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원정

Egypt1.jpg

나폴레옹 전쟁
이탈리아 전쟁이집트 원정제2차 이탈리아 전쟁

1 개요

나폴레옹 전쟁의 두번째 국면.

2 진행

1798년부터 1801년까지 나폴레옹이집트시리아를 원정한 전쟁. 나폴레옹은 인도에 식민지를 가진 영국을 견제하고자 했다. 이집트는 인도와 영국을 연결하는 중요한 거점이었기 때문에 이집트를 정복할 수 있다면 영국과 인도 사이를 차단할 수 있었다. 그렇게 된다면 공백상태에 빠진 인도를 쉽게 프랑스의 식민지로 삼을 수도 있다는 계산까지 한 듯하다.

물론 이런 계산은 속내에 숨기고 나폴레옹이 전면에 내세운 명분은 맘루크의 통치에서 이집트 민중을 구한다는 것이었다.

1798년 7월 3일, 아부키르에 상륙한 프랑스군은 다음날 알렉산드리아에 침공해 손쉽게 알렉산드리아를 점령했다. 이어 나폴레옹은 카이로를 함락시키기 위해 사막으로 행군했다. 하지만 당시 프랑스군은 유럽에서 입던 두꺼운 군복을 그대로 입고 왔었고, 사막에서 꼭 필요한 식수와 신선한 식품을 준비하는데 별다른 준비를 하지 않는 등 사막 행군에 필요한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였다. 이로 인해 따라서 더위와 갈증, 식중독으로 사망하거나 낙오한 병사들이 적지 않았고[1], 전체 행군 속도도 매우 느려졌다. 따라서 되려 7월 21일에야 카이로 근처의 나일강변의 마을인 엠바베에 도달할 수 있었고 엠바베에서 기다리고 있던 맘루크군 수비대를 격파했다.

기자의 피라미드가 보이는 곳에서 벌어진 전투라서 "피라미드 전투"라고 불리는 이 전투에서 맘루크군은 오래전 몽고군대를 격파한 경험이 있는 당대 최강의 기마병으로 영국제 신형 기병총으로 무장했지만 전술은 고전적인 아랍 기병대였고 나폴레옹군의 머스킷 총검으로 만든 방진을 돌파하지 못하고 격파당했다. 결국 무려 3000기에 달하는 맘루크군 기병이 전사하고 아랍보병대도 수천명의 사상자를 냈지만 프랑스군의 사망자는 29명에 불과했다. 이 전투에서 나폴레옹은 "병사들이여, 4천년의 역사가 내려다보고 있다"라는 말을 했다지만 이는 나폴레옹이 세인트 헬레나섬에서 쓴 회고록에 조작한 말로 보인다.[2]

이 전투의 결과로 카이로는 나폴레옹에게 항복했고 나폴레옹은 7월 25일 카이로에 입성하여 이집트 정복은 3주만에 끝난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오스만 제국은 나폴레옹이 이집트를 정복한데에 격분하여 대프랑스 동맹에 가세하고 나폴레옹에 선전포고를 단행했다. 나폴레옹의 뒤를 쫓던 넬슨은 8월 1일, 아부키르에 주둔하고 있던 프랑스 해군을 습격해 섬멸시켰고 이 때문에 나폴레옹은 보급과 퇴로가 막히고 말았다.

더욱이 카이로에서 도망친 맘루크군은 나일강 상류에서 재기를 노리고 있었고, 프랑스군과 카이로 시민들과의 관계도 험악해져갔다. 결국 10월 21일, 카이로에서 폭동이 일어나 프랑스군 300명이 살해당했고 프랑스군은 보복으로 카이로 시민 2500명을 학살했다. 게다가 프랑스군이 카이로의 아즈 훌 모스크에 난입한 것으로 인해 이집트인의 반감은 더욱 심해졌다.

나폴레옹은 이 난국을 타개하기 위해 나일강 상류에 별동대를 파견하여 맘루크군을 격파하게 하고 자신은 본군을 이끌고 오스만 제국을 치기로 결심한다. 그리하여 시리아로 진군하기 시작한 나폴레옹군은 1799년에 팔레스타인에 진입하여 야파를 점령하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제자르 파샤가 이끄는 니자므 제디드 군대의 분전과 시드니 스미스 경이 이끄는 영국 해군의 공격으로 악카(아크레)에 대한 공략은 실패로 돌아갔고 설상가상으로 야파에 주둔한 프랑스군 사이에 페스트가 창궐하였다. 이때 나폴레옹은 페스트에 걸린 병사들을 방치한 탓에 오늘날에도 논란이 되고 있다. 나폴레옹 본인도 이에 대한 비난을 걱정했는지 야파의 페스트에 걸린 병사들을 방문하는 자신을 그리게 하기도 했다.(안토닌 얀 그로스가 그린 "야파의 페스트 환자들을 방문하는 나폴레옹"이 바로 그 그림이다)

7월 25일, 노장 세이드 무스타파가 이끄는 오스만 군이 아부키르에 상륙하자 장기간의 항해에 지친 오스만 군이 재정비할 여유를 주지 않기 위해 프랑스군은 급히 이곳으로 병력을 전개해 공격했다. 조아생 뮈라는 기병 부대를 이끌고 닥돌을 감행해서 오스만 군의 방어선을 돌파해 무스타파와 직접 맞닥뜨렸고 그를 생포하는데 성공했다. 뮈라도 무스타파가 쏜 권총에 턱을 맞았는데 운이 좋게도 피부만 좀 다친 경상이었다. 이때 뮈라가 한 발언이 명언(...)이다. ("파리의 여자들은 안심해라. 내 입술은 말짱하니.")

그런 가운데 프랑스 본국에서는 오스트리아가 공세를 재개했고 나폴레옹의 정치적 입지도 좁아져가자 결국 나폴레옹은 이 전쟁을 포기하기로 결정한다. 아부키르에서 오스만군을 격파한 뒤인 8월 22일, 나폴레옹은 소수의 부하들만을 이끌고 이집트를 탈출하여 프랑스로 귀환했고(…) 이집트에는 지휘할 장군이 사라진 프랑스군만이 남았다.

나폴레옹이 탈출한 뒤, 드제이가 이끌던 나일강 상류를 공략하는 별동대는 맘루크군을 격파하고 맘루크의 수장 무라드 베이를 격파하는데 성공하긴 했지만 이집트에 남겨진 프랑스군은 영국군과 오스만군의 공세에 간신히 저항하는 수준이 되었고 결국 1801년, 오스만에 항복할 수 밖에 없었다. 오스만에 항복한 후 살아남은 1만 5천의 프랑스군은 본국으로 귀환할 수 있었다.

비록 영국과 인도 사이를 차단해 영국을 견제한다는 나폴레옹의 본래 목적을 달성하는데는 실패했지만, 동행한 학술 조사단은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 이집트 신성문자를 해독해내는 결정적 역할을 한 유물인 "로제타 석"을 발견했고 룩소르의 카르나크 신전과 왕가의 골짜기 같은 유적들을 처음으로 학술적 조사를 한 것 또한 성과로 볼 수 있다.
  1. 게다가 낙오한 병사들 중 일부는 현지의 베두인 족 남성들에게 강간?...(!)을 당하기도 했단다. 여자는 죽이고 남자는 겁탈해라
  2. 게다가 당시 전투가 벌어진 곳은 실제로는 피라미드에서 15km 이상 떨어진 곳이라 날씨가 좋을 때에나 간신히 피라미드의 형체가 보이는 수준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