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서문

이서문(李書文, 리 셔원)은 중국 허베이 성 창저우시 옌산현 출신의 무술가다. 는 동신(同臣). 팔극권의 달인으로서 이씨팔극권 혹은 무단팔극권의 개조다. 관련 글

생몰1862~1934

1 설명

전설적 권사이자 창술가. 팔극권을 중국 전역에 알린 사람이기도 하다. 또한 창술이 뛰어나 "신창(神槍) 이서문"이라고 불렸다. 팔극권은 권법뿐만 아니라 창술로도 유명하다.

허베이성 창저우 사람으로, 가난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궁핍한 생활로, 어렸을 때 극단에 들어갔으나 다리를 다쳐 고향으로 돌아오게 된다. 그 후 무술을 즐겨 처음에는 소림권(少林拳)을 배우다가 나중에 팔극권으로 바꾸었으며, 벽괘장 또한 배우고 있었다. 어려서부터 밤낮없이 무술에 몰두하였고, 게다가 재능까지 겸비했던만큼 실력은 일취월장하였으나 대련시 상대방을 용서없이 몰아붙이고 상처를 입혔기 때문에, 리 헌쯔(李狠子 : 사납고 비뚤어진 녀석)라는 별명을 얻기도 하였다.

키가 작고 야위었음에도, 엄청난 괴력의 소유자였다고 한다. 연경(燕京)제일의 장사로 소문난 사람이 그에게 힘겨루기를 청하였는데, 이 때 이서문은 세 척(약 90cm)짜리 철봉을 석벽에 꽃아넣고서 '이걸 뽑아보게'라고 하였다. 장사는 반나절이나 철봉과 씨름하였음에도, 끝내 철봉을 뽑지는 못하였다고 한다.

또한 '철두왕(鐵頭王)'으로 불릴 정도로 머리가 단단한 무술가에게, '당신이 먼저 나를 힘껏 세 번 때리고, 그 후에 내가 한 번만 때리는 승부를 하자'고 하여, 그가 승락하고서 온 힘을 다하여 세 번을 때렸으나 꿈쩍도 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 후 이서문이 철두왕의 머리를 내리치자, 그의 머리가 몸에 박혀 그대로 죽었다. 이는 이씨팔극권의 제자인 쉬지아푸(許家福)의 문하생이었던 장종시(張忠世)가 증언한 내용이다.

또 북경에서의 결투 때는 견제타 한 방에 그대로 상대방을 죽여버리고 도망가기도 했다고 한다. 이것도 리우운차오(劉雲樵 : 산동소패왕으로 불린 유운초 대사)의 실제증언이다.

철봉을 한손으로 들고는 그걸 돌바닥에 내리 꽂았는데, 아무도 그 철봉을 뽑을 수 없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다만 이런 증언들은 신빙성이 없고 중국무술 특성상 어느 정도의 신격화는 감안하고 봐야 한다.

그의 창술 중 유명하면서도 지금까지 전해지는 기술이 점창술인데, 중단 자세로 상대의 가슴이나 목을 겨누다 찌르는데, 상대는 당연히 가슴이나 얼굴을 방어하지만 실제로는 손을 비틀면서 창끝이 아래로 찔러진다! 찔렀을 때 손은 가슴이나 얼굴에 있지만 창끝은 배나 사타구니에 가 있다.내가 고자라니 의표성을 찌르는 뛰어난 기술로써 막기가 매우 힘든 기술이기도 하다.

2 힘을 주체할 수가 없다!

엄청나게 강한 인물이긴 했지만 결투에서 대전상대를 너무 많이 죽여서 원한을 많이 샀고, 그 때문인지 독살당해서 죽었다는 야사가 있다.[1] 또는, 병을 얻었음에도 단련을 계속하다가 병이 깊어져, 의자에 앉은 채로 죽었다고도 한다. 들은 이서문 정도의 고수라면 결투라도 상대를 죽이지는 않고 끝낼 수 있었을텐데 그렇게 많이 사람을 죽였던 것은 인격적으로 문제가 있었던 것 아니냐며 까곤 한다. 물론 들은 이서문의 권은 일격필살이라 적당히 봐주거나 할 수가 없었기 때문이라고 옹호중.

다만 위의 서술처럼 이서문이 주체할 수 없을 정도의 일격필살 권을 가졌다는 말은, 전부《권법소년》의 과장. 상대방을 일격에 제압할 정도로 강력했던 것 자체는 사실이지만, 그걸 주체못해 죽일 정도까진 아니였다. 다만 상대방을 무술을 못할 정도의 불구로 만들어버릴 뿐. 뭐, 이것만으로도 원한을 살만하다(…).[2][3][4] [5] [6] [7]

일례로 철곤을 수련한 어느 무술가와 무기술로 경합을 펼쳤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서문은 몇 합만에 그의 손가락을 베어버려 제압·승리했다. 자신의 실력을 컨트롤할 정도는 되었다. 물론 상대 무술가는 다시는 철곤을 들지 못하게 되었다(…).

