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묘향산간 고속도로

북한의 고속도로
남북선평양개성선평양묘향산선
신천사리원선원산금강산선
동서선평양원산선평양남포선평양강동선
계획 노선평양신의주선원산함흥선
신의주개성선문산개성선


주행영상

1 개요

평양희천간 고속도로/평양향산 관광도로/평양희천 저속도로 /평양희천 지방도

북한평양직할시와 평안북도 향산군을 잇는 고속도로.

원래는 이름처럼 희천까지 연결하려던 도로였으나, 막상 고난의 행군 시기인 1996년 공사가 늦어지면서 향산읍 남쪽에서 공사가 중단되어버렸다. 실제로 구글어스를 통해 확인해보면 향산읍 남쪽 고속도로 종점에서 상판을 올리지 못한 교각과 노반들이 북쪽으로 올라가다가 희천시가지 서남쪽에서 끝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안습.

2 목적

외국 인사들의 휴양지가 있는 묘향산으로 귀빈들을 빨리 대동하기 위해 1996년에 완공되었다. 묘향산 바로 앞에 영변이 있고[1] 희천부터는 군수산업의 메카인 자강도라는 점을 생각해 보면 핵개발을 위시한 군수공업 지원 목적도 나름 염두에 두고는 있을 것이다....라기엔 차가 심각하게 없다. OTL

노선의 일부인 평양 안흥립체다리-순안 구간은 1977년 개통된 평양-순안간 고속도로를 이용한다. 이 고속도로의 개통으로 기존 평양-순안 고속도로는 완전히 편입되어 소멸했다. 청천강 하류인 평안북도 안주시까지는 경의선을 똑같이 따라가며 안주부터는 개천선(신안주~개천)과 만포선(개천~향산구간)을 따라간다.

북한이 관광산업에 주력하면서 최근에는 제법 표지판을 갖춰놓았다. 묘향산이 금강산, 판문점과 함께 북한에서 주력으로 미는 국제관광명소다 보니 많은 사진과 영상들이 공개되어 있다. 남한 입장에서는 노면 상태가 한심하다고 생각될지 모르겠지만 어쨌거나 북한 입장에서는 그럭저럭 잘 관리되는 도로라고 할 수 있다. 끝판왕은 평양강동간 고속도로 2012년에는 희천발전소에 투입될 발전기가 이 고속도로를 통해 그 다음은 비포장길을 헤치며 운반되었다.

3 통일 이후 전망

청천강을 건너 신의주로 가는 경의선과 달리 신의주와 정반대 방향묘향산으로 빠져버리는 바람에 도로공사 입장에서는 차후에 서울-신의주 간 고속도로를 건설할 때 다소 귀찮아지게 되었다. 한국도로공사 기준에서는 아마 대한민국 주도로 통일이 될 경우 21번이나 23번, 혹은 1번을 부여받을 듯.[2] 그러나 평양-신의주간 고속도로의 계획이[3] 본 도로에서 신안주 부근에서 분기해서 신의주로 빠지는 노선으로 계획되고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평양-향산 전 노선을 단일 노선으로 둘 가능성은 희박하고, 오히려 신안주-평양 노선은 평양-신의주 고속도로 구간에 편입될 가능성이 높다.[4] 이럴 경우 경평아우토반하고 직결해서[5] 신안주까지는 1호선으로 가고, 여기서 분기를 해서 안주-향산 구간을 82호선 혹은 84호선으로 지정하는 것도 가능할 것으로 본다. 아님 중부고속도로를 초산군까지 연장해서 351호선으로 지정하거나 할 수도 있고. 이후로는 향산에서부터 희천을 거쳐 장기적으로 강계, 만포, 혜산까지 연장이 추진될 듯.

대중교역의 관문인 신의주가 아닌 관광지 향산으로 고속도로를 연결한 점에서, 북한의 도로정책이 철저하게 철도를 보조하는 역할에 머물러 있으며 산업도로망의 구축에 큰 관심이 없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1. 현재는 연구소 자체가 폐기되었지만
  2. 25번은 호남고속도로논산천안고속도로, 27번은 순천완주고속도로, 29번은 서울세종고속도로,구리포천고속도로가 사용하고 있다. 경부고속도로개성평양간 고속도로와 통합되어 1번이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3. 중국이 짓는다는 그 도로
  4. 실제 신안주에는 신의주 연장을 대비한 시설이 설치되어 있다는 카더라가 있긴 한데 현재까지 공개된 위성사진 등을 봐서는 딱히 그런 징후는 없어보인다.
  5. 이 경우 평양 시내 구간을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처럼 고가도로로 건설하거나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처럼 양쪽에 도시고속도로를 붙여 건설할 수도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