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밥

  • 상위 문서 :

1 개요

그냥 내버려둬서 차게 식은 .

따끈따끈할 때 머금고 있던 수분이 날아가 밥알이 굳어서 맛이 상당히 떨어진다. 이때문에 대개 선호하지 않는 경향이 있으며, 이를 빗대어 별로 좋지 못한 대접을 받는 것을 '찬밥 취급',또는 '찬밥 신세'라고 부르기도 한다.
굳은 밥은? 굳밥

2 상세

밥이라는 음식은 본래 여름엔 금방 쉬고 겨울에는 습도가 낮은 관계로 표면이 말라 붙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때문에 보온밥솥 등의 도구가 없던 시절에는 밥맛을 유지하면서 온전히 보관할 방법이 없어 끼니마다 밥을 지어 먹었는데, 이런 풍토상 찬밥은 전 끼니에 남은 밥이다보니 맛도 맛이려니와 신선도 및 인식도 떨어질 수 밖에 없었다. 일례로 손님에게 찬밥을 주는 것은 대단한 푸대접으로 여겨졌으며 이런저런 이유로 활용성이 떨어지는 바 찬밥이 나오지 않게 밥량 조절을 잘 하는 것도 옛시절 부인들의 덕목이었다.

하지만 맛부분에 있어서는 어디까지나 개인차도 있어서 찬밥을 선호하는 사람들도 얼마든지 있다. 이런 이들은 오히려 뜨거운 밥을 먹는 걸 싫어한다. 특히 보통 밥보다 찰기가 덜한 편[1]인 찬밥이 맛을 내기 좋은 요리도 여러가지 있다. 물론 맛보다 그냥 빨리 먹을 수 있다는 편리성 때문에 좋아하는 사람들도 많다. 단지 이 경우에는 찬밥보다 그냥 온도가 낮은 밥을 좋아한다고 보는 게 맞을 듯.

보온밥솥이 보급된 이후에는 밥을 장기간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어 찬밥이 생기는 경우는 꽤 드물어졌다. 찬양하라 기술의 파워. 그러나 보온밥솥에 밥을 오래 보관하면 밥이 삭거나 색이 변해서 맛이 없어지니 주의할 것. 이론상으로는 일주일 가까이(150시간 가량) 보온밥솥에 보존했다가 먹어도 건강에 지장은 없지만, 4~50시간만 보온 상태로 있어도 밥의 맛과 향이 현저히 떨어진다. 귀찮아도 밥은 2~3끼 분량씩 꼬박꼬박 하는 것이 좋다(...).

보온밥솥이 없거나 지나치게 장기간 나눠먹을 경우에는 갓 지어 따끈한 밥을 랩으로 싸서 일정분량씩 나눠 냉동실에 넣어두고 먹을 때마다 전자렌지에 돌려 먹으면 맛도 그리 떨어지지 않고 먹을 만 하다.

같은 양이라도 갓 지은 밥보다 찬밥을 먹었을 때 혈당 상승량이 낮다. 소장에서 분해가 잘 되는 따뜻한 상태에서 분해가 힘든 차가운 상태로 되돌아갔기 때문이다. 이 것은 약 30년전에 이미 과학적으로 인정받은 내용. 그런데 찬밥을 재가열한 밥은 혈당 상승량이 찬밥보다 더 낮다고 한다. 이 현상의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과학적으로 밝혀진 것이 없다고 한다.

위의 원리를 이용한 찬밥 다이어트도 대두 되고 있다 [1]

3 용례

  • 찬밥을 데우고 싶다면 큰 그릇에 물을 적당히 넣은 다음 찬밥을 담은 그릇을 중탕시킨후 비닐로 싸서 전자레인지로 대략 1분정도 돌리면 된다. 참고 링크
  • 라면 국물에 말아먹을 때는 뜨거운 밥보다 환영받는다. 밥이 국물 온도를 낮춰 먹기도 쉬워지고 또한 밥의 수분이 날아가 건조해지면서 밥알 표면에 자잘한 균열이 생겨 국물 맛이 더 깊이 밴다는 듯. 이를 공략하기 위함인지 틈새라면 지점 중에도 찬밥 메뉴가 있다.
  • 볶음밥을 만들 때도 고슬고슬한 찰기 없는 밥을 조달할 수 없을 때 찬밥을 대신 쓴다. 특히 식당이 아닌 집에서 해 먹을 때는 대부분 이쪽을 베이스로 삼을 수밖에.
  • 무더운 삼복더위에 입맛이 없다면 찬밥에 을 말아서 먹는 것도 한 방법. 물에 말아 김치와 함께 먹는다던가, 고추를 손에 쥐고 한 숟갈 고추 한 입 베어먹는 그 맛은 시원하면서도 매운맛이 있어 입맛을 돋운다. 이외에도 김과 간장만의 간단한 조합으로 즐기는 경우도 있으며 이러한 밥상에선 찬밥이 밥의 냄새가 적기 때문에 더욱 선호하는 사람도 많다.

4 기타

  • 관련 속담으로 굉장히 급하거나 조건을 따질 때가 아님을 의미하는 찬 밥 더운 밥 가릴때가 아니다.가 유명하다.
  • 야구 선수 박한이의 별명이기도 하다. 실력은 좋지만 감독에게 찬밥.그치만 하도 킁킁킁하거나 타격준비 버퍼링 때문에 지금은 봉인...
  • 전통명절 한식에는 찬밥과 찬 음식을 먹는 풍습이 있다.
  1. 우리나라 벼의 특성상 그렇다는 것이며, 태국이나 베트남 등지의 안남미는 처음부터 찰기가 거의 없으므로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