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0px
수원 ↔ 광주 노선의 현대 에어로버스 차량. 앞부분의 현대자동차 로고를 떼어 버리고 코오롱의 마크 또는 "코오롱고속"이라고 쓰여진 글귀를 넣은 것이 유명하다.
1 개요
코오롱고속은 과거에 존재하였던 고속버스 회사 중의 하나다. 그 전신은 1970년 4월에 설립된 유신고속관광으로, 1977년 1월에 코오롱그룹이 유신고속관광을 인수하여 동년 7월에 코오롱고속으로 사명을 변경하였고, 1988년에 코오롱그룹에서 분리되어(코오롱TNS) 방계 회사가 되었다.[1] 2005년 금호고속에 인수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2 역사
추가바람.
3 보유했던 차량
고속부는 100% 현대차량만 보유했고, 전세부에 일부 그랜버드가 있었다. 또한 고속부 우등고속 차량 중에는 현대 Aero Space LS 우등고속도 4대가 있었다.[2] 전량 현대차량이였지만, 특이하게도 하이클래스는 단 한 대도 없었다.[3] 마지막으로 출고한 차량은 2004년식 Aero Queen 우등고속 4대.
참고로 메이저 고속버스 회사 최후로 1995년식 Aero Queen(일명 각퀸) 모델을 제일 늦게까지 운행한 회사이기도 했다. Aero Queen 1세대 모델은 중부고속에 대전-수원 노선 인수 과정에서 넘어온 차량이었는데, 얼마 못 가 대차되었다. 대구 ↔ 경주 노선에도 각퀸들이 많이 다녔다.
특이하게도 차량들 모두에다가 앞부분의 현대자동차 로고 코를 떼어 버리고 거기다가 코오롱 마크 또는 "코오롱고속"이라고 쓰여진 글귀를 넣은 것으로 유명하다.[4] 이런 것과 비슷한 코떼기 또는 코붙이기를 현재는 칼 리무진이 하고 있다.
4 운행했던 노선
회사 규모가 그다지 큰 편이 아니여서 운행하던 노선도 많지 않았으며, 단독배차 노선도 적었다. 그럼에도 옛 안성고속버스터미널을 자가직영 터미널로 운영했고, 신차투입 1순위가 서울 ↔ 울산 노선일 정도로 울산 노선에 꽤 공을 들였다.[5] 서울에서는 한일고속처럼 경부축만 들어갔고, 서울발 호남 노선은 동서울/상봉을 포함해도 아예 없었다. 그리고 수원 구 시외버스터미널[6] 부근에도 버스 터미널 치고 좁기는 했지만 전용 터미널이 있었다. 이곳은 유신고속 시절부터 사용하던 곳이고, 2016년 현재 하모니마트가 들어서 있다.
의정부버스터미널에서도 꽤 지분을 차지했던 회사였으나 금호고속에 넘어간 이후에는 나중에 금호고속이 인수한 의정부 ↔ 부산 노선을 포함하여 의정부의 고속버스는 사실상 금호고속이 장악하고 있다.
현재도 금호고속이 시행 중인 안성행 명절연휴 독점배차 분담을 했다.
서울발:안성,평택,대전,금산,대구,울산,부산
수원발:대전(단독노선이었다가 2005년 중부고속에 매각),광주,목포
동서울발:대전,대구
성남발:부산
대전발:천안,대구,부산,상봉
대구발:의정부(단독노선),경주
광주발:의정부- ↑ 그래서 완전 남남은 아니었기에 금호고속에 인수되기 전까지 차량에 코오롱그룹의 로고가 붙어있었다.
- ↑ 이 때문에 당시의 버스 애호가들은 코오롱고속이 LS 우등고속을 출고하자 '나이롱고속'이라는 불명예스런 별명을 지었다는 이야기가 있었다.
- ↑ 대신 금호고속에서 차출된 2003년식 하이클래스는 운행한 적이 있었다. 희안하게도 금호고속 도색에 코오롱고속 폰트만 붙인 차량이었다. 이것을 당시의 버스 애호가들은 '금오롱'이라고 불렀다.
- ↑ 예외가 있다면 각에어로 모델 중 헤드램프가 에어로 600과 비슷한 모델(1986년에서 1990년 사이 생산한 에어로버스 한정.)은 가운데에 글귀를 적을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어 그 공간에다가 회사명을 표기했다. 1991년 페이스리프트 모델에서는 가운데에 글귀를 적을 수 있는 공간이 사라졌다.
- ↑ 서울 ↔ 울산 노선에 금호고속이 압도적으로 많은 이유가 코오롱의 배차분을 모두 흡수했기 때문이다.
- ↑ 수원 시외버스터미널이 거의 수원시 남쪽 끝으로 이전한 다음 지어진 팅스 쇼핑몰 자리가 바로 거기다. 항목 참조. 나무위키에 등재된 수원시 소재 폐건물 두 군데 중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