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텔 펜티엄 듀얼코어 시리즈

인텔 펜티엄 시리즈
아키텍처 분류제품
P5 아키텍처펜티엄 1 (1993)
(P5·P54C·P54CS·MMX)
P6 아키텍처펜티엄 프로 (1995)펜티엄 2 (1997)
(클라매스·데슈츠)
펜티엄 3 (1999)
(카트마이·코퍼마인·투알라틴)
펜티엄 M (2003)
(베니아스·도선)
넷버스트 아키텍처펜티엄 4 (2000)
(윌라멧·노스우드·프레스캇·시더밀)
펜티엄 D (2005)
(스미스필드·프레슬러)
코어 아키텍처 이후
(보급형 라인)
인텔 펜티엄 듀얼코어 시리즈 (2007)
(PC: 콘로·울프데일·클락데일·샌디브릿지·아이비브릿지·하스웰·스카이레이크·카비레이크)
(모바일: 요나·메롬·펜린·에렌데일·샌디브릿지·아이비브릿지·하스웰·브로드웰·스카이레이크·카비레이크)
아톰 시리즈에서 편입
(보급형/저전력형 라인)
인텔 펜티엄 J, N 시리즈 (2013)
(베이트레일·브라스웰·아폴로레이크)
관련 문서인텔 코어 시리즈인텔 코어2 시리즈인텔 코어i 시리즈
2007~2009년까지의 펜티엄 뱃지 로고.[1]2009년에 교체된 펜티엄 뱃지 로고.2013년에 교체된 펜티엄 뱃지 로고.
베이트레일 펜티엄에도 쓰인다.
2015년에 교체된 펜티엄 뱃지 로고

1 개요

인텔의 보급형 CPU 라인업.
2007년 콘로, 메롬 기반 듀얼 코어가 처음으로 발매되면서 발매된 펜티엄 브랜드의 듀얼 코어 시리즈.

AMD페넘을 등장시키고 메인스트림으로 활약하던 애슬론을 보급형으로 만들었듯이, 한때 잘나가던 펜티엄도 지위를 코어 2에 맡기고[2] 보급형으로 전락했다. 사실 코어2 듀오 등장 이후에도 펜티엄 D 9x5 계열이나 펜티엄4가 보급형으로 꾸준히 판매되고 있었으니, 그것들을 대체하기 위한 목적이다.

코어 시리즈가 나오면서 셀러론이라는 브랜드가 사라지고 펜티엄이 그 자리를 메울 것이라는 전망도 있었지만, 셀러론은 초저가형 브랜드로 꾸준히 살아남고 있으며 두 라인업 간에 미세한 클럭과 L3캐시용량 차이가 존재한다. 가격으로 분류하면 셀러론이 50$ 미만의 가격대, 펜티엄은 50~100$ 중저가형 범위의 제품군이다. 셀러론은 시장 범위를 넓히기엔 너무 싼 티가 나고, 코어 시리즈를 준 보급형 시장용 모델에 이름 붙이면 브랜드 가치가 떨어지는 만큼 중간 포지션으로 익숙한 브랜드를 되살린 셈. 굳이 적자면 주역기 자리에서 내려와 조연급 캐릭터가 모는 건담과 비슷하다.자쿠 머리 달린 제타재생품 스트라이크 건담, 건담 X NT-001을 생각하면 될 듯.

인텔 코어 시리즈 기반으로 콘로 라인업의 CPU로 통합된 앨런데일과 울프데일 기반의 CPU가 출시되었으며, 이후 인텔 코어 i 시리즈 기반으로 또 두 단계 끌려와 클락데일, 샌디브리지, 아이비브릿지, 하스웰, 스카이레이크 기반의 CPU가 출시되었다.

