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

1 교회 건축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까지 가톨릭에서 널리 보편화되어 있던 전통 제대 형태. 중세나 바로크 시대에는 제대 뒷면에 그림을 그리거나 조각을 한 배경(reredos)을 둬 시각적으로 모든 회중이 자연스럽게 제대를 향해 집중하게 했다. 또한 제대 위에 십자고상과 감실을 같이 두었다.

altar.jpg
정교회와 동방 가톨릭의 제대

"제대는 우리를 로고스(말씀)의 희생과 함께하며 참여하도록 돕는 한편 함께 모인 공동체 안으로 천국을 끌어들인다. … 하늘을 연 제대는 교회의 공간을 닫는 것이 아니라 영원한 전례로 열어준다."

-교황 베네딕토 16세

祭臺 / Altar

천주교, 정교회 등에서 미사, 성찬예배를 봉헌할 때 사용하는 탁자이다. 성당의 중심이며 예수 그리스도를 상징한다. 제대 위를 덮는 하얀 천은 제대포라고 하며, 제대포 위에는 십자고상, 촛대 등을 놓는다. 미사, 성찬예배를 봉헌할 때는 성찬용 빵과 포도주 그리고 미사 경본, 성찬예배서 등의 전례서도 함께 놓는다. 신자들은 제단 앞에 나아갈 때 제대가 상징하는 그리스도에 대한 흠숭의 표시로 제대에 머리나 허리를 숙여 절하거나 오른쪽 무릎을 꿇어 절한다.

제대의 형태나 자료에는 별로 규정이 없으나 건물 전체와의 관계, 미적 고려, 관습을 참작하되 그 문화권에서는 품위 있고 귀한 것으로 만들어야 하며, 너무 거추장스럽게 커서는 안된다. 제대는 고정 또는 이동용 일 수 있으며 주교 예식서의 규정대로 축성하는 것이 상례이나 이동 제대일 경우 축복만 해도 된다. 그리고 제대를 너무 편의 위주로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며,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면 안된다.

교회 초기 300여 년 동안은 주택 교회에서 교유한 식탁이 제대로 사용되었다. 사도 바오로가 언급한 것처럼 "주님의 식탁"(Mensa Domini)이라 불렸는데 아마도 귀족 집안에 있는 가구 가운데 흔히 볼 수 있는 다리가 3개로 된 그런 식탁들 중의 하나였을 것이다. 부제들은 적절한 순간에 그 식탁을 지정된 장소에 배치하여 그 위에 빵과 포도주를 올려놓았으며 주례자는 빵과 포도주를 축성하였다. 그러나 박해가 끝난 후에는 나무 제대는 사라지고 돌로 고정한 제대로 바꿨다. 그리스도교가 종교의 자유를 얻음으로써 박해의 위험이 사라지게 되어 옮겨다닐 필요가 없어졌으며, 또한 바실리카(Basilica) 건물도 처음부터 교회의 전례 집회를 위한 건물로 세워지게 됨으로써 회중의 중앙에 준비했던 나무 제대 대신에 바실리카의 토대를 쌓을 때 이미 제대를 돌로 만들게 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건물 전체의 중심이 그리스도를 상징하는 제대라 여겼기에 이제 제대는 그리스도의 영적 건물을 상징하는 돌로 쌓아올린 건축 양식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돌 제대를 가지는 관습은 곧 순교자들에 대한 의식과 연결되었다. 그래서 제대 위의 한 부분을 파고 그 안에 성인의 유해를 모셔 두거나 제대 안에 순서대로 모셔 놓은 값비싼 상자 안에 안치하기도 하였다.

1.1 개신교의 경우

개신교에는 성공회나 루터교회 빼고는 제대가 없다. 그대신 성찬상(Communion Table)이라는 게 있긴 하지만, 제대와 비교해봤을 때 형태나 배치 방법 등이 다르다. 일반적으로 '강대상'이라 불리우는 설교대 앞쪽이나 옆쪽에 놓으며 보통 그 위에는 성경책과 헌금접시(혹은 바구니), 성찬용 도구들을 올려놓는다.(예시) 영어권에서는 간혹 희생제사가 아닌 단순한 기념임을 강조하기 위해 (THIS DO) IN REMEMBRANCE ME라고 적어넣기도 한다. 대한민국의 경우 필요할 때에만 내놓는 경우가 많지만 미국과 유럽 교회들은 이걸 항상 두는 경우가 많다.

루터교회의 경우 제대라고 부르긴 하지만 교회에 따라서 천차만별이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 가톨릭처럼(!!!) 전통 제대 스타일인 경우도 있는가 하면 'Kanzelaltar'라고 해서 설교대와 합쳐진 형태의 제대도 있다.

성공회에서도 보통 제대라 부른다. 고교회파 성공회 성당 중에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 가톨릭처럼 전통 스타일의 제대를 꾸린 경우도 있고, 저교회파 교회를 중심으로 십자고상[1]과 촛불 정도만 간단하게 놓는 스타일의 제대를 꾸린 경우도 있다.

2 군대 용어

2.1 除隊

除隊 / discharge

군대(隊)에서 제외됨(除). 쉽게 말해 군 복무를 마치고 나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현역이 예비역으로 전역하거나, 상근예비역이 소집해제되었을 때를 의미한다.

대한민국 제대군인지원에 관한 법률에서 "제대군인"이란 병역법 또는 군인사법에 따라 군 복무를 마치고 전역(퇴역·면역(免役) 또는 상근예비역 소집해제를 포함)한 사람을 말한다. 엄밀히 말해 보충역 소집해제자는 여기에 포함되지 않지만, 관련 업무에서 이들도 여기에 준한다.

과거에는 전역과 같은 의미의 용어로 많이 쓰였지만 실제로 현재에는 (공식적으로는) 전역이라는 용어로 대체되었으며 최근에 군 복무를 마친 세대들은 대부분 전역이란 용어에 많이 익숙해졌지만, 과거 군 복무를 한 사람들 및 주변인들의 영향 때문에 제대라는 용어도 여전히 쓰이는 편이다. 그리고 제대라는 용어가 폭넓다.

이전 문서에서는 예비역을 마쳐야 제대라고 되어 있었지만 실역(=현역 복무)이 끝나는 것 자체가 제대이다.

2.2 梯隊

행사 등을 할 때 연병장 등에 배열한 사람들을 통틀어 가리키는 표현이다. 행사를 진행하는 사회자가 임석상관과 관련된 무슨 말을 하거나 그럴 때 제대를 지휘하는 사람들을 제대 지휘자라고 한다.

3 학교 이름

3.1 제주대학교의 약칭

제주도에서 통용되는 용어다. 제주대학교 문서 참조.

3.2 제국대학의 약칭

한국에서는 왜정 때 존속했던 경성제대를 일컬을 때 빼고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4 탯줄의 다른말

한자로는 臍帶라고 쓴다.
  1. 드물게 십자가 틀만 쓰는 경우도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