이서문이 전해지는 이야기처럼 실제로 사람을 죽였을 가능성은 적은데 만약 살인을 했다면 아무리 당시가 혼란스런 시대였어도 아무 일 없이 넘어가기는 힘들었을 것이다. 일례로 정당방위성으로 사람을 죽였음에도 3년간 투옥되었던 곽운심의 경우를 생각해보자.

3 기타

당시에 육합대창을 잘쓰며 신창이라 불리던 이모씨(이서문이잖아?)가 북경에서 통배권의 달인 장책과 창술 대결을 벌여 패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 때 이씨가 한 말은 "그 동안 양반후(양가태극권의 2대 전인) 말고는 나보다 창술이 뛰어난 사람은 없었다"였다고 한다.) 그리고 그 이모씨를 이긴 장책을 손록당이 이겼고... 이 기록은 손록당이 창시한 손파태극권 쪽기록이라 객관성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이서문의 일대기는 절대 중국 및 홍콩 영화로 만들어지지 않을거라고 한다. 외국인에 맞선것도 아니고[8]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이유로 싸움을 한 그의 일대기는 딱히 감동과 교훈을 넣을 수 없는데다 애초에 상대방을 불구로 만들어 놓고 '내 알 바 아니다' 태도를 취하는 주인공같은게 중화영웅으로 받아들여질 리는 만무하다(...). 애초에 삼합회 소재의 피카레스크 물에서도 의리 따지는 게 중국이다. 민족의 자존심을 세웠거나 의로운 이로 존경받던 인물을 높게 평가하는 중국에서는 사실 인지도도 낮고 대신 일본에서 인기가 많다(...).

4 제자

이서문의 제자 중 가장 대표적인 제자는 개산제자이자 곽씨팔극권의 개조이기도 한 곽전각(霍殿閣). 곽전각은 만주국이 세워지자 스승의 만류를 뿌리치고 장춘으로 가서 선통제의 황궁 호위군에 팔극권의 보급을 맡게 되지만 일본인과의 충돌이 잦던 중 관동군의 시비로 벌어진 사건에서 호위군 20명이 무술만으로 관동군 200명을 쫒아내는 '호군사건' 뒤로 항일혐의를 받아 파면, 한을 품고 1942년에 사망하였다고 한다.

5 대중문화 속의 이서문

5.1 만화 《권법소년

소년 선데이에서 연재했던 만화로, 팔극권과 이서문을 널리 알리게 된 계기가 되었다. 원제는 《켄지》(拳児, 국내에는 《권법소년》이라는 제목으로 정식 발간).
본편에서는 언급만 나오지만, 최종권은 이서문 외전으로 한 권이 통채로 이서문 이야기.

일본뿐만 아니라 한국 국내에서도 90년대 한창 인기를 끌던 아이큐 점프의 부록으로 딸려오던 권법소년 덕분에, 원래 중국 무예에 관심이 있었던건 아니지만 이서문의 이름 정도는 뇌리에 남아 있다는 사람들이 있다.

5.2 만화 《바키 시리즈

용서문 항목 참조.

5.3 게임 《에어가이츠

이서문이 자신의 권에 희생된 이의 가족에 의해 독살당해 죽었다가, 현대에 다시 부활했다는 설정. 하지만 몸이 점점 젊어져서 이대로는 소멸될 것이 뻔하기에 완전한 부활을 위해 에어가이츠를 노리는데...