2 역사

2.1 코어 아키텍처 기반

2.1.1 콘로/앨런데일 펜티엄

2007년 6월부터 출시된 최초의 펜티엄 듀얼코어[3] 제품군. 65nm 공정으로 개발된 코어2 듀오 모델의 중급형 라인업인 E4xxx 시리즈에서 L2캐시 용량을 1MB로 줄이고 SSE4.1 명령어가 빠진 형태다. 보급형 라인업으로 재편성되었기 때문에 펜티엄 D와 펜티엄 듀얼코어의 성능을 비교하는 일이 많았다. 실제로 펜티엄 듀얼코어의 최저 클럭 모델을 기준으로 비교하면 초기 펜티엄D였던 스미스필드보다 좋고 후기 펜티엄D였던 프레슬러와 비슷하거나 약간 떨어지는 수준이었다. 결과적으로는 명목상 보급형 모델일 뿐 사실상 펜티엄D의 후속작다운 성능이었다는 것. 이 뿐만 아니라 코어2 듀오의 E4xxx 모델과의 성능 차이조차 그렇게 크지 않으며, 오히려 오버클러킹이 잘되는 대박 제품이 가끔 나와서 노리고 사는 사람도 있었다.
네이밍은 E2xxx 시리즈로, 콘로 기반 제품 중에는 오버클럭 비율이 100%(클럭이 2배로 뛰는거다!)까지 가는 괴물 제품이 있어서[4] 코어2 듀오 E4xxx 시리즈가 팀킬로 하늘나라로 가버렸다(...).
그 외에도 오버클럭이 지원되지 않는 저가 보드(945PL이나 945GZ같은 FSB800전용 보드 제외) 에서도 속칭 은박신공으로 E2140이나 E2160에 FSB266~333으로 오버클럭 하는 방법도 있어서, 이 방법 덕분에 저가 보드로 오버클럭을 하는 경우도 많았다.

2.1.2 울프데일 펜티엄

2008년 8월부터 출시된 펜린 아키텍처 기반의 제품군. 초기엔 '펜티엄 듀얼코어' 브랜드명을 이어갔으나 후기에는 그냥 '펜티엄'으로 변경되었다. 45nm 공정으로 미세화했고 L2캐시 용량이 2MB로 전작보다 2배 증가되었다. 출시 초기에는 E5xxx번대만 나와서 네이밍 구분에 별 문제가 없었으나 브랜드명이 변경된 나중에는 E2xxx, E6xxx번대까지 출시되는 바람에 이전 콘로 기반의 모델명 넘버와 혼동되는 사례가 빈번했다. 콘로 시절과 마찬가지로 코어2 듀오 제품군 중 E8xxx번대의 하위 모델인 E7xxx시리즈가 펜티엄 E5xxx 시리즈의 높은 오버클럭 수율에 팀킬 당하는 중.

2.2 네할렘 아키텍처 기반

이때부터 펜티엄은 코어 i5의 반쪽 취급을 받는다. 코어/스레드 개수와 L3 캐시의 용량이 코어 i5의 딱 반이기 때문. 셀러론은 L3 캐시만 펜티엄의 3분의 1정도 작다.

2.2.1 클락데일 펜티엄

2010년 1월에 i3, i5 클락데일 제품군들과 함께 출시된 웨스트미어 아키텍처 기반의 펜티엄. 펜티엄 뒤에 넘버가 Gxxxx 네이밍으로 변경되었기 때문에 펜티엄G라고도 불렀다. 다른 클락데일 모델과 마찬가지로 32nm 공정이고 L3캐시 용량이 3MB로 전작보다 1MB 더 증가되었다. 클락데일 펜티엄도 역시 적당한 오버율을 보여주고 내장 그래픽을 가졌으나 이로 인해 떨어지는 메모리 레이턴시[5]와 상위 모델인 린필드의 성공으로 그렇게 많이 팔리지는 않았다.

