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선

1 후한 말의 장사태수

張羨

생몰년도 미상

유표 수하에 있던 인물. 관도대전의 숨은 공신

남양 사람으로 영릉과 계양의 현장이 되어 장강과 상수 사이에서 민심을 크게 얻었으며, 성품이 남에게 굴복하지 않고 순종하지 않았다. 유표가 그 사람됨을 천박하게 여겨 예우하지 않음이 심했으며, 장선은 이 때문에 유표에게 원한을 품고 있었다.

조조원소가 관도에서 서로 대치하고 있을 때 유표가 원소에게 호응했는데, 환계의 권유로 조조의 편에 서야 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장사와 옆의 세 군을 인솔해 유표에게 항거했다. 사자를 보내 조조와 만나자 조조는 매우 기뻐했으며, 조조와 원소가 전투를 계속하면서 조조가 남쪽으로 나아갈 수 없자 유표의 공격을 받았고 유표는 몇 년이 되어도 함락시키지 못했고 그 와중에 장선은 곧 병들어 죽었다.

조조가 형주를 평정할 때 환계가 장선을 위해 계책을 세웠다는 것을 알고 그를 평가하고 불러서 썼다고 한다.

삼국전투기에서 장수의 부하인 장선과 동일인물로 나온다.

2 삼국지연의의 등장인물

張先

삼국지연의의 가공인물.

장수유표와 동맹을 맺고 남양, 강릉의 여러 현 등에서 봉기를 일으키게 하자 198년 여름 4월에 조조가 헌제를 뵙고 장수가 난을 일으켜 군사를 이끌고 정벌해야 한다고 상주해 진군했는데, 장수는 조조가 이끌고 온다는 소식을 듣고 유표에게 호응해달라고 했고 이 때 장선은 뇌서와 함께 군사를 거느리고 적을 맞이하러 성을 나갔다.

장수가 조조를 도발하면서 조조가 크게 노해 허저를 내보자 장수의 명에 따라 허저와 싸우러 나갔다가 겨우 세 번 어울리고 허저에게 죽었다.

2.1 미디어 믹스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에서는 삼국지 3에 등장한다.

진삼국무쌍6 완성 전투 전편에서는 환영병이 나타나는 제기가 있는 장소에서 너희들 여기서 살아남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지 말라는 대사를 하면서 복병으로 나타난다. 완성 전투 후편에서는 완성 바깥에서 좌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뇌서와 함께 도개교를 확보하기 위해 쓰러뜨려야 하는 상대이다.

삼국전투기에서는 헬보이로저 더 호문쿨루스로 나온다. 장사태수 장선과 동일인물로 나오지만 장사태수일 때 행적은 나오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 가상인물인 장선이나 다름없다.

남양군 출생으로 태생이 천해 유표에게 인정받지 못하자 장수 휘하에 들어갔다고 나오며, 완 전투 때는 조조가 1진의 포위를 뚫고 육수를 넘으려고 할 때 2진으로 포위해 조조를 탈출시키기 위한 조조군의 장수에게 저지당하는 모습으로 나온다.

양 전투에서는 유표군에서 보낸 문빙이 퇴각하는 적을 쫓으라고 하자 장선이 문빙과 조조군을 추격하는데, 문빙에게 너무 서두른다면서 조조군이 복병이라도 심어놨으면 어쩌냐고 염려했다. 문빙이 조조의 각 퇴각로를 따라 척후를 풀어놓고 복병이 있다면 미리 알린다고 해서 안심했지만 복병에 걸려서 패했다.

같은 꿈을 꾸다 in 삼국지에서는 장수의 부하로 세상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활을 잘 쏘며, 이준경이 형주의 외교를 하러 갔다가 형주의 다툼에 휘말리게 되면서 장수의 공격을 받게 된다. 장선이 이준경을 노렸지만 이준경을 호위하는 장수들에게 저지되었으며, 이후 일어난 등현 전투에서 이준경이 이끄는 군사와 싸우다가 전사한다.

3 삼국시대 오나라의 일남태수

張善

생몰년도 미상

266년에 일남태수가 되었고 백성들이 황금 오리를 주워 바쳤는데, 장선은 박식하고 이치에 통달해 그 연도와 개월 수를 따져보아 그 황금 오리들이 진시황의 무덤에 있던 황금 오리임을 알았다.

진시황이 무덤을 만들 때 천하의 기이한 것들을 모으고 공인들을 생매장했는데, 진시황은 진귀한 보물들을 모두 무덤 속에 두면서 강, 바다, 산맥 등 지형의 모습을 만들었다. 나무로 배, 노를 만들고 금, 은으로 오리, 기러기 등을 만들었으며, 유리, 보석 등으로 거북, 물고기를 만들고 바다 속에는 옥으로 고래를 만들었다.

진시황의 장인들은 무덤에 생매장당했고 등촉을 대낮처럼 줄지어 밝혀놓았으며, 무덤 안에서 용, 봉황, 선인의 상을 만들면서 비석을 세우고 비문을 기록했다. 한나라 초에 발굴했고 전적을 통해 조사했지만 용, 봉황, 선인을 만들었다는 기록이 없었으니, 생매장당한 장인들이 만든 것임을 알 수 있다고 한다.

3.1 관련 사료

  • 태평광기
  • 습유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