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발언

%EC%A0%95%EC%9D%8D%EB%B0%9C%EC%96%B8.jpg
본격 정읍시 유명해지는 발언.

1 개요

미군정기인 1946년 6월 3일, 이승만이 남한 각지를 순회하던 도중에 전라북도 정읍군에서 "남쪽만이라도 임시정부 혹은 위원회 같은 것을 조직할 것."이라는 내용의 발언을 한 것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이는 향후 이승만의 정치성향을 여실히 드러낸 발언이었다.

1945년 12월의 모스크바 3상회의에서 한반도 신탁통치안에 대한 오보가 전해지면서 찬탁과 반탁을 놓고 좌 · 우익세력이 크게 대립하였다(신탁통치 오보사건). 그리고 이듬해에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가 개최되었으나, 소련측의 주장은 '모스크바 3상회의 협정지지세력만 통일 임시정부에 참여할 자격을 주자'는 주장이었고, 미국측은 '모든 정치세력을 통일 임시정부에 참여할 자격을 주자'는 주장을 하여 서로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결렬되어 미소공위는 무기한 휴회되었다.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된 이후 이승만은 남한 각지를 순회하다가, 1946년 5월 20일 전남 목포에서 반공주의적인 발언을 하게 된다.

"공산주의자는 소련으로 보내야 한다. 가족의 일원이라도 거부하라. 공산주의자는 파괴주의자이므로 전부 체포할 것이다.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되면 남조선에 단독정부를 세워 38선을 깨트리고 소련군을 내어 쫓고 북조선을 차지할 것이다."

그리고 이어서 6월 3일, 전북 정읍에서 연설을 하게 되는데, 이는 향후 이승만이 극단적인 반공주의와 '단독정부 수립 운동' 등 자신의 정치성향을 분명히 드러낸다.

"이제 우리는 무기휴회된 공위가 재개될 기색도 보이지 않으며, 통일정부를 고대하나 여의케 되지 않으니 우리는 남방만이라도 임시정부 혹은 위원회 같은 것을 조직하여 38 이북에서 소련이 철퇴하도록 세계 공론에 호소하여야 될 것이다. 여러분도 결심하여야 될 것이다. 그리고, 민족 통일기관 설치에 대하여 지금까지 노력하여 왔으나 이번에는 우리 민족의 대표적 통일기관을 귀경한 후 즉시 설치하게 되었으니 각 지방에서도 중앙의 지시에 순응하여 조직적으로 활동하여 주기 바란다."

이승만의 이러한 주장은 그렇게 큰 인기를 끌지 못했고, 사회주의자들로부터는 '늙은 파시스트'라는 비난을 받았다.[1] 심지어는 미군정조차도 리치 군정장관 등이 "그건 그 사람 생각이고, 난 단독정부 반대다."라는 (의례적일지는 몰라도) 성명을 발표했으며, 이승만도 이 정읍발언 보도가 허위보도라며 한발 물러서기도 했다!

여하간 이 발언은 '단독정부'라는 개념을 한반도에서 최초로 공식석상에서 꺼내든 것은 이승만이 최초였고, 그 때문에 그는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역사에 한 장면을 남기게 되었다.

한국근현대사와 개편된 한국사, 한국사능력검정시험에서도 비중있게 다루고 있다. 조선건국준비위원회, 좌우합작운동, 김구의 방북(남북협상) 등과 함께 반드시 내용과 순서를 암기하고 있어야 한다. 다만 정읍 발언을 옹호하는 측에서는 심지어 이 발언이 중요하지 않다라고 보고 생략하려는 기도까지 하기도 한다(...)

2 논쟁

당시 이 발언에 상당한 비난이 뒤따랐지만, 정읍발언 자체가 그렇게 비난만 받을 내용만은 아니라는 주장도 있다. 신탁통치 떡밥 이후 1차 미소공위가 결렬되고 이미 북한 지역에서 소련의 지원을 받는 김일성의 단독지배체제가 공고해지고 있음이 분명한 상황에서 단정수립은 상당한 현실성을 가진 지적이었다는 것. 실제로 김일성은 해방 직후부터 소련의 지원하에 사실상의 단독 정부를 수립한 상태였고 45년을 기해서 토지, 여성정책 등에 대대적인 개혁을 실시하고 있었다. 당시 김일성은 남측과는 아무런 상의 없이, 국가 사상의 근간을 이루는 재산권 개혁에 손을 대어 토지의 무상몰수 무상분배[2]를 실시하면서 뻔뻔하게도 '장차 찾아올 통일정부의 민주개혁의 준비작업'이라는 핑계를 대었다. 봉건적 유습을 철폐한다는 구실로 이미 김일성은 북한의 사회 전반을 다 공산정부에 맞게 고치고 있었고 이는 곧 실질적인 분단의 시발점이나 다름없다.

다만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는 치안 및 행정을 담당하는 자치기구였으나, 주권을 가진 정부로 보기는 어려웠다. 반면, 이승만이 주장하는 단독정부 수립이란 당연히 주권을 가진 정부 수립을 말하는 것이었다.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가 수립되었을때 거의 동시기인 1946년 남한지역에서 미군정에서도 자문기관인 민주의원, 그리고 이후 입법의원이 만들어졌고, 1947년에는 안재홍이 민정장관에 취임했지만, 이를 '사실상의 정부'라고 말하는 이는 아무도 없다. '주권'이 없기 때문. 북조선임시인민위도 주요 사항에 대해서는 소련군 당국의 지시나 승인을 받았기 때문에 '주권'을 가지고 있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 시기에 물론 국제적 승인 같은 것은 아직 생각하기도 어려웠던 시기였다.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한 시점은 1947년 3월, 트루먼독트린을 전후로 시작했다.

즉, 분단은 남북이 이미 이 시점부터 제각각 다른 길로 가기 시작하고 있었다고 보는것이 맞다. 하지만 이런 입장을 가장 앞서서 드러낸 것이 이승만이었던 것도 사실. 좋게 말하면 시대의 흐름을 잘 읽은 것이고, 나쁘게 말하면 이를 활용해 자신의 정치적 영향력을 극대화한 것이다.
  1. 당시 민심이 어땠는지는 1945년에 작성된 미군정 보고서 기록에 자세히 나와 있다. 그 기록에 의하면 '미군정은 이승만김구를 지지했으나 민심은 최악 그자체였으며 매우 흉흉했었다.'고 적혀 있다.
  2. 사실 분배한 것도 아니다. 농민을 해당 토지에 예속시켰다는 것에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