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삼국지)

1 후한 말의 군웅

위서 「이공손도사장전(二公孫陶四張傳)」
공손찬도겸장양공손도장연장수장로


張繡
(? ~ 207)

후한 말의 군웅으로 동탁의 부하인 장제의 조카다. 정확히는 장제는 장수의 부친의 막내동생으로 몇 번째 동생인지는 알 수 없으나, 장수에게는 삼촌이자 계부에 해당한다.

어렸을 때부터 무용이 있어 이름이 드높다가 지방관에게 발탁되어 그 밑에서 일한다. 그런데 한수, 변장 등의 반란이 일어나 지방관이 살해당하자 난을 진압하고 주모자들을 처단한다. 그 후 동탁을 의지하다가 동탁이 죽자 삼촌 장제의 수하로 들어갔고, 196년 장제마저 전사하자 그 세력을 이어받아 완성을 차지한다.

장수는 군사력은 있었으나, 물자 사정이 여의치 못했다. 따라서 유표와 연합해 유표로부터 지원을 받아 조조와 대항했다. 하지만 바로 다음 해인 197년 부족함과 조조의 강성함을 견디지 못하고 바로 굴복한다. 연의에서는 사회에서 사는 능력이 충만한 가후가 '기왕 질 거면 미리 항복하는 게 낫다'라고 간언한 걸로 나온다. 그러나 조조가 숙부인 장제의 과부 추씨와 동침한다는 사실을 알자[1] 분노하며 가후의 계략에 따라 조조군을 야습, 조조의 맏아들 조앙과 조카 조안민, 맹장 전위를 살해하는 큰 성공을 거둔다. 이후 완성을 버리고 양성으로 거점을 옮긴다.

다음 해인 198년 다시 유표와 손잡고 양 전투에서 조조에게 맞섰지만 세력의 차이를 극복할 수는 없었고 200년 초 수하 가후의 제안[2]을 따라 조조군으로 귀순했다. 하지만 장수 입장에서는 조조에게 귀순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후환이 남을 수 밖에 없는 결정이었다. 결과만 보면, 자신도 핍박받아 죽었으며, 가문도 멸문당했다. 오히려 원소 쪽에 항복했어도 크게 손해받지는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왜냐하면 장수과 조조와 원소 양쪽 모두에게 상당히 전략적으로 중요한 세력이었기 때문이다. 장수가 원소 쪽과 연합하면 근처에 있는 친원소 세력에 가까웠던 유표 세력과 대놓고 친원소 라인을 표방한 여남군 대부분과 연계해 조조를 협공하기에 상당히 유리한 형세가 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바로 포위망 형성이다 따라서 적어도 원소와 조조의 결전 당시엔 장수가 원소에게 경시받을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장수가 조조에게 들어옴으로써 반대로 유표를 견제하는 역할을 받았고, 이에 따라 유표는 원소를 돕는데 매우 소극적인 자세를 취하게 되었다. 귀순하고 열후에 봉해졌으며, 관도대전에서 공을 세워 '파강장군(破羌将軍)'의 직책을 받았고, 원담을 격파하는데 공을 세워 식읍이 2,000호에 달하는 등 그럭저럭 뛰어난 활약을 보였다. 207년 오환을 정벌하러 유성으로 가는 도중 사망했다.

장수전에 주석으로 딸린 어환의 위략에 의하면 조비는 매번 장수를 잔치에 초대한 뒤에 "내 형을 죽인 그대가 어떻게 뻔뻔하게 내 아버지가 주는 녹봉을 받아먹고 살 수가 있나염??"이라고 말하면서 하도 갈궈대서 자살했다고 한다. 이 때 조비의 나이는 187년생이니 끽해야 20세쯤인데 사실이라면 흠좀무.

한 가지 신경 쓰이는 점은 장수의 아들인 장천인데 장천은 훗날 위풍의 난에 연좌되어서 아들과 함께 참살되는 바람에 장수의 대는 단절되었다. 그러나 이 장천의 죽음이 실제로 난에 가담하다가 참살당한건지, 아니면 억울하게 휘말린건지, 아니면 의도적으로 엮어서 참살당한건지 명확치가 않다. 위풍의 난에 대한 자료가 별로 없어서 일이 어떻게 돌아갔는지 파악이 안된다. 기껏해야 누가 연좌되어서 죽었는지 알 수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 외의 장수의 자식으로 딸 하나가 있었다.

