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 회사


1 개요

말 그대로 버스사업을 하는 회사이다. 관련 법규상에서는 "여객자동차운수업체"가 된다.

버스 운행을 하기 위해서는 일단 지방자치단체에서 발급한 면허가 필요한데, 이것부터가 쉽지 않다. 도로정체, 대기오염, 보조금 부담[1] 등의 이유로 면허 발급 자체를 쉽게 내주지 않는다. 만약 해당 지자체에서 준공영제를 시행중이라면 새로 면허를 발급해줄 가능성은 0에 수렴한다.(...)[2] 지자체에서 허가를 내준다고 해도 기존 버스업체에서 기득권을 이유로 노선 인허가를 방해하기도 한다.[3] 게다가 차고지, 사무실, 주유시설 등 각종 시설을 설치하고 버스를 구입하는데 드는 비용이 상당히 크며, 인건비 부담도 다른 사업에 비해 크다. 아무나 하는 사업이 아니라는 것. 때문에 현재는 새로 생기는 버스 회사는 그다지 많지 않으며, 새로 생기는 회사도 기존 버스회사에서 신설/분리된 회사가 많다. 다만 신규택지지구라면 마을버스회사를 세우는건 비교적 쉬운 편이다.

버스요금은 운송원가 이하로 책정되는 경우가 대다수인데다 인건비나 차량구입/유지비가 워낙 많이 들다보니 지자체에서 지급하는 보조금이 굉장히 많다. 연료보조금, 노선운행손실보조금 등 각종 명목하에 지급되는 보조금이 억단위가 넘어가서 아무리 버스를 운행해서 손실이 나더라도 보조금만으로도 어느 정도 적자를 메꿀 수 있다. 하지만 경영활동이라는게 이런 저런 변수가 많다보니 망하는 버스회사들이 수두룩하다. 심지어 준공영제를 실시하는 서울에서도 경영문제로 용림교통이 파산한 사례가 있다.

버스사업만 하는 회사는 마을버스회사가 아닌 이상 드물고 보통 전세버스, 터미널사업 등 다른 사업을 같이 하는 편이다. 고속버스 회사는 좀 특이한데, 금호고속금호아시아나그룹의 시초이며, 중앙고속은 재향군인회에서 수익을 내기 위해 만든 회사이다.

미국이나 유럽으로 나가면, 버스 영업을 민간부문이 아닌 공공부문에서 맡아버리는 경우가 많다. 위에서도 보조금 이야기가 나왔지만 많은 경우 수익성이 떨어지기 때문이기도 하고...

국내에 있는 버스회사는 대부분 고속, 교통, 버스, 상운, 여객, 운수로 끝난다. 예외로는 서울 주간선업체인 다모아자동차, 서울교통네트웍, 한국BRT, 일반버스회사 신흥기업, 서울승합, 대구의 신진자동차, 광남자동차 경주 새천년미소, 강릉 동해상사. 강원흥업, 충주 삼화버스공사 등이 있다.[4] 특히 부산의 경우 4개 업체를 제외한 모든 업체가 '여객'으로 끝나는 반면 대구는 상대적으로 '교통'으로 끝나는 업체가 많다. 김해의 가야IBS는 IBS라는 생소한 단어가 붙는다.가야입스 성남의 성남시내버스나 광주의 라정시내버스(구 대광시내버스)는 아예 '시내버스'라는 말이 붙는다. 을로운수의 예전 사명인 삼양시내버스도 마찬가지.

시내버스 회사가 가장 많은 지역은 서울, 인천, 부산, 대구 순이다.[5] 참고로 대구의 경우 1990년대까지만 해도 30개가 넘는 회사가 있었다.[6] 부산의 경우도 1990년대 초까지 50개가 넘는 회사가 있었다.

현재 나무위키에 서울, 강원, 대전, 세종, 부산, 대구, 경북, 광주의 모든 시내버스 회사의 문서가 작성되어 있다. 세종시는 단독업체인데??? 그러니깐 모두 있는거지 마을버스 회사는 수원이 최초[7]로 모든 마을버스 회사의 문서가 작성되었다.

2 버스 회사 목록

2.1 한국

2.1.1 고속버스 회사(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회원사)

2.1.2 시외버스 회사

2.1.3 시내버스(좌석버스 포함), 농어촌버스 회사

2.1.3.1 서울
2.1.3.2 경기
2.1.3.3 인천
2.1.3.4 강원
2.1.3.5 대전
2.1.3.6 세종
2.1.3.7 충북
2.1.3.8 충남
2.1.3.9 부산
2.1.3.10 대구
2.1.3.11 울산
2.1.3.12 경북
2.1.3.13 경남
2.1.3.14 광주
2.1.3.15 전북
2.1.3.16 전남
2.1.3.17 제주

2.1.4 마을버스 회사

2.1.4.1 서울
2.1.4.2 경기도

※ 동두천, 포천, 광주, 이천, 여주, 안산 및 군 지역(연천, 가평, 양평)은 마을버스 업체가 존재하지 않는다.

