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효석


이효석(李孝石, 1907년 2월 23일1942년 5월 25일)은 한국작가이다. 호는 가산(可山)이다. 본관은 전주이다.

1907년, 강원 평창 진부면 하진부리에서 태어나, 경성제일고보(지금의 경기고)를 졸업하고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문학과에서 영문학을 전공했다. 재학 중인 1928년 잡지 조선지광에 단편 '도시와 유령'이 실리면서 문단에 데뷔하였다. 참고로 고등학교 시절 처음 만나 절친하게 지낸 친구가 유진오다. 유진오는 시를 이효석 본인은 소설을 써서 서로 교환하여 읽고 비평하며 우정을 다져갔다. 그리고 이효석이 잡지에 글을 써서 받은 고료로 유진오와 자주 술을 마셨다고 한다. 그리고 그가 임종하기 전 보고싶다고 했던 사람도 친우인 유진오였다.

그러면서 일본인 은사의 도움으로 취직하기도 했는데 바로 조선총독부에 근무하는 서기로 취직했다... 그러나 하루는 출근하던 도중에 이갑기라는 평소에 알던 평론가를 만나 인사를 했더니 혐오스러운 눈으로 쳐다보던 이갑기는 "네놈도 결국은 개가 다 되었구나!"라는 말을 하고 그냥 가버렸고 이 일을 계기로 안정적인 일자리를 때려쳤다.

작품 활동 초기에는 사회주의 운동에 동조하는 경향의 작품을 펴냈다. 이후 작품의 경향이 바뀌어 순수 문학의 길을 걸었고, 향토색이 짙은 작품을 다수 발표했다. [1]이 시기 순수문학단체인 '구인회'에 참여하여 활동하기도 했다.

1934년 평양 숭실전문학교 교수로 부임했다. 1936년에는 걸작 메밀꽃 필 무렵을 발표하는 등, 교직에 있으면서도 작품활동을 멈추지 않았다. 2차대전 와중에는 생활고에 시달렸고 병에 걸린 자신의 아내와 차녀를 살리고자 부득이하게 친일파가 되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두 사람은 세상을 뜨고 만다. 아내와 차녀를 잃은 이효석은 "어째서 나는 민족반역자가 되었단 말인가!"라고 탄식했고 지인들에게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조선총독부에 근무하면서 호강을 부리던 놈이 객기로 그만둔 것은 전혀 부끄러워 하지 않으나, 먹고 살고자 다시 왜놈에게 아첨을 하는 글을 쓰는 건 두고두고 부끄러워 해야할 일이오."

결국 그 자신도 병마로 고생하다가 1942년 5월 25일 35살 한창 나이로 사망했다. 친일활동을 한 점으로 친일파 고발책자를 많이 낸 돌베개 출판사 책(90년대 책자 <한국의 친일파 99인>에 기재)에서도 언급되었으나 가족을 살리기 위하여 된 점이라든지 채만식과 더불어 그래도 후회하고 뉘우치는 모습을 보였기에 이광수최남선같은 어거지 변명이나 하거나 그걸 되려 큰소리치던 작가들보단 낫다며 긍정적인 평을 내린 바 있다. 그래서인지 친일인명사전에서도 이런 점으로 등재되지 않았다.

한국 현대 단편문학의 거장이라는 찬사답게 그의 저작 활동은 단편에 집중되어 있다. 단편집 기준으로 그의 대표작을 추리면, <노령근해>[2], <해바라기>[3], <이효석단편집>[4] 등이 있다.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한 이효석 문학상이 있다.

lee12-hp.jpg

2012년 2월 23일에 나온 탄생 105주년 기념 구글 두들.

  1. 사실 향토색 짙은 작품만 쓴 것은 아니고, 모던보이나 근대 문화를 기반으로 한 작품도 있으며, 불륜과 치정극을 다루는 대중 소설도 냈었다. 꼭 이효석만 그런것은 아니고 당시 근대 작가들의 상당수가 통속 소설을 냈었고 90년대 말~2000년대 이후 미시사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이쪽에 대한 조망도 많아졌다. 다만 의무 교육 상에서 다루어지는 이효석은 메밀꽃 필 무렵의 그늘이 너무 강해서 향토적인 작품을 낸 작가라는 부분이 아직까지도 크게 강조되는 편이다. 그나마 화분 정도가 언급되는 정도.
  2. 1931년 출간된 단편집. <도시와 유령>, <기우>, <행진곡>, <추억>, <상륙>, <북국사신>, <북국점경>, <노령근해> 등 8편이 수록되어 있다.
  3. 1939년 출간된 단편집. <돼지>, <삽화>, <수난>, <산정>, <장미 병들다>, <막>, <부록>, <해바라기> 등 8편이 수록되어 있다.
  4. 1941년 출간된 단편집. <메밀꽃 필 무렵>이 바로 여기에 수록되어 있다. 이외에도 <수탉>, <산양>, <독백>, <일기>, <석류>, <계절>, <공상구락부> 등 총 8편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