가후가 평하기를, "용병술은 뛰어나지만 조조의 적수는 못 된다"고 했다.

진수는 이공손도사장[3]전으로 한꺼번에 싸잡아(…) 세트로 묶었다. 공손찬공손도, 도겸, 장양 등은 일반 백성보다도 못하니 평할 가치도 없는 인물이라고 했고 장연장수, 장로는 현명하게도 조조에게 항복해 제사를 지켰으니 공손찬과 비교하면 좀 낫다고 했다. 장수 뿐만 아니라 원소를 필두로 해서 후한 군벌들에 대한 진수의 평가는 무척 박하다.

여하튼 마이너급 군주들 중 조조에게 큰 타격을 주고도 살아남은 특이한 경우. 군웅으로서의 활동 연간도 196년 후반 ~ 200년 초반으로 매우 협소하다. 하지만 여포, 원술을 신경쓰느라 정신 없는 조조와 두 번 싸워서 두 번 모두 짭짤한 승리를 거두므로서 조조를 낮추고 장수가 아닌 가후를 띄우는데 매우 괜찮은 소재로서 삼국지연의에서도 강한 인상을 남긴 군주다.[4] 좀 나쁘게 말하면야 가후 셔틀이지만(...) 군사적 능력 측면에서는 가후가 조조보다는 못하다고 했지만, 관도대전과 원담과의 대전에서 상당한 공적을 세운 것을 보면 뛰어난 장수였던 것으로 보인다.

1.1 미디어 믹스

2 후한 말의 유언 휘하의 인물

張脩
(? ~ ?)

후한 말의 인물.

184년 7월에 파군에서 봉기하면서 무리를 형성해 미곡 5두를 바쳐서 입교하도록 하는 등 오두미도의 의식을 만들었다고 하며, 유언에게서 별부사마에 임명되어 장로와 함께 소고를 공격해서 살해했지만 장로에게 습격을 받아 살해당하고 그 군세를 탈취당했다.

이후 장로가 한중에 있을 때 장수의 사업을 믿고 따르는 것으로 인해 백성들도 이를 따랐다고 하며, 배송지는 이에 대해서 장수는 장형이 잘못 기록된 것으로 전략의 잘못이 아니라 베끼는 과정에서 발생한 오류라고 했다.

배송지의 지적이 올바른지 알 수 없지만 장수가 봉기한 시기는 184년이고 장형은 이미 죽은 지 오래였으며, 장수를 별부사마에 임명한 유언은 188년에 임명되었기에 연도상으로는 장수가 장형과 동일인물인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1. 정사에서는 추씨의 성은 불명이다. 그러나 정사 장수전에도 기술되어 있지만 조조가 무슨 성씨인지는 몰라도 장제의 과부를 거둬들였고, 그에 장수가 분노하여 조조군을 공격한 것은 기록에 남아있는 일이다. 장수전의 내용을 추가하자면 조조가 자기가 형수를 거둔 것을 장수가 기뻐하지 않는다는 것을 듣고, 은밀히 죽이려는 계책을 짠게 누설되어 장수에게 습격당했다고 적고 있다.
  2. 연의에서 원소와 조조 사이에서 조조를 골라야할 이유를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부분은 그야말로 명장면. 은하영웅전설에서 힐데가르트 폰 마린도르프오토 폰 브라운슈바이크가 아닌 라인하르트 로엔그람을 따라야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부분도 여기서 따왔다고 한다.
  3. 2공손, 도, 4사장 등 성씨로 묶은 것으로 공손찬, 공손도, 도겸, 장연, 장수, 장양, 장로를 말한다.
  4. 이 시기에 조조는 유비, 여포, 원술, 이각 등과 싸우는 족족 이겼는데, 장수와 싸울 때만 그것도 두 번이나 패한 걸 생각하면 꽤 놀라운 전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