2.3 샌디브릿지 아키텍처 기반

2.3.1 샌디브릿지 펜티엄

2011년 5월 말부터 출시된 샌디브릿지 아키텍처 기반의 펜티엄. 넘버가 네자릿 수에서 세자릿 수로 변경되었는데 이때부터 펜티엄 제품군이 다시 인기가 많아졌으며(i3 시리즈와는 하이퍼스레딩유무가 가장 큰 차이), 사무용 및 저가형 데스크탑으로 가성비가 괜찮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2.3.2 아이비브릿지 펜티엄

2012년 9월부터 출시된 펜티엄 제품군으로 기존 아키텍처와 동일하지만 22nm 공정으로 미세화했고 모델의 넘버가 다시 네자릿 수로 돌아왔다. 이전의 샌디브릿지 펜티엄과 마찬가지로 사무용에 알맞는 CPU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2.4 하스웰 아키텍처 기반

2.4.1 하스웰 펜티엄

2013년 9월부터 출시된 하스웰 아키텍처 기반의 펜티엄으로 하스웰 특성상 내장그래픽 성능이 대폭 향상되었고 i3 이상에서만 볼 수 있었던 인텔 퀵싱크 비디오 기술을 펜티엄에서도 지원하여 사무용 뿐만 아니라 동영상 감상용, 가벼운 게이밍용[6]으로도 쓸만한 CPU로 각광받았다.
2014년 5월부터는 클럭이 소폭 상승한 하스웰 리프레시의 펜티엄 모델이 계속 출시되었으며, 7월에 펜티엄 20주년 기념 모델인 Pentium Anniversary Edition이 G3258이란 모델명으로 나왔다. 나름 기념작이라고 배수제한 해제 모델로 제공된다. 사람들은 이 모델을 그냥 펜티엄K로 부르는 상황. 과연 옛날 E2xxx나 E5xxx 시리즈처럼 상위 제품 엿먹이는 리즈시절급 오버클럭 성능을 보여주느냐에 대해 기대를 심어주고 있다.[7] 그리고 순정 쿨러로 4.5GHz까지 도달하는 실사용 오버클럭에 성공하였고 그 성능은 i3와 비슷하다고 한다.[8][9] 덤으로 1.6GHz까지 미친듯이 올려버릴 수 있는 그래픽 코어 오버클럭은 덤. 저렇게 세팅하면 7만원짜리 펜티엄이 연산 성능부터 게임 성능까지 13만원짜리 i3 4130과 동급이라는 아주 훌륭한 팀킬을 보여준다! 이젠 i3는 가성비 면에선 레알 찬밥이 되었다. 그래도 하이퍼스레딩이 받쳐주니 다행이지[10]

다른 i3 제품군과 마찬가지로 14nm 공정 버전의 브로드웰 기반 펜티엄은 등장하지 않았고 한동안 하스웰 리프레시 펜티엄으로 오래 지속되었다.

2.5 스카이레이크 아키텍처 기반

2.5.1 스카이레이크 펜티엄

2015년 9월부터 출시된 스카이레이크 아키텍처 기반의 펜티엄 제품군. 브로드웰과 같은 14nm 공정으로 TDP가 더 감소되었고 동시에 내장그래픽 성능이 향상되었으나 클락데일 세대 이후 최초로 펜티엄 제품군 내에서 상위 모델(G4500, G4520)과 하위 모델(G4400)에 탑재된 내장그래픽이 서로 다른 라인업으로 변경되었다.
G45xx 모델이 i3 이상 모델에 공통으로 탑재된 HD Graphics 530[11]으로 저사양 온라인 게임 유저들에겐 최적의 성능 조합이지만 환율 문제와 공급 문제로 인해 가성비가 예전보다 더 떨어졌고 i3급 이상의 내장그래픽 개발 비용도 만만치 않았는지 거의 10만원 내외에 머물고 있다. 차라리 G4400과 같은 HD Graphics 510이었다면 지금보다 더 합리적인 가격대였을거라는 의견이 있었다.
이 때문에 내장그래픽 성능이 좀 낮지만 그나마 적절한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는 G4400을 찾는 사람들이 제법 많이 나오고 있으며, G4400에 탑재된 HD Graphics 510은 하스웰 i3-4130에 탑재된 HD Grapics 4400과 동급이다.
게이밍 성능이 저가형 그래픽카드 못지 않는 수준일 뿐만 아니라 최신 코덱인 (8bit한정)H.265 기반 4K UHD 60fps의 고사양 동영상을 내장그래픽의 도움으로 거뜬히 돌릴 수 있다는 것이 전작 대비 가장 큰 매리트.