5.4 게임 《Fate 시리즈

이서문(Fate 시리즈) 참조.
  1. 아넨엘베의 하루 에서 오마쥬된다.
  2. 하지만 다른 쪽으로 생각해보면 완전히 말이 안 되는것은 아니다. 권법소년을 보면 "이서문은 외가권이던 팔극권을 내가권으로 만들어버렸다" 는 내용이 있는데, 내가권인 태극권은 힘을 '잘 빼야' 제대로 된 위력이 나타나는 무술이고, 팔극권에 존재하는 전사경이란 개념 또한 진식태극권에서 나온 것이기 때문. 일단 만화에 묘사된 내용을 보자. 이서문이 "가볍게 견제한 후..." 라고 말하면서 툭 친 상대가 일격에 뻗어버리니 스스로도 잠시 어리둥절하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이는 이서문 본인조차 그때까지는 방송(放鬆:힘을 뺌) 과 전사경이 합쳐지면 내가권식 타격이 된다는 것을 알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다. 물론 높은 수준의 태극권 고수들은 힘을 빼고 하는 타격에 어느 정도의 위력이 나타나는지 잘 알고 있기에 오랜 세월 동안 연마해 온 추수(推手:상대방과 손을 맞댄 상태로 하는 수련. 극도로 예민한 감각을 키우기 위함) 를 통해 상대방의 공격 시도를 금나술 등으로 사전에 차단하여 실전에서도 상대방을 다치지 않게 하는 쪽으로 상황을 풀어나가려 하는 것이 보통이지만(양로선의 사례에서도 나타나듯), 팔극권은 그런 방어적인 개념의 수련방식을 배제하고 오로지 일격필살만을 강조하는 무술이기 때문에 일단 공격이 정확히 들어가면 무조건 치명상을 입을 수 밖에 없는 것. 이렇게 생각하면 말이 된다.
  3. 그러나 이 또한 말이 되지 않는 것이 전사경은 진식 태극권에서 시작된 것이 아니다. 오히려 진발과 노사의 기예가 처음에 태극권으로 인정받지 못한 이유중 하나가 외가권에서나 쓰이는 전사경을 쓴다는 이유 였었다. 또한 태극권에서 방송을 유달리 중시할 뿐이지 대게의 무술은 힘을 기르는 것 만큼 힘을 빼는 것을 중요시 여긴다. 외가권과 내가권의 경계는 아주 모호하고 내가권이라는 용어도 근대에 들어서 생겨난 것이다. 애당초 내가권과 외가권은 이런 이런 점이 다르다고 꼭 짚어 말할수 있는 것이 아니다. 또 내가권이 외가권에 비해 높이 평가되는 것도 현대에 들어서 무협지와 무협물을 통한 내공이라는 환상때문이지 둘중 무엇이 우월하다고 말할 수 없다. 때문에 이서문이 힘을 빼고 쳐서 내가권의 기격이 나왔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차라리 사혈에 가볍게 친 견제가 사혈에 해당하는 급소를 쳤다거나, 이서문의 명성에 기가 죽었던 대전자가 이서문의 가벼운 일격을 맞고 놀라서 죽었다는 식의 설명이 합리적이다.
  4. 물론 내가권이 외가권에 비해 우월하다고 할만한 점은 전혀 없다. 오히려 실전적이면서도 대중적인 무에타이, 복싱, 유도 등의 무술이 단기간의 수련을 통해서도 좋은 성과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태극권에서 강조하는 '방송을 통한 전사경의 수련' 은 기타 무술과 확실히 다르다고 짚어 말할 수 있다. 비단 무술 뿐만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당연히 여겨지는 몸을 움직이는 방법, 힘을 내는 방법과는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몸을 움직여야 하기 때문. 이런 방식으로 오래 수련을 하게 되면 굳이 허리로써 손을 이끌려고 하지 않고 손끝의 근육을 약간 당기는것 만으로도 하반신이 스스로 궁보의 자세를 취하게 되며, 몸이 손발의 움직임으로 인해 억지로 끌려간다는 느낌이 들기 때문에, 뛰어오를 때에도 몸이 스프링처럼 짓눌려졌다가 저절로 튀어 올라가는 느낌이 들게 된다. 하지만 팔극권은 이렇게 극단적인 방송을 통해 전사경이 자연스럽게 나타나도록 수련을 하는 무술이 아니다보니, 이서문 또한 완전히 힘을 빼고도 상대방에게 치명상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몰랐을 가능성이 크다는 뜻이다.
  5. 또한 전사경의 동작들은 근육의 비틀림과 풀림으로 인하여 나타나기 때문에 주먹을 내뻗는 중간에 궤적이 급변하여 회전하는 펀치로 변하게 되고, 상체는 숙여졌다가 전방 상단으로 튀어 나가는 듯한 효과가 나타나는데, 이것이 방송상태에서 이루어 지게 되면 마지막 순간에 체중이 급격히 아래로 하강하게 되므로 굳이 진각을 하려 하지 않아도 바닥에서 울림이 발생하게 되며 (소리를 크게 키우고 진정뢰 노사의 엄수굉권을 감상해 보자. 영상의 상태가 좋지 않아 소리가 좀 늦게 들린다) 이 모든것이 힘을 뺀 채로 가볍게 밀듯이 내지르는 타격 한번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방심한 상대에게 치명상을 입힐 수 있는 가능성은 충분하다.
  6. 물론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타격이 강맹하다는 이유로 전사경을 응용한 무술이 다른 무술에 비해 우월하다는 의미가 될 수는 없다. 일단 태극권이나 팔극권은 동작이 매우 커서 청경을 습득하지 못한 채 단독으로 기술만 내지르기에는 빈틈이 너무 크다. 또한 청경이라는것 또한 매일같이 감각을 연마한 극소수의 고수들만이 습득 가능한 경지이며, 거기에 난해한 전사경마저 완벽하게 구사할 수 있는 수준이 되려면 최소 중년 이상의 나이가 되기 때문에 자신의 움직임으로 도저히 대응할 수 없을 정도의 스피드와 체력을 가진 젊은 파이터를 만난다면 상대방 공격을 미리 읽는다 한들 대처할 방법이 없기 때문.
  7. 따라서 이런 이야기들을 무조건 거짓말로 치부하기 보다는 당시엔 거의 알려지지 않은 마이너 무술인 팔극권이나 태극권에 대해 다른 무술가들이 전혀 몰랐기 때문에 방심했을 것이라 생각해 보거나, 현재의 중국 무술가들만 보더라도 고수라는 사람들 중에 진짜 제대로 하는 사람이나 실전 경험까지 풍부한 사람은 극소수인 것을 생각해 본다면, 과장이 약간 섞였을지언정 어느 정도는 납득할만한 이야기라고 볼 수 있다.
  8. 그런데 엽문도 영화내용도 실제 엽문의 삶과 차이가 많이 난다. 어디까지나 영화의 창작인 만큼 일제와 맞서 싸웠다거나 한 적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