2.1.4.3 강원도
  • 조교마을버스
  • 횡성군마을버스
  • 고양산마을버스
  • 노추산마을버스
  • 운치마을버스
  • 그림바우마을버스

추가바람.

2.1.4.4 충청도

추가바람.

2.1.4.5 경상도

추가바람.

2.1.4.6 전라도

추가바람.

2.1.5 공항버스 회사

여기서는 순수한 한정면허 리무진버스 면허를 보유한 업체만 서술한다.

2.1.6 전세버스 회사

추가바람.

2.1.7 기타

추가바람.

2.1.8 대형 버스회사그룹

어떤 버스회사들은 적극적으로 사세를 확장함으로써 시외와 시내 전반에 걸쳐 여러 개의 버스회사를 거느린 경우가 있다. 또한 시외버스회사의 계열사로 시내버스회사를 거느리는 등 시외와 시내에 걸쳐 운영을 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 중 버스를 통한 운송사업에 집중하여 수 개의 버스회사를 거느린 기업집단은 아래와 같다.

  • KD그룹 : 수도권에서 총 14개의 버스회사(2개는 시외버스)를 운영중이다.
  • 금아버스그룹 : 2개의 시외버스 회사와 2개의 시내버스 회사를 운영중이다.
  • 선진네트웍스 : 수도권과 대전, 전북에서 2개의 시외버스 회사와 18개의 시내버스 회사를 운영중이다.
  • 태영버스 : 부산권역의 도시에서 5개의 시내버스 회사와 5개의 마을버스 회사를 운영중이다.
  • 경일교통 : 대구권역의 도시에서 5개의 시내버스 회사를 운영중이다.
  • 부산교통 : 3개의 시외버스와 진주, 사천, 통영에서 시내버스 회사를 운영하고 있다.
  • 천일여객 :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을 운영중이며, 그밖에도 밀성여객, 밀양교통 등의 계열사가 있다.
  • 경북코치서비스 : 3개의 시외버스 회사와 2개의 시내버스 회사, 1개의 관광버스 회사를 운영중이다.
  • 순천교통 : 동신교통, 광양교통 등의 계열사가 있으며 순천-광양간 시내버스를 독점중이다. 그 밖에도 광주의 을로운수, 삼아교통, 현대교통을 계열사로 두고 있다.

2.1.9 없어진 회사

2.2 외국

2.2.1 아시아

2.2.1.1 일본

2.2.2 아메리카

2.2.2.1 미국
2.2.2.2 멕시코
  • 장거리 버스(2등급 이상)
  • 중/단거리 시외버스(3등급)
    • SUR : 멕시코만 일대, 오아하카주, 멕시코시티발 160번 국도 연선.

