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만화나 애니메이션쪽은 게임과는 미묘하게 사정이 달라[1], '비슷하지만 독립적 작품성이 인정되는'경우가 적다. 같은 제작자, 혹은 후속작이라면 모를까. 그래서 게임쪽과 비교하면 패러디라거나 오마쥬라는 말이 많이 쓰이고, 특정 작품에 영향을 받은 파생작의 계보가 뚜렷한 편이다.
하지만 표절항목에도 나와있듯, "잘" 만들어야 한다. "재해석"과 "재구축"에 실패한 것이라면 그것이 패러디의 의도를 지녔든, 오마쥬의 의도를 지녔든 그저 "표절"일 뿐이다.
2 작품 목록
2.1 유사성의 중심에 있는 작품
2.1.1 죠죠의 기묘한 모험
능력자 배틀물의 중심에 있는 작품. 헌터X헌터나 원피스 등 많은 작품들이 영향을 받았다.
본작은 게임에도 적잖은 영향력을 미쳤다.
- 스파2의 가일은 본작2부의 루돌 폰 슈트로하임의 영향을 받았다.
- KOF의 니카이도 베니마루는 본작 3부의 장 피에르 폴나레프의 영향을 받았다.
2.2 전체적으로 베꼈다고 취급되는 작품
2.2.1 공인된 경우
특히 만화같은 경우, 개인 레벨에서 찍어낼 수 있고 작품은 쏟아져 나오기 때문에, 법적으로 걸고 넘어지면 넘어트릴 수 있으나 그렇게 되지 않고 있는 경우가 많다. 정말로 법적 판결이 난 작품이라면 각각 따로 표기.
-
와피스 - 이로마의 한국 만화 악바리는 으랏차차 짠돌이네의 표절로 드러났고, 이후 이로마는 책임을 지고 만화쪽에서 완전히 물러났었다.
- 배금택의 한국 만화 Y세대 제갈공두는 크레용 신짱의 표절. 제갈공두 해당항목을 보면, 결말이 꽤 자아비판적이다.(...)
2.2.2 의혹만 받고 있는 경우
- 위치 헌터 - 전체적이라기보단 다른 작품들 부분부분이지만, 그게 워낙 많아서(...)
- 아웃복서 - 더 파이팅을 그냥 그대로 트레이싱한 장면들이 난무하는 작품. 특이하게 더 파이팅을 좌우반전 된 형태로 트레이싱 해 넣었는데(즉, 더 파이팅의 그림을 좌우반전하면 아웃복서와 일치) 이는 좌우반전된 형태로 출간된 해적판을 트레이싱했기 때문이다.(...) 애초에 장태관이라는 만화가 자체가 저작권 등에 별 관심이 없는, 소위 말하는 대본소 작가인지라..
2.3 일부 요소가 유사한 작품
- 기동전사 건담의 빔 사벨, 우주형사 갸반의 레이저 블레이드는 스타워즈의 라이트세이버에서 가져왔다고 한다.
- 디즈니의 라이온 킹은, 데즈카 오사무의 밀림의 왕자 레오를 모방했다는 논란에 휩싸인 적이 있다.
- 디즈니의 타잔과 Key의 클라나드는 '가족애'가 주된 요소이다 보니
의외로공통점이 많다(...). 다만 라이온 킹의 경우와는 달리 큰 줄기가 비슷한것이 아닌, 그저 비슷한 주제를 쓰다보니 우연히 비슷한 요소가 들어가게 된것 뿐이지 클라나드가 타잔을 배꼈다고 볼 수는 없다. 다만 서양권에서 타잔의 In My Heart+오카자키 토모야 관련 매드무비를 종종 볼 수는 있다. - 로보트 킹의 주인공 로봇은 자이언트 로보의 GR2와 유사하게 생겼다.
- 북두의 권의 경우, 그래픽적으로는 매드 맥스등 당시 인기있던 것들의 모양을 굉장히 많이 가져왔다. 하지만 강렬한 오리지널 요소로 인해 표절작으로 취급받지는 않고, 오히려 북두의 권에서 모티브를 가져간 수많은 파생작들을 낳았다. 자세히는 북두의 권항목에 더 나와 있음.
- 초대 태권V의 디자인은, 마징가Z와 굉장히 유사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하지만 그 시기에 그런 원통형 로봇은 철인 28호나 겟타로보등 유행타는 형상의 하나였기 때문에 어느정도 피할 구멍은 있다. 단, 슈퍼 태권V는 답이 없다. 까자.
- 낙제 기사의 영웅담과 학전도시 애스터리스크는 도입부의 진행이 거의 똑같다(...).
수렴진화혹자들은 모에 코드로 점점 장르가 협소화되어가는 일본 서브컬처계를 나타낸다고 디스하는 소재로 쓰기도 한다.
- ↑ 게임에서는 시스템 변화의 영향력이 있으나, 만화나 애니메이션쪽은 단순한 '표현'영역 속에서 판가름된다는게 그중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