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파포네우스 | ||||
Pampaphoneus biccai Cisneros et al., 2012 | ||||
분류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
미분류 | 단궁류(Synapsida) | |||
목 | 수궁목(Therapsida) | |||
아목 | †디노케팔루스아목(Dinocephalia) | |||
과 | †안테오사우루스과(Anteosauridae) | |||
속 | †팜파포네우스속(Pampaphoneus) | |||
종 | ||||
†P. biccai(모식종) |
복원도 출처
고생대 페름기 후기에 브라질에서 살았던 육식성 단궁류의 일종. 속명의 뜻은 '팜파스(Pampas)의 살인자'.
2008년 남부 리우데자네이루 그란데 도 술의 대초원지대에서 발굴된 길이 약 35㎝의 두개골을 분석한 결과 오래 전에 멸종한 수궁목 디노케팔루스아목 안테오사우루스과임을 확인했다고 미국립과학원회보(PNAS)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팜파포네우스 비카(Pampaphoneus bicca)'로 명명된 이 육식동물은 포유류의 먼 친척으로 마치 '호랑이+코모도왕도마뱀의 교잡종'과 같은 모습을 갖고 있었을 것이라고 연구진은 추정했다.
이 발견이 두 가지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는 것을 알수있었는데 하나는 팜파포네우스가 남미에서 발견된 최초의 고생대 육상 포식동물이라는 점으로 지금까지 발견된 같은 시대의 초식동물들과 합하면 페름기에 이 지역의 생태계가 어떠했을지 더욱 정확히 상상할 수 있다는 것이며, 두번째 의미는 이 남미에서 발견된 종이 이전에 발견된 안테오사우루스아과(Anteosaurinae)에 속하는 러시아의 티타노포네우스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안테오사우루스라는 육식성 디노케팔루스아목들과 가까운 유연 관계에 있다는 점인데 이는 수궁류가 판게아 초대륙의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가설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가까운 친척으로는 아우스트랄로시오돈이 있으며, 이 종과 함께 시오돈아과(Syodontinae)에 속한다.
식성은 육식성으로 페름기 후기의 브라질 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 중 하나였을 것이다. 이빨의 구조는 다른 단궁류와 마찬가지로 앞니, 송곳니, 어금니의 분화가 뚜렷하며, 앞쪽으로 갈수록 크기가 커진다. 송곳니가 길고 날카로워서 디노고르곤이나 에오티타노수쿠스와 같은 검치를 지니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