2.2.3 유럽

  • 유로라인(유럽 전 지역 각국 버스회사의 연합체)
2.2.3.1 영국
2.2.3.2 독일
2.2.3.3 프랑스

2.2.4 오세아니아

2.2.4.1 오스트레일리아

3 관련 문서

  1. 환승할인을 하는 도시인 경우 환승보조금이 지급되며, 지자체에서 요청해서 적자노선을 운영할 경우에도 보조금을 지급한다. 경유/천연가스 등 연료에도 보조금이 지급되며, 천연가스버스를 구입할 때에도 보조금이 지급된다. 때문에, 버스회사의 회계장부에는 각종 보조금 내역이 가득하다.
  2. 준공영제를 시행중인 서울의 경우 적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다만 개별 노선의 흑자, 적자 여부는 알 수 없다.) 2004년 이후 버스가 증차는커녕 지속적으로 감차되기에 이르렀다. 이런 상황에서 새로운 버스회사를 만들게 할리가...
  3. 일반적인 시장과는 다르게, 버스업계는 어느정도의 독점이 인정되는 시장이다. 법원에서도 기존 버스회사의 기득권(독점)을 인정하고 있다.
  4. 하지만 뭐니뭐니 해도 제일 특이한 이름은 경북코치서비스.(경북고속) 코치라는 용어가 우리나라 버스업체 이름으로 쓰여진 최초의 경우.
  5. 인천이 운행 대수는 부산보다 적은데도 운행 회사가 많은 이유는 2000년대 후반부터 준공영제 찬성, 반대 업체를 늘리는 과정에서 계열 분리 회사가 우후죽순처럼 생겨난 이유 때문이다. 여기에 마을버스 출신 회사까지 제외하면 대구보다도 운행 회사가 적어진다.
  6. 당시 존재했다가 없어진 회사로는 대현교통(2001년에 폐업되어 차량은 대명교통, 우주교통, 동광버스로 흩어졌다.), 우일교통(2002년에 세진교통에 통합되었다.), 우성교통(예전에는 극동버스였으며 2010년에 성보교통에 통합되었다.), 동광버스(2004년에 세진교통에 통합되었다.), 동신여객(2010년에 우주교통에 통합되었다.), 창성여객(예전에는 건영교통였으며 2010년에 현대교통에 통합되었다.)이 있었다.
  7. 본래 고양(15년 6월 19일)이라고 써있었으나, 15년 5월 31일에 수원의 마을버스 회사인 광교운수 문서를 마지막으로 모든 마을버스 문서가 작성되었다.
  8. 일단 면허상으로는 안성시 면허를 가지고 있어 경기도 시외버스 회사로 분류되나 사실상 본사도, 주력 노선도 모두 충북 진천을 본거지로 하고 있다.
  9. 실제 본사는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에 있다.
  10. 실제 본사는 남양주시 별내동에 있다.
  11. 실제 본사는 송파공영차고지이다.
  12. 실제 본사는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에 있다.
  13. 대성통운에서 개칭.
  14. 본래 서울 면허 노선의 주사무소 소재지는 중랑구였으나 광진구로 이전했다. 일부 차량이 기존 차량 면허를 말소하고 새 면허를 광진구 소재 업체 면허(71사 1000호 단위)를 받았다.
  15. 실제 본사는 고양시 덕양구 덕은동에 있다.
  16. 실제 본사는 은평공영차고지이다.
  17. 실제 본사는 군포공영차고지.
  18. 실제 본사는 양천공영차고지이다.
  19. 실제 본사는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에 있다.
  20. 실제 본사는 광명공영차고지이다.
  21. 실제 본사는 양천공영차고지이다.
  22. 실제 본사는 군포공영차고이다.
  23. 구, 신성운수.
  24. 면허지, 실제 본사는 김해시 구산동이다.
  25. 면허지, 실제 본사는 김해시 삼계동이다.
  26. 면허지, 실제 본사는 김해시 구산동이다.
  27. 면허는 이현동으로 되어 있지만 실제 차고지는 경산시 자인면 계림리에 있다.
  28. 면허는 읍내동으로 되어 있지만 실제 차고지는 칠곡군 동명면 금암리에 있다.
  29. 면허는 학정동으로 되어 있지만 실제 차고지는 성보교통이 있는 검단동에 있다.
  30. 면허는 사월동으로 되어 있지만 실제 차고지는 경산 조영동 영남대학교 정문 건너편에 있다.
  31. 면허는 만촌2동 대일버스 차고지로 되어 있지만 실제 차고지는 경산시 대평동에 있다.
  32. 면허지는 사월동으로 되어 있지만 실제 차고지는 경산시 대평동에 있다.
  33. 면허는 신매동으로 되어 있지만 실제 차고지는 경산시 평산동에 있다.
  34. 제2차고지는 고령군 다산면 평리리에 있다.
  35. 면허는 현대교통과 동일한 범물동에 있고 차고지는 2015년 10월 현재도 달성군 노이리에 있다.
  36. 면허는 화원읍 구라리로 되어 있지만 실제 차고지는 세운버스가 있는 대천동에 있다.
  37. 시민버스는 부도처리되었다.
  38. 창원시내버스 사업부.
  39. 통영시내버스 사업부.
  40. 농어촌버스 사업부.
  41. 하동행복버스. 영화여객에서 분사되었다.
  42. 장등동에 2차고지가 있다.
  43. 삼아교통과 차고지를 같이 쓴다.
  44. 현대교통과 차고지를 같이 쓴다.
  45. 회사명이 두개로 분리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같은 회사이다.
  46. 목포 유진운수,태원여객의 계열사, 정비공장이나 차고지도 공동 사용.
  47. 충남의 금남고속과는 관계없다.
  48. 48.0 48.1 48.2 48.3 48.4 48.5 48.6 48.7 48.8 시내버스 병행.
  49. 인천 시내버스 회사의 계열사.
  50. 인천 시내버스 및 남양주 마을버스 업체의 계열사인지는 알수없다.
  51. 태진여객의 마을버스 사업부.
  52. 동진여객의 마을버스 사업부.
  53. 태영버스의 마을버스 사업부.
  54. 한창여객의 마을버스 사업부.
  55. 일신여객의 마을버스 사업부.
  56. 삼진여객의 마을버스 사업부.
  57. 동원여객의 마을버스 사업부.
  58. 동남여객의 마을버스 사업부. 본래 2002년까지 시내버스도 병행했었다.
  59. 부산역과 부산국제여객선터미널을 잇는 한정면허 셔틀버스를 운행하는 회사다.
  60. JR 도카이는 2009년에 버스사업에서 철수했다.
  61. 버스회사 맞다. 큐슈 전체 버스의 종결자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철도사업은 부업
  62. 자회사라곤 하지만, 홋카이도 내에서의 도큐의 주요 거점 회사이다. 지방 영주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