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백이십포체

4차원 볼록 정다포체
정오포체정팔포체정십육포체정이십사포체정백이십포체정육백포체


정백이십포체

120-cell.gif
회전하는 정백이십포체의 3차원 투영 모습[1].

1 개요

正百二十胞體/120-cell, 또는 Regular hecatonicosachoron(복수는 -chora)

한 개의 모서리에 세 개의 정십이면체가 만나고, 총 백스물 개의 정십이면체로 이루어진 정다포체.

2 정백이십포체에 대한 정보

단위/특성개수비고
슐레플리 부호{5,3,3}
꼭지점(vertex, 0차원)600
모서리(edge), 1차원)1200
면(face, 2차원)720정오각형
입체(solid, 3차원)120정십이면체 {5,3}
쌍대정육백포체 {3,3,5}
포함 관계
또는 다른 이름
도데카플렉스(dodecaplex) 또는 dodecahedral complex
하이퍼도데카헤드론(hyperdodecahedron)[2]

한 변의 길이가 [math]a[/math]인 정백이십포체가 있을 때

총 모서리 길이(total edge length) = [math]1200a[/math]
총 면적(total surface area) = [math]30\sqrt{25+10\sqrt{5}}a^2[/math]
겉부피(surcell volume) = [math]30(15+7\sqrt{5})a^3[/math]
초부피(bulk) = [math]\displaystyle\frac{15}{4}(105+47\sqrt{5})a^4[/math]

3 구조

120포체의 구조를 설명한 영상

정십이면체 열 개 한 묶음씩 하나의 링이라고 했을 때, 12개의 정십이면체 링[3]이 4차원 공간에서 서로 접혀져 만나는 구조이다.

6개의 링으로 된 전개도 2개가 서로 접혀져 정백이십포체를 이룰 때의 모습을 보면 전체적인 모습을 듀오프리즘처럼 생각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
  1. 사실 눈에 보이는 것은 2차원 화면이나, 그래픽상 3차원에 투영된 것이다.
  2. 초(超)정십이면체
  3. 3차원 평면상에 투영시켜 나타내다 보니 정십이면체 링이 마치 '외부'와 '내부'를 이루며 서로 얽혀있는 것처럼 보이나, 실제로는 모두 4차원 초구의 '외부'에 존재하며 겉껍질을 이루는 구조이다.
  4. 정백이십포체는 4차원의 서로 일정 간격으로 벌어진 120개 방향으로 대칭형이므로, 전체적인 모습은 사실 초구처럼 생각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