2015년 4분기에는 아예 펜티엄 D마저 부활시켰다. 다만, 제온과 같은 서버용으로 나오는 제품군으로 이전의 펜티엄 D와는 이름만 같은 다른 제품이다. 특이한 것이 펜티엄 D 제품들 중에서 최상위 제품이 무려 하이퍼스레딩을 지원하는데 특히 펜티엄 D 1517의 경우 쿼드코어에 하이퍼스레딩으로 8 스레드며 TDP도 25W라[12] 전력 소모도 줄었으며 권장가가 194달러다. #

3 펜티엄 듀얼코어 시리즈의 제품 일람

  • 데스크탑
    • 코어 아키텍처 기반
      • 펜티엄 듀얼코어 E2xxx - 콘로, LGA775, 1.6~2.4GHz, L2 1MB, FSB 800MHz
      • 펜티엄 듀얼코어 E5xxx - 울프데일, LGA775, 2.5~3.2GHz, L2 2MB, FSB 800MHz, E5300이상은 2009년 중반에 생산된 제품부터 VT지원
      • 펜티엄 E6xxx[13] - 울프데일, LGA775, 2.8~3.33GHz, L2 2MB, FSB 1066MHz, 가상화기술(VT) 지원
      • 펜티엄 E6500K - 울프데일, LGA775, 2.93GHz, L2 2MB, FSB 1066MHz, 가상화기술(VT) 지원, 배수제한 해제
    • 네할렘 아키텍처 기반
      • 펜티엄 G69xx - 클락데일, LGA1156, 2.8~2.93GHz, L2 512KB, L3 3MB, 가상화기술(VT) 지원
    • 샌디브릿지 아키텍처 기반
      • 펜티엄 G6xx - 샌디브릿지, LGA1155, 2.6~2.9GHz, L2 512KB, L3 3MB(8Way), 가상화기술(VT) 지원
      • 펜티엄 G8xx - 샌디브릿지, LGA1155, 2.8~3.1GHz, L2 512KB, L3 3MB(12Way), 가상화기술(VT) 지원
      • 펜티엄 G21xx - 아이비브릿지, LGA1155, 3.1~3.2GHz, L2 512KB, L3 3MB(12Way), 가상화기술(VT) 지원
      • 펜티엄 G20xx - 아이비브릿지, LGA1155, 2.8~2.9GHz, L2 512KB, L3 3MB(8Way), 가상화기술(VT) 지원
    • 하스웰 아키텍처 기반
      • 펜티엄 G3xxx - 하스웰, LGA1150, 2.6~3.3GHz, L2 512KB, L3 3MB(12Way), 가상화기술(VT) 지원
      • 펜티엄 J2xxx - 실버몬트 & 베이트레일 소속, FCBGA1170, 2.41~2.67GHz, 가상화기술(VT) 지원
      • 펜티엄 G32xx, G34xx, G3258[14] - 하스웰 리프레시, LGA1150, 3.2~3.5GHz, L2 512KB, L3 3MB(12Way), 가상화기술(VT) 지원
    • 스카이레이크 아키텍처 기반
      • 펜티엄 G44xx, G45xx - 스카이레이크, LGA1151, 3.3~3.6GHz, L2 512KB, L3 3MB(12Way), 가상화기술(VT) 지원
  • 노트북
노트북 계통에서는 요나를 시작으로 메롬, 펜린, 아란데일, 샌디브릿지, 아이비브릿지, 하스웰, 스카이레이크 순으로 출시되었다.
  • 코어 아키텍처 기반
    • 펜티엄 듀얼코어 T2xxx - 요나, 소켓 M, 1.6~1.87Ghz, L2 1MB, FSB 533Mhz, EM64T 미지원
