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이탈리아 전쟁

나폴레옹 전쟁
이집트 원정제2차 이탈리아 전쟁오스트리아 전쟁

1 개요

나폴레옹 전쟁의 세번째 국면.

2 진행

나폴레옹이집트를 정복해 영국인도 사이의 연계를 끊어 영국의 세력을 약화시키려 시도했지만 되려 호레이쇼 넬슨이 이끄는 영국 해군이 아부키르에 주둔중이던 프랑스 해군을 섬멸하는 바람에 나폴레옹은 이집트에서 꼼짝못하는 처지가 되고 말았다.

이탈리아를 프랑스에 빼앗긴 오스트리아는 나폴레옹이 움직일 수 없는 이때를 호기로 판단하고 영국과 러시아, 그리고 오스만 제국을 끌어들여 프랑스에 공세를 취하게 된다.

1799년, 북이탈리아에 주둔한 프랑스군은 오스트리아군의 공세에 러시아군의 연합까지 더해져 제노바까지 후퇴하게 되었고 라인 방면에서는 프랑스와 오스트리아군이 대치하고 있었다. 헬베티아 공화국(스위스)에서는 프랑스와 오스트리아, 러시아 연합군이 일진일퇴의 공방전을 벌였다. 9월 25일, 프랑스군의 마세나는 취리히에서 연합군을 격파하여 러시아군을 스위스에서 퇴각시켰다.

이런 상황이 되자 프랑스 총재정부는 국민적인 원성을 듣게 되었다. 이런 가운데 이집트에서 탈출하여 프랑스로 귀환한 나폴레옹은 프랑스 혁명 초창기의 인물인 시에예스 등과 연합하여 총재정부를 무너뜨리고 통령정부를 수립했다(브뤼메르 18일의 쿠데타). 이후 나폴레옹은 자신이 제1통령에 올라 각종 개혁정책들을 추진하는 한편, 이듬해에 북이탈리아에서 오스트리아군과 싸울 준비를 갖추었다.

이듬해인 1800년, 나폴레옹은 제네바에 병력을 집결시킨뒤 5월에 알프스의 산 베르나르도 고개를 건너[1] 북이탈리아에 도착했다. 나폴레옹은 오스트리아군의 배후인 밀라노와 파비아를 점령했지만 제노바에 포위되어 있던 프랑스군은 결국 6월 4일 함락당하고 만다. 이에 오스트리아의 주력군은 토리노로 집결했다. 프랑스군에 의해 퇴로가 차단당한 오스트리아군은 결국 돌파하기로 결심하고 마렝고에서 프랑스군과 만나 격렬한 전투를 벌이게 되었다(마렝고 전투).

나폴레옹은 오스트리아의 공세에 밀려 위기에 처했지만 드제의 별동대가 나타나 전세를 역전시켰다. 그러나 전투의 막바지에 이르러 드제는 가슴에 총탄을 맞고 전사하고 만다. 한편 라인 방면에서는 모로가 이끄는 프랑스군이 오스트리아군을 격파하여 뮌헨까지 함락할 기세가 되었다. 결국 프랑스와 오스트리아는 7월 15일에 휴전에 합의하고 협상을 시작했다.

그러나 교섭이 실패로 돌아가자, 휴전기한이 끝난 11월 13일을 기해 다시 전투에 돌입했다.모로가 이끄는 라인방면 프랑스군은 12월 13일, 호엔린덴에서 오스트리아군에 결정적인 타격을 입혔고 오스트리아는 전의를 상실하여 다시 협상을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결국 1801년 2월 9일, 프랑스 동부의 류네빌에서 프랑스와 오스트리아는 강화조약을 체결했다. 오스트리아는 바타비아 공화국(네덜란드), 헬베티아 공화국(스위스), 치살피나 공화국(북이탈리아), 리그레 공화국(제노바)의 독립을 재확인했고 토스카나 대공국을 프랑스에 할양하기로 결정했다. 그밖에 치살피나 공화국의 영토확장과 나폴리의 왕정복고 등의 사안도 합의되었다. 영국만이 프랑스와 계속 전쟁을 벌였지만 결국 이듬해인 1802년 3월 25일 아미앵에서 강화조약을 맺고 종전을 확정했다(아미앵의 화약).

그러나 평화는 1년만에 깨졌고, 영국은 아미앵의 화약을 파기하고 영국은 프랑스에 선전포고하여 전쟁이 재개되었다. 더욱이 반나폴레옹 쿠데타에 가담했다는 혐의로 콩데 백작의 손자이자 부르봉 왕가의 핏줄인 앙기앵 공작을 바덴에서 납치해 처형한 일[2]로 유럽 각국과의 관계는 더욱 악화되어 갔다. 하지만 결국 나폴레옹은 국민투표를 거쳐 1804년 5월 28일 제정의 선포를 선언하고 12월 2일, 대관식을 거행하여 프랑스는 제1제정이 시작되었다. 상황이 이리되자 유럽 각국의 왕실들도 나폴레옹을 인정할 수 밖에 없게 되었다. 혁명의 총아였던 그가, 이제는 그들과 스스로 같은 위치에 서게 된 것이었다. 당장 대관식 때, 가장 먼저 나폴레옹에게 축사를 보낸 이가 신성로마제국 황제이자 오스트리아의 왕인 프란츠 2세였다.그리고 한 작곡가는 엄청난 배신감을 가지게 되었다

한편 1801년에는 영국과 덴마크 간의 전투인 코펜하겐 해전이 벌어지기도 했다. 당시 러시아, 프로이센, 덴마크 등은 중립 동맹을 체결하고 발트해에서의 영국 선박의 통행을 봉쇄했다. 그러자 영국은 동맹국 중 가장 만만한 덴마크를 굴복시킨 뒤 러시아를 공격하기 위해 함대를 파견하였다. 영국에 비해 해군력에서 절대적으로 열세였던 덴마크 해군은 코펜하겐 항구 앞에 정박한 채 육상 포대의 지원을 받아가며 영국 함대에 저항했다. 포격전 끝에 영국 해군 측이 승기를 잡자 포격을 중지하고 협상 후 덴마크 측의 항복을 받아냈다. 하지만 계획했던 러시아 공격은 함대가 이동하던 도중 영국과 러시아 간의 외교 협상으로 적대 관계가 해소되어서 취소되었다.
  1. 다비드의 그림에서 마치 나폴레옹이 거친 날씨 속에서 알프스를 넘은 것처럼 그려졌지만, 실제론 그날 날씨는 매우 화창했다고(…).
  2. 당시 나폴레옹은 올빼미당과 왕당파의 극심한 테러와 암살 위협으로 고통받고 있었다. 그는 공작을 처형한 일을 반체제분자들에게 보이는 본보기이자, 정당방위라고 합리화했다. 그는 라스 카즈에게 이렇게 말했다. "어떤 한 집안의 사람들이 자기들은 날마다 나를 죽이려 하면서 나는 그들에게 갚아줄 권리가 없다고 생각한다면 멍청이거나 미치광이가 아니겠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