팽이버섯

팽이버섯
Enokitake[1]이명 : 팽나무버서
Flammulina velutipes (Curtis) Singer (1951)
분류
균계
담자균문(Basidiomycota)
담자균강(Agaricomycetes)
주름버섯목(Agaricales)
뽕나무버섯과(Physalacriaceae)
팽이버섯속(Flammulina)
팽이버섯(F. velutipes)
영어Enokitake
일본어エノキタケ
(榎茸)[2]
중국어金針菇[3]

팽이와는 전혀 관계가 없다.

1 개요

버섯의 일종. 팽나무 고목에서 많이 자란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팽나무버섯이라고도 한다.
팽나무 고목에서 많이 자란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나무, 나무 등의 활엽수 그루터기에서 잘 자란다. 톱밥에서 인공적으로 키우기도 하고, 일본에서는 집에서 팽이버섯을 길러 먹을 수 있는 키트도 판매중. 어차피 키트라고 해봤자 버섯균을 퍼진 톱밥을 적당한 통에 눌러담으면 끝이다. 한국에서도 이렇게 되있는 균사병을 소량판매하는 곳이 몇군데 있다. 그러나 집에서 키우면 잡균 등 여러 문제로 상품가치가 있는 팽이버섯은 나오지 않는다고 한다.

2 특징

enokitake1.jpg
야생형

팽이버섯 하면 보통 흰색의 가느다란 버섯을 떠올리지만 노란색이나 황갈색 팽이버섯도 있다. 또한 식용 팽이버섯은 이 매우 작지만 야생 팽이버섯 중에는 갓이 6~8cm 정도로 큰 것도 있다. 평균 갓 지름은 2~8cm.

날 것일때는 냄새가 심하게 나는 편이다. 냄새는 비릿한 편이고 물로 씻어내거나 익히면 괜찮아진다.

시중에서 파는 흰색 팽이버섯은 톱밥을 이용해 인공적으로 키운 것이 많은데, 이 때 야생과의 환경 차이로 야생 팽이버섯보다 가늘고 길게 자란다. 야생 팽이버섯은 시중에 많이 유통되는 것보다 자루도 더 굵고 갓도 더 큰 것도 많은 편. 집에서 야매로 키워도 이런 모양새가 나온다. 참고로 야생 팽이버섯은 가열하면 끈적한 점액 같은 것이 나온다고.

3 요리

요리에 널리 쓰이며, 찌개, 전골, 샤브샤브 등 국물이 있는 요리에 매우 자주 들어가는 재료 중 하나. 한국만이 아니라 일본, 중국 등의 동양 요리에서도 제법 쓰이는 편이다. 팽이버섯을 잘게 잘라 을 부쳐먹기도 한다. 버섯치고는 향이나 식감이 두드러지지 않는 편이고 식이섬유가 상당히 풍부해서 쫄깃쫄깃하다. 무엇보다도 워낙 싸기 때문에 아무 음식에나 양을 불리는 용도처럼 팍팍 들어가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버섯을 잘 먹지 않는 사람도 팽이버섯은 잘 먹는 경우가 많다. 느타리버섯 등 다른 버섯에 비해 한참 가느다란지라 버섯 특유의 물컹한 식감도 덜하고 향도 별로 없기 때문. 찌개에 넣으면 그냥 국수 면발처럼 먹어버리기도 쉽다. 다만 편하다고 막 먹다 보면 이 사이에 끼어서 짜증을 유발한다(...).

라면에 넣으면 비주얼이 마치 스트링 치즈를 찢어 넣은 것 같다. 식감도 쫄깃쫄깃한 게 스트링 치즈 비슷한 느낌을 낼 수 있다(...). 치즈가 비싸서 라면에 함부로 넣기 아까울 때 시도하면 좋다. 대신 버섯 국물이 우러나와 맛이 밍밍해질 가능성도 있으니, 뭐 너서 밍밍한 라면국물 먹기 싫다는 사람에겐 추천하지 않는다. 그 전에 야채, 버섯 싫어하는 사람들은 아예 안 넣는다]

식용 버섯이지만, 조리하지 않은 팽이버섯에는 단백질계 성분인 플라뮤톡신(Flammutoxin)이 들어 있으며 이 성분은 용혈 현상[4]을 유발할 수 있다. 플라뮤톡신은 가열하면 분해되기에 익혀먹으면 문제없다.

양식과 자연산이 모양만큼이나 맛도 차이가 나는데, 전혀 다른 버섯이라고 할 수 있겠다. 눈이 쌓일정도로 내릴때가 제철이라고.
  1. 보면 알겠지만 일본어 발음 그대로 읽는다. 전세계에서 자라기는 하지만 일본 등 동양 요리에 주로 사용되는 버섯으로 알려졌기 때문.
  2. 가이
  3. 금침고
  4. 적혈구가 파괴되어 헤모글로빈이 혈장 속에 흘러나오는 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