    • 펜티엄 듀얼코어 T2xxx, T3xxx - 메롬, 소켓 P, 1.47~2.17Mhz, L2 1MB, FSB 533~677Mhz
    • 펜티엄 듀얼코어 T4xxx - 펜린, 소켓 P, 1.3~2.3Ghz, L2 2MB, FSB 800Mhz
  • 네할렘 아키텍처 기반
    • 펜티엄 P6xxx - 애런데일, 소켓 G1, 1.87~2.27Ghz, L2 3MB
  • 샌디브릿지 아키텍처 기반
    • 펜티엄 B9xx - 샌디브릿지, 소켓 G2, 2~2.4Ghz, L2 2MB
  • 아톰 기반
    • 펜티엄 N3xxx - 베이트레일, FCBGA1170, 2.0GHz, 가상화기술(VT) 지원
  1. 하단의 Dual-Core가 없는 경우도 있다.
  2. 모바일 CPU로만 나온 코어 1은 펜티엄 D와 같은 자리에서 공존했다.
  3. 물론, 듀얼코어로 구성된 펜티엄 자체는 펜티엄 D부터였지만 브랜드명은 펜티엄 듀얼코어가 아닌 펜티엄D였기 때문에 펜티엄 듀얼코어라는 브랜드명으로 내놓은 모델은 이때부터였다.
  4. E2140(1.6Ghz),E2160(1.8Ghz)같은 모델들 정말 심심하면 클럭2배를 찍는 기염을 토했다. 특히 E2160 G0은 오버클럭 기본이 3.6GHz (...) 그 이후의 E2180~E2220는 그렇게 2배까지는 찍기 힘들다.
  5. 이는 모든 클락데일 기반의 단점이기도 했다. 그래서 가장 많이 앞세운 클락데일 i3가 린필드 i5만큼 주목받지 못 했던 것.
  6. 최신 저사양 게임이나최적화가 잘된 게임 출시된지 오래된 고전 게임이나 국내 온라인게임 등
  7. 안그래도 하스웰로 들어가면서 펜티엄 상위 모델들의 경우 가성비로 i3보다 우위를 점하는 상황이라 견적 추천에서 아예 저가형이나 사무용은 펜티엄으로 가고, 게임이나 다중 작업을 하고 싶으면 i5, i7으로 가라는 말을 할 정도로 i3가 찬밥 신세가 되었다.
  8. 해당 리뷰에서는 1.2v까지만 먹히는 보급형 보드로 오버를 한 것이고 이런 제한이 없는 고급형 보드의 경우 4.7GHz 실사용까지 가능하다.
  9. 해당 블로거는 동생의 메인보드가 전압 제한이 없는걸 알고 슬쩍 바꿔치기 해서 3만원대 공랭쿨러에 4.8GHz(48배수)까지 오버클럭했다고.... [1]
  10. 하이퍼 스레딩은 과거 멀티코어 지원이 제대로 안되던 시절에는 찬밥이었지만, 지금은 확실히 있는 것이 낫다. 2Core 2Thread 와 2Core 4Thread의 체감은 생각보다 크다. 예를 들어 온라인 게임을 켜놓고 다른 프로그램을 또 실행시키면 셀러론/펜티엄은 버벅거리지만 코어 i3부터는 살짝 버벅이는 수준이다. 무엇보다도 하스웰 i3가 H.265 코덱의 4K UHD 동영상을 겨우 돌릴 수 있는 마지노선 제품군이다.
  11. 다만, 그래픽 유닛(EU 단위) 갯수는 i3 이상의 본래 HD Graphics 530보다 1개 모자르기 때문에 i3 이상의 내장그래픽보다 1EU 적은만큼 떨어지는 성능이다. 딱, i3 이상 내장그래픽의 23/24 성능이라 퍼센트로 환산하면 4~5% 정도 더 낮은 수준.
  12. 참고로 전혀 관계없지만 10여년 전 동명 CPU 펜티엄D의 TDP는 무려 95W다.
  13. 코어2 듀오의 E6xxx 시리즈와 혼동되기 쉬운 네이밍이었다.
  14. 펜티엄 20주년 기념 모델로 펜티엄 듀얼코어 이후 배수 제한이 해제된 유일한 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