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리비(기동전사 건담 철혈의 오펀스)

16.png

NOA-0093 強襲装甲艦イサリビ / ARMORED ASSAULT SHIP "ISARIBI"
전장300m
무장주포 × 5/대공포 × 2/와이어 앵커 × 2
브릿지 멤버함장:올가 이츠카
부함장:유진 세븐스타크
조타수:채드 채던 & 단테 모그로
CIC:비스킷 그리폰
오퍼레이터:후미탄 아드모스메리빗 스테이플턴
"그보다 언제 먹을려나 저거.. 삶은 새우같아서 엄청 맛있을 것 같아!"

"새우라 그런가.. 단단하네.." - 라프터 프랭크랜드

1 개요

기동전사 건담 철혈의 오펀스에 등장하는 전함. 명칭의 의미는 어화[漁火] (고기잡이 배에 켜는 등불이나 횃불). 디자이너는 에비카와 카네타케.-새우선생이 디자인해서 생김새도 새우같다-

"방주"에 계류되어있는 CGS의 강습장갑함. 나중에 철화단에 접수되어 그들의 지구로 가는 여행의 모함이 된다. 항해 중 함내 혹은 선체에 철화단의 문장이나 그림이 그려진다. 전투시에 함교를 선체 내부에 수납하는 기구를 갖추고 있으며 그 외에 아뢰야식 시스템과의 연동에 의한 고정밀 조함 모드를 갖추고 있다. 무장은 주포 4 문, 후방 주포 1 문, 대공포 2 문, 와이어 앵커 2 기

본래 CGS의 사장 마르바 아케이 소유의 윌 오 더 위스프라는 이름의 전함이었으나 철화단 조직 이후 올가 일행이 사용한다. 명칭은 CGS의 자취를 싫어한 올가 이츠카에 의해 개명. 딱히 전용함이라거나 한 것은 아니라 작중 동형함이 다수 등장하며, 설정 상 걀라르호른 이외의 에이하브 리액터 탑재 전함은 액제전 당시에 사용된 강습장갑함이라 하며 이사리비는 이러한 액제전 당시의 함선을 개조하여 운용하는 것. 함체에는 다수의 포대를 탑재하고 있으나 일반 포격으로는 나노 라미네이트 아머에 결정타를 주지 못하기에 같은 재질의 장갑판을 두껍게 두른 함수부를 감속 없이 적함에 그대로 들이받아 버리는 형식의 공격이 주요 공격 방법이라고 하며 이 때문인지 함선 정면 방향으로 사출 가능한 1쌍의 와이어 앵커를 탑재하고 있다.[1] 또한 함교는 선체 내부로 수납 가능하다. 캐터펄트 해치는 하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여타 건담 시리즈와 다르게 기체를 엎드린 상태로 출격시킨다.

액제전 당시의 전함답게 일반적인 조타 시스템과 별개로 아뢰야식 시스템에 의한 뇌파 컨트롤이 가능하며, 유진 세븐스타크가 이를 이용해 함을 조종하는 모습이 그려졌다. 다만 기본적인 조타만 뇌파 컨트롤로 행하고 나머지 세부 제어는 다른 크루들이 행하는 형식으로 운용되며, 유사시에는 보조 크루의 도움 없이 단독으로도 함 전체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나 아무래도 부담이 크게 걸리는 듯 하다.[2]
철화단에서 사용한 후부터는 라이드 매스 등 그림에 재능있는 사람들이 선내에 그림을 그려놓고 있기도 하다.

건담 시리즈에 등장하는 주역 함선 중에서는 상당히 이색적인 디자인인데, 가장 큰 특징으로는 함수가 가늘었던 기존 시리즈의 함선들과는 달리 함수 부분이 제일 두껍다는 점이다.[3] 이시라비는 함수가 두껍고 함미 부분이 뾰족하게 생겨서 버니어나 함교의 방향을 꼼꼼히 보지 않고 얼핏 보면 함미 부분을 함수로 착각하기 쉽게 생겼는데, 첫 등장 당시 항구에 정박해있던 정면에서도 함미 쪽 시점에서 보여준 탓에 세부 부위가 묘사되기 전까지는 앞뒤를 착각하는(…) 시청자들이 많았다.

2 활약

5화에서 본격적으로 등장. 토도 미르코넨의 배신을 간파한 올가의 계획에 따라 아키히로 앨트랜드가 몰고 나타나 오르코스의 전함에 공격받던 그들을 멋지게 구출, 이후 올가의 소행성을 이용한 [4]급선회 작전으로 오르쿠스 상회의 전함에 정면 돌진하며 함포를 일제사격하여 무력화시키는 한편 섬광탄을 발사하여 걀라르호른의 전함까지 교란시킨다. 이상하게도 오르쿠스 측 동형함에게 쫒기는 도중 후방포탑을 사용할수 있음에도 사용하지 않았다. 아마 발사각의 제한 때문인 듯.

