를 방영하지 않고, 7화부터 정상적으로 방영한다고 공지하였다. #
  5. MYTH & ROID의 데뷔싱글과 그 외의 tom의 다른 프로젝트에서 전속 작사가로 활동했지만 정식으로 소개되기는 이번 싱글이 처음.
  6. eba의 전 소속사 동료, 현재는 Tom-H@ck의 개인 사무소의 소속됐다.
  7. 포츈 아테리얼, 학생회의 일존, 리코더와 란도셀 타이업 담당.
  8. Tom-H@ck의 소속사 동료, OLDCODEX의 프로듀서 및 2010년대에 들어서는 애니메이션 타이업 계열에서 왕성한 활동을 보이고 있다.
  9. 온라인 다운로드, 오리콘 차트 집계 기준 중에 하나이다.
  10. 이건 2014년말에 방영된 크로스 앙쥬 천사와 용의 윤무에서도 파라메일에 탄 라이더들의 슈츠나 장비가 고공에서의 압력이나 풍압을 견딜수 없다고 까인것과 비슷하다. 하물며 크앙에서조차 최소한 눈을 보호할 바이저를 끼는데 유녀전기 애니판의 마도대대원들은 머리에 아무것도 착용 안한다.(...)
  11. 코믹스판에선 부하들이 천사 이외의 다신교 신으로도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