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차의 분리결합운용에 대해서는에 대해서는 병결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 3중련 총괄제어로 운행중인 벌링턴 노던 철도의 EMD GP50 디젤전기기관차
목차
설명
소련이 진화하면 이것이 된다
다음은 이거냐
sequence coupling
重連
중련
기관차를 두 대 이상 연결하여 차량을 운행하는 차량운용방식. 기관차에만 중련이라는 단어를 쓴다. 동차 등 비기관차계열 열차에는 '병결'(倂結)이라고 쓴다. 단, 병결은 모든 종류의 열차결합에 쓸 수 있으므로 기관차의 연결도 병결이라고 볼 수 있다. 국어사전 '중련'과 '병결'부분을 참고.
기관차를 2대 이상 붙인 경우는 중련이라 하고 2대 이상 붙이되 점퍼핀으로 기관차들이 연결되어 있다면 총괄제어라고 할 수 있다. 판타 올라가 있어도 점퍼핀이 안끼워졌으면 그냥 중련이다. 더 자세한 내용은 링크 참조
기관차가 많으면 그만큼 견인할 수 있는 객차 수도 많다. 일례로, 디젤 기관차 1대 가지고 서울-부산 무궁화를 견인한다면 아무리 많아도 9량 이상은 버겁다 (발전차 1량 별도). 반대로 중련을 하면 산술적으로는 17~18량(!)까지도 가능하다. 물론 KTX 개통 이후 그만큼 다량의 객차 견인을 할 필요가 없어지긴 했지만. 실제로 KTX 개통 이전에는 전국의 웬만한 간선에선 기관차 중련운행이 대세였다. 경부선 서울-부산 간 무궁화호의 경우 디젤 기관차 2대에 발전차 1량과 객차 11량을 연결하여 운행하였고, 8000호대를 중련으로 연결해서 10량에 가까운 통일호를 끄는 차력쇼는 예사였으며, 심지어는 서울-마산 같은 비인기 노선마저 일 1회 중련운행이 있었다. 하지만 KTX 개통 이후로 무궁화호의 수요가 줄면서 라고 쓰고 코레일이 KTX에 올인해서라고 읽는다 정규 기관차 중련 운행은 더 이상 못 보게 되었다. 간혹가다가 원래 정규 편성된 기관차가 고장이 나서 퍼질 경우 구원운행에 의한 중련운행이 있긴 하다.
과거에 운행하던 청량리 - 구절리/철암 객차형 복합열차는 총괄제어를 하지 않았는데, 어쨌든 탑승공간을 분리하지 않으면 난 누군가 또 여긴 어딘가 할 수 있으므로 객차의 분리되는 부분에 발전차만 하나 집어넣고 분리 후 기관차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운행했다. 그래도 타라는 호차에 안 타고 엉뚱한 데 탔다가 증산역에서 분리할 때 돌아올 수 없는 길을 가는 사람들이 많았다고.
증기기관차도 중련운행이 가능하다. 다만 이쪽은 총괄제어 따위가 없으므로 각 차량에 승차한 기관사의 경험과 감, 그리고 수신호에 전적으로 의존하여 운행한다고.
한국에서는 3중련 이상은 불가능하지만, 신대륙의 화물철도는 크고 아름다운 편성의 특성상 중련연결에 특화된 괴물 기관차를 많이 운영하고 있다. 중련 총괄제어 시 한 대를 제외한 나머지 기관차에는 직원이 탑승할 필요가 없으니 운전실을 없애버린 중련 전용 기관차(cabless hood unit)를 신조해서 운행한다.
바로 이런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