츠지모토 켄조

96f01b14.jpg

1 개요

辻本憲三. 일본의 사업가. 1940년 12월 15일 출생.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 북부에 위치한 대규모 와인 생산지 나파 밸리에서 켄조 에스테이트(Kenzo Estate)라는 와이너리를 운영하고 있다.# 켄조 에스테이트는 소믈리에들로부터 캘리포니아 와인답지 않은 농후한 향기와 풍부한 맛을 갖추고 있다고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그리고 부업으로 캡콤이라는 게임 회사를 운영하고 있다.

가족사항은 장남으로 츠지모토 하루히로(캡콤 사장), 삼남인 츠지모토 료조(편성실 프로듀서)가 있다.

2 자수성가

2010년 8월 2일 TV도쿄에서 방영된 종합토크쇼 '닛케이 스페셜 캄브리아 궁전'의 게스트 코너인 무라카미 류의 경제 토크라이브에 출연해 밝힌 자신의 성공담은 다음과 같다. 나라현 빈농의 아들로 태어나 나라 현립 고등학교 졸업 후 1963년, 23세의 젊은 나이로 자신의 이름을 딴 잡화점을 창업한다. 상호명은 츠지모토 상점. 그가 게임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도 이 무렵으로 그 당시 유행하기 시작한 파칭코 기계에 손님이 모여 있는 것을 봐 게임이 향후 성장할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1974년에는 아이렘을 창사. 스페이스 인베이더로 유명한 타이토에서 라이센스를 받아 변종 인베이더 게임을 출시한다. 그러나 다른 투자자들과의 불화로 아이렘을 퇴사하고 1983년에 캡콤을 창사하고 대표이사로 취임한다. 그리고 2001년에는 대표이사직을 유지하면서 CEO로 취임, 실질적인 경영에도 관여하기 시작한다. 스토어의 재고까지 보면서 의사결정을 하며, 8월엔 기후가 상대적으로 서늘한 나파벨리에서 화상을 이용해 수시로 회의를 하는 정도. [1] 그와 함께 나파 밸리에 와이너리를 건설하면서 본격적으로 와이너리 사업에 뛰어든다.

3 결실을 맺기까지

미국인이 아닌 일본인으로 나파밸리의 와이너리 사업에 뛰어드는 인물은 켄조가 최초였기 때문에 미국 와인업계에서는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고 점쳤다. 주변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켄조는 나파 밸리[2]에 소재한 자신의 별장과 승마장을 철거하고 토지를 추가 매입해 포도농장과 양조시설을 세웠다. 그리고 15년 동안 은행융자 없이 개인돈으로 백억엔에 달하는 거금을 쏟아부어 마침내 2011년에는 자신의 이름을 딴 와이너리 켄조 에스테이트(Kenzo Estate)를 열고 와인을 출시하기에 이른다. 켄조의 와인은 출시되자 마자 호평을 받고 고급 레스토랑마다 주문이 쇄도, 샌프란시스코 부유층으로부터도 높은 호응을 얻는다. 켄조 에스테이트 관련한 공식석상에는 노구를 아끼지 않고 직접 나와 홍보하는 놀라운 열정을 보이고 있다. 그 때문에 구글에서 辻本憲三로 사진을 검색해보면 대부분 그가 직접 와인과 함께 찍은 사진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그러나 부업인 게임회사 캡콤은 경영에서 조금씩 물러나고 있기때문에 캡콤의 공식석상에서 노출한 모습이 적다. 부업이니까 완전히 말아먹었으니 그냥 포기해도 된다고 생각하는 듯.

정말 와인을 너무너무 사랑하는 사람이다. 와인만큼은 이해타산적으로 생각하지 않으며 조예도 깊어서 1976년 파리의 심판사건 이후 캘리포니아 와인에 줄곧 연구와 관심을 쏟아왔다고 한다. 10여년동안 1만여병을 마시며 본인이 만든 와인과 비교를 했다고. 와인의 이름을 짓는데도 2년 가까이 고민했다고 한다. # 게임을 그렇게 신경써봐라

근데 2014년 캘리포니아 강진으로 인해 켄조 와인 시설의 대부분이 박살났다는 소문이 돌았으나 지진 사태 후 아깝게도 하루만에 언론을 통하여 '다행히도 우리 사업체는 지진으로부터 무사했다'고 발표했다.

4 비판

파일:Attachment/a0091342 4ccd964559a3f.jpg

소탐대실 지금 회사꼴을 보면 한숨이 나온다

부업으로 게임회사 하는거냐는 비판을 받을 정도로 캡콤관련 운영 방침이 막장이다.

위의 내용같이 부동산 투자가 본업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게임사업을 밀어부치기 식으로 운영한다. 이나후네 케이지의 항목에 있는 무슨 판단이냐. 돈을 시궁창에 버릴 셈이냐.가 바로 이런 경영방식에서 나온 명대사(...)라 할 수 있다.

이런 방식이 시장에 먹힌다면 유능한 개발자를 발굴할 수 있음은 물론, 회사에서도 낮은 임금[3]으로 고수익을 낼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저렇게 키워둔 개발자들이 떠났을 때좋은 게임이 나올 수 있는 확률이 어떻게 될지 아무도 모르는 것이다. 캡콤은 운이 좋아서 이런 방식이 먹힐 수 있었다라는 것 밖에 설명이 되지 않는다.

물론 캡콤이 좋은 게임을 만들어 낼 수 있었던건 단순히 운이 아닌 여러번의 실험과 시도를 거쳤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위와 같은 선택이 아예 손해라고만 볼 수 없고, 실제로 몬스터 헌터의 원동력이 되었던 것도 사실이다. 물론 그 시도의 결과물들을 직접 구르며 배우고 응용했던 개발자가 사라진다면 말짱 도루묵이지만. 그 결과는 지금 캡콤의 꼴이 말해주고 있다. 록맨 시리즈이나후네 케이지, 데빌 메이 크라이카미야 히데키, 바이오 하자드미카미 신지, 몬스터 헌터 시리즈후나미즈 노리타카오랜 세월 캡콤을 빛내준 장인들이 떠나버렸다.

물론 이들이 떠난 이후 몇몇 리부트 작품이 어느정도 먹히긴 했지만 새로운 컨텐츠는 뽑지 못하고 있고, 회사는 가면 갈 수록 침체기이며 오노 요시노리같이 남은 베테랑 마저 캡콤을 디스하거나 불신감이 심한 상황이기 때문에 자칫하면 앞길이 캄캄하다.

즉, 와인 농장 경영자로서의 그는 성공할 수 있는 사람일지는 몰라도, 게임계의 경영자로서는 0점에 가까운 사람이라는 것. 아직까지는 캡콤이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몬스터 헌터 시리즈, 바이오하자드 시리즈 등 인기 프랜차이즈를 많이 보유하고 있긴 하지만, 아들을 제외한 나머지 몬헌 프로듀서나 오노 요시노리같은 남은 개발자들마저 퇴사한다면 저런 경영방식이 지금도 먹힐까에 관한 고찰을 해봐야한다. 어차피 와인농사나 하겠지만

5 기타

  • 본 항목은 자신이 대표이사로 있는 캡콤에 대한 내용은 매우 부실하다. 부업이라 그런듯
  1. 2000년대 돌입하면서 캡콤이 어떻게 변해갔는지 생각해보자.
  2. 캘리포니아 주의 대표적인 와인 생산지. 미국에서 생산되는 와인의 30%는 여기서 나온다.
  3. 당연하겠지만, 게임 관련 직종은 거의 이름값, 경력값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