7화에서는 테이와즈 산하 조직인 터빈즈의 나제 터빈의 전함 해머헤드의 추격을 받게 되며 교전에 들어가는데 최고속력으로 도망치면서도 180도 함체를 선회하여 도주와 동시에 교전을 벌이게 된다. [5] 해머 헤드와 치열히 접전을 펼치는 와중에 햐쿠리의 무지막지한 기동성과 일격일탈 공격에 장갑이 깎여나가지만 건담 발바토스가 돌아와 햐쿠리와 교전함으로서 한숨 돌리게 된다. 이후 해머 헤드에 연막을 뿌리고 무작정 달려들어 위쪽을 아슬아슬하게 스쳐지나가 도주하지만 다시 헤머해드가 추격해오는데 이때 스쳐지나가면서 모빌 워커를 사출해 해머 헤드로 보내 함을 점거하게 만든다. 9화에선 라이드가 함수에 철화단 문장을 도장한다.

12화에서 데브리 띠를 우회돌파하여 브루어스의 전함을 공격했으며, 해머 헤드와 함께 충각 공격을 감행한 후 백병전으로 적함을 점거해 나간다. 브루어스의 전함에서 건담 구시온이 출격하여 잠시 위기에 빠지나 발바토스가 구시온과 교전하게 되며 한숨 돌린다. 

15화에서 노동자들의 폭동으로 상황이 긴박해지자 메리빗 스테이플턴이 올가의 지시를 받고 긴급발진시키며 이후 17화에서 올가가 쿠델리아 아이나 번스타인을 취재하려던 보도 스태프들의 전용 회선을 사용해 간신히 연락이 닿아 메리빗이 지시대로 도르트의 우주항에서 발진시켜 스태프들의 론치를 타고 있던 올가 일행의 앞에 나타나 론치를 향해 돌격하던 아인 달튼슈발베 그레이즈를 막아내고 올가 일행과 스태프들을 탑승시킨 후 슈발베를 상대하기 위해 류세이고를 발진시킨다.

19화에서 유진이 올가의 지시대로 카르타 이슈 휘하 지구 외연궤도 통제 통합함대의 방어진을 돌파. 노획한 브루어스의 전함을 방패삼아 포화를 버텨내면서[6] 진로를 변경하는 한편 브루어스의 전함을 분리하고 브루어스 전함이 격침되며 방출된 나노 미러 채프[7]로 적을 교란시킨 후 걀라르호른의 지구 궤도 본부 글래즈헤임 1과 직접 충돌하여 글래즈헤임 1이 궤도를 잃고 지구로 추락하게 만들었으며, 직후 아라야식으로 함을 제어하던 유진이 피드백에 의한 과다출혈로 실신해 버린 탓에 제어를 잃고 이탈하게 된다. 이후 해머 헤드와 함께 오세아니아 연방의 우주정거장에 정박한 것이 확인되며 1기에서의 등장은 종료.
  1. 이 앵커는 터빈즈의 기함 해머헤드에도 장비되어 있다. 이쪽은 아예 충각용으로 함수가 통째로 이름 그대로 귀상어 머리 모양의 대형 장갑판으로 둘러쳐져 있다.
  2. 12화에서 브루어스를 기습하기 위해 해머헤드와 데이터 링크를 연결한 상태에서 운항했을 때는 이사리비 측의 운항 경로를 해머헤드에 링크시켜 주고 조타 자체는 해머헤드 측에서 직접 행한 것으로 보이며, 19화에서 아무 도움 없이 단독으로 이사리비와 브루어스 전함 2척을 동시에 아뢰야식으로 제어하자 미카가 처음 발바토스에 탔을 때와 마찬가지로 심각할 정도의 출혈이 일어난 끝에 상황 종료 시점에서 실신해 버렸다.
  3. 이는 앞서 언급한 충각전술 때문. 충각으로 최대한의 피해를 주려면 함의 진행방향과 공격방향이 일치해야 하기 때문에 따로 충각용의 무장을 설치하지 않는 한 함수부 장갑을 두껍게 둘러칠 수 밖에 없다.
  4. 이름하여 이니셜D 작전
  5. 이를 본 아미다의 표현으로는 합격점이라고,
  6. 이때 유진이 상황이 여의치 않자 아라야식으로 2척을 동시 조종한다.
  7. 미노프스키 입자GN입자처럼 통신 장애를 일으킨다. 발광신호로 함선간 연락이 가능한 것으로 보아 직접 관측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는 듯. 지구 외연궤도 통제 통합함대 측의 반응으로 보아 실전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여겨지던 장비인 모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