짜장

1 짜장면의 소스인 '짜장'

춘장 참조. 종종 짜장면의 준말로도 쓰인다.

만드는 법
  • 주재료 : 춘장, 호박, 양배추, 일정량의 돼지고기 혹은 소고기 혹은 버섯류[1], 양파, 호박, 감자, 돼지 비계(라드)
  • 부재료 : 오징어, 새우, 전복, 해삼, 목이버섯[2]
  • 취향에 따른 추가 재료 : 고추기름, 땡초, 각종 산해진미

1. 춘장을 기름[3]에 튀기듯 볶는다. 이 때 볶는 춘장의 양보다 기름의 양이 좀 더 많아야 중국집의 그 맛이 난다.
1. 볶아낸 춘장을 그릇에 덜어놓고, 고기를 팬에 볶는다 이 때 특유의 불맛을 원한다면 웍일 경우 사용하는 기름, 예를 들어 고추기름 또는 식용유를 충분히 둘러준 뒤 웍을 돌려가면서 재료를 튕겨주며 불에 구워내면 된다. 다만, 가정집일 경우 후라이팬에 볶으면서 웍처럼 재료를 튕겨가면서 볶는 대신에 토치를 이용한 그을림을 주거나, 고량주나 바카디 151같은 높은 도수의 주류로 불을 당겨주면 중국집 불맛에 가까운 맛을 낼 수 있다.
1. 고기가 어느정도 익었으면 채썰어놓은 야채를 웍 혹은 후라이팬에 투입하여 볶아낸다. 만약 그윽한 불맛을 원한다면 위에서 한 방법대로 다시 돌려가며 볶는다.
1. 이제 볶아놓은 춘장과 재료들을 다시 섞어가며 볶아낸다. 간짜장을 원할경우 이 때 설탕, 미원[4], 소금으로 자신의 입맛에 맞게 조율하여 요리를 완성하고, 중국집의 일반 짜장소스를 원할 경우 5번으로 직행하면 된다.
1. 이제 볶은 재료에 물[5]을 투입한다. 이때 물은 재료의 1.5배에서 2배가 적당하나, 양을 늘리고 싶으면 물을 더 투입하여도 무방하다.
1. 재료와 육수를 넣고 끓이면서 녹말[6]을 물에 1:1정도로 녹여서 투입한다.
1. 제 맛이 안날경우 미원, 소금, 설탕으로 밸런스를 맞춘다.

여기서 미원이 빠지게 될 경우 중국집의 맛을 살려내지 못하는 슬픈 현실을 알 수 있다. 안 넣은 짜장을 먹어보면 쓴 맛도 은은히 풍겨오는 희대의 괴식이 된다.

2 '과연, 정말로'라는 뜻을 가진 한국어부사

순 우리말이며 원래는 강원도방언이었으나 표준어로 인정된 상태.

그런데도 미처 못 자랐다니까 이 는 언제야 자라는 겐지 짜장 영문 모른다. - 봄봄 (김유정 作)

이 내용은 스펀지고등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에도 나왔다.

레알을 이 단어로 대체하면 좋을 듯하다고는 하지만 늘 그랬듯이 각종 조롱거리 및 웃음거리로 전락해버렸다. 처음에는 조롱이었으나 경과를 보면 은근히 레알을 대체하고 있는...줄 알았지만 다시 묻혔다. 그럼 그렇지 위와 같이 잠깐 숙어화되고 있는 사례도 있긴 했지만 결국 극소수인듯. 그 전에 이런 거 있었는지도 모르는 사람도 많다.

그나마 SK 와이번스투수 윤희상의 별명으로 명맥을 유지하고는 있지만 1번 항목이 아닌 짜장은 보통 4번 항목을 가리킨다.

3 짜증은어

인터넷 등지에서 '짜증'이라는 단어를 에둘러 표현할 때 사용한다. 해당 단어가 비속어가 아님에도 굳이 돌려서 쓰는 이유는 이렇게 쓰면 보다 완곡한 표현으로 느껴지기 때문인듯. 높은 확률로 이응체 사용자가 구사한다.

4 중국 혹은 중국인을 얕잡아 부르는 말

보통 중국이고 대만이고 싸잡아서 짜장이라고 하지만 특별히 구분할 때는 대만 사람들을 섬짱깨라고 한다.

따지고 보면 짜장면은 중국에서 건너와 현지화된 한국식 음식이므로 이렇게 부르는 것은 옪지 않다.

관련 항목 : 짱깨

5 리그 오브 레전드의 챔피언 신 짜오의 별명

머리부터 발끝까지 중국색이 팍팍 드러나는 오리지날 중국인 캐릭터인지라 4번 항목대로 불린다. 통칭 신짜장, 신짱깨. 짜오의 갱킹은 짜장배달이라고 한다
  1. 스님짜장은 고기가 안들어간다.
  2. 생략하면 짜장이 되고, 포함하면 삼선 짜장이 된다.
  3. 돼지비계에서 뽑아낸 기름, 그러니까 라드를 쓰면 맛이 좋다.
  4. 빠질 경우 중국집의 그 맛이 안 난다!
  5. 육수를 넣으면 맛이 좋다. 그리고 중국집의 맛을 원할경우 치킨 스톡을 희석한 육수를 넣으면 비슷하다.
  6. 옥수수 녹말을 사용하는 것이 중국집 짜장의 맛에 근접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