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지휘관의 직책 | ||
치안센터장 | 파출소장 | 지구대장 |
경찰서장 | 지방경찰청장 | 경찰청장 |
1 개요
경찰법 제14조(지방경찰청장) ① 지방경찰청에 지방경찰청장을 두며, 지방경찰청장은 치안정감·치안감(治安監) 또는 경무관(警務官)으로 보한다. ② 지방경찰청장은 경찰청장의 지휘·감독을 받아 관할구역의 국가경찰사무를 관장하고 소속 공무원 및 소속 국가경찰기관의 장을 지휘·감독한다. |
지방경찰청의 으뜸은 경찰 지휘관을 말한다. 지방경찰청은 광역자치단체를 기준[1]으로 있으며 세종특별자치시는 제외이다.[2] 그에 따라 지방경찰청장의 숫자는 17명이다. 보임되는 경찰의 계급은 치안정감이나 치안감이다.
2 치안정감이 보임되는 지방경찰청장
- 서울지방경찰청: 이상원 치안정감(경찰간부후보생 30기)[3]
- 경기남부지방경찰청: 정용선 치안정감(경찰대학 3기)[4]
- 인천지방경찰청: 윤종기 치안정감(경위특채)[5]
- 부산지방경찰청: 권기선 치안정감(경찰대학 2기)[6]
3 치안감이 보임되는 지방경찰청장
- 경기북부지방경찰청: 서범수 치안감(행정고시)[7]
- 강원지방경찰청: 정해룡 치안감(경찰간부후보생 31기)[8]
- 대전지방경찰청: 김귀찬 치안감(사법시험 33회)[9]
- 충북지방경찰청: 윤철규 치안감(경찰간부후보생 33기)[10]
- 충남지방경찰청: 김양제 치안감(경찰간부후보생 33기)[11]
- 대구지방경찰청: 이상식 치안감(경찰대학 5기)[12]
- 울산지방경찰청: 서범수 치안감(행정고시 33회)[13]
- 경북지방경찰청: 김치원 치안감(경찰대학 1기)[14]
- 경남지방경찰청: 조현배 치안감(경찰간부후보생 35기)[15]
- 광주지방경찰청: 최종헌 치안감(사법시험 33회)[16]
- 전북지방경찰청: 홍성삼 치안감(경찰대학 3기)[17]
- 전남지방경찰청: 백승호 치안감(사법시험 33회)[18]
- 제주지방경찰청: 이승철 치안감(경찰대학 2기)[19]
- 이동 ↑ 관할범위과 인구수따라 복수의 경찰청을 둘수 있게 법률이 제정되었다.
- 이동 ↑ 충남지방경찰청의 관할이다.
- 이동 ↑ 1982년 임관자.
- 이동 ↑ 1987년 임관자. 전 경찰청 수사국장.
- 이동 ↑ 과거에 군 대위 전역자를 경위로 특채하던 제도이다. 유신사무관과 비슷한 제도.
유신사무관은 사무관인데 왜 이건 경정이 아닐까 - 이동 ↑ 1986년 임관자. 강신명 경찰청장과 동기이다.
- 이동 ↑ 기존 경기경찰 2청을 맡고 있다 개청과 함께 전보 발령.
- 이동 ↑ 1983년 임관자.
- 이동 ↑ 사시 33회는 1991년에 치뤄졌다.
- 이동 ↑ 1985년 임관자.
- 이동 ↑ 1985년 임관자.
- 이동 ↑ 1989년 임관자.
- 이동 ↑ 행시 33회는 1989년 12월에 결과 발표가 났으므로 임관은 1990년 이후로 추정.
- 이동 ↑ 1985년 임관자.
- 이동 ↑ 1987년 임관자.
- 이동 ↑ 사시 33회는 1991년. 최종헌 치안감은 1994년에 경정특채.
- 이동 ↑ 1987년 임관자. 그후 행시 33회에 합격했다.
- 이동 ↑ 사시 33회는 1991년에 치뤄졌다.
- 이동 ↑ 1986년 임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