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상선

引上線, 引き上げ線 / Drawn out track
In Sang Line

1 개요

종착역까지 운행을 마친 열차를 회차시키기 위해 따로 만들어둔 선로. 인상선 이라는 이름에서는 이러한 의미가 잘 떠오르지 않는데, 이것은 일본어에서 그대로 이 이름을 차용했기 때문이다. 열차를 끌어 낸다 정도의 의미가 있다. 좀 더 친근한 어휘로는 "회송선" 혹은 "회차선".

주로 종착역에 설치되어 있는데, 종착 전용 플랫폼에 종착한 열차는 이 인상선으로 들어가, 건넘선 등을 통하여 다시 시발 플랫폼으로 나오게 된다. 인상선에 잠시 정차한 동안에는 청소를 하기도 하며, 기관사차장이 서로 위치를 바꾼다. 반대로 돌아 나가야되니까.

원칙적으로 승객들은 이 선로로 들어가는 열차에 타고 있을 수 없다. 종착역에서의 착석을 위해 일부러 종착 플랫폼에서 미리 탑승하거나 하는 얌체짓을 한다면 가능은 하지만, 다른 승객들에게 큰 민폐가 되며, 깊게 파고 들면 각종 안전법에 접촉되는 행위이니 하지 말자. 결국 이런 얌체족들 덕분에 코레일은 동인천역과 용산역 급행종착 승강장에는 안내문을 세워놓기도 했고, ITX-청춘 개통 전[1]의 상봉역에서는 승강장에서 바로 회차하는 방식으로 운행을 한 적도 있었다.#

2 장점

인상선이 있는 경우, 종착역 구내에 더욱 많은 열차를 유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인상선까지 복선으로 설치한 경우, 최소한 4대 이상은 유치 가능.[2] 하지만 예전 왕십리역 분당선용 인상선처럼 단선인데도 2대나 유치하는 사례도 있다. 2편성 길이정도 되는 인상선에 폐색을 1대 길이 정도로 끊어 설치해서 2대가 들어가도록 만들었다. 인상선 자체에는 1대만 들어갈 수 있지만, 정차위치와 인상선 분기기까지의 거리가 1대가 더 들어가기에 충분한 거리라 가능한 것이다. 즉, 앞차가 인상선에서 출발준비를 하는 동안 뒷차는 분기기 앞쪽 정차위치에서 대기하고 있고, 그 뒷차는 승강장에서 승객취급을 하고 있는 식이다. 현재는 평범한(?) 종착역처럼 2개의 인상선을 가지도록 공사가 끝난 상태.

다만 이러한 인상선에 들어갔다 나오는 것이 조금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심각한 열차 지연 등이 일어나고 있을 때에는 인상선에 들어가지 않고 바로 역 구내 진입 직전에 건넘선을 건너 시발 승강장에서 종착한다. 서울 지하철 4호선 사당역의 직류 전용 열차 종착이 이것이랑 비슷하다[3]. 서울 지하철 1호선 청량리역도 지나치게 지연되었을때 그렇게 운행한다. 이런 방식의 운행을 일본어로는 오리카에시(折り返し) 운행이라고 한다.

3 설치된 곳

용산역, 상봉역, 광운대역, 청량리역, 왕십리역, 동인천역(급행)등에서 볼 수 있다. 지하철 노선에도 대부분 있지만 지하라서(그리고 스크린도어에 가려서) 잘 안 보인다 (...) 상일동역은 중앙 선로와 더불어 차량기지 진입 선로도 인상선처럼 쓴다.

기행 수준의 완급결합을 하는 케이큐에게 인상선은 그저 대피선. 심지어 승객을 태운 채로 인상선에 들어갔다 나오기도 한다. 참고로 지금 그런 다이아는 없다.

4 기타

인상선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은 사람은 여기를 참고하자.
  1. ITX-청춘이 개통한 현재는 청춘이 상봉역을 통과하는 시간대에 상봉역에 종착한 열차는 대부분 인상선으로 들어간다. 주말 오후나 막차시간대 등 배차가 널널한 때에는 승강장에서 바로 회차하기도 한다.
  2. 인상선 두 선로에 1대씩, 승강장에 2대 유치해서 총 4대
  3. 물론 혼잡 시간대에는 이렇게 못하고 인상선으로 들어갔다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