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고속도로 | ||||||||||||||
남북선 | 평양개성선 | 평양묘향산선 | ||||||||||||
신천사리원선 | 원산금강산선 | |||||||||||||
동서선 | 평양원산선 | 평양남포선 | 평양강동선 | |||||||||||
계획 노선 | ||||||||||||||
대한민국 고속국도 제 65호선 동해고속도로의 일부[1]
1 개요
강원도 고성군 고성읍(광복전 명칭 장전읍)을 기점으로 하여 원산시를 종점으로 하는 왕복 2차선의 저속도로고속도로. 전구간이 왕복 2차선의 고속도로로, 총연장 114km에 폭이 12m.[2]
2 특징
1987년 착공하여 1989년에 개통, 북한에서 세 번째로 개통한 고속도로다.
강원도 고성군 장전읍 온정리를 기점으로 하여 예륜령, 통천, 고저, 흡곡, 안변을 지나 원산시에서 끝난다. 평양원산간 고속도로와 직접 접속되지는 않는다. [3] 어째 구 영동고속도로와 구 동해고속도로를 보는 느낌[4]
3 현실
-
관련 항목: 44병림픽저속도로
이 도로의 특징은 원산-금강산 간 7번 국도를 그냥 조금 이설 및 확장하여 포장한 다음에 고속도로라고 붙여놓은 거라서[5], 도로 폭이 12m에 불과한데다가 도로 선형이 매우 불량하여 광주대구고속도로의 88올림픽고속도로 시절만도 못한 상황. 간단히 말하면, 전체 노선 중 80% 정도는 7번 국도와 공용한다고 보면 되고, 그나마도 삼거리에서 직진을 하면 고속도로를 저절로 빠져나오는 교차로도 상당히 많다.[6] 영동고속도로 대관령 구간?
그나마 평양을 기점으로 다른 고속도로들이 중앙정부의 동원지원으로 건설된 데 반해 이 고속도로는 아예 강원도가 자체적으로 건설해야 했다. 빼박 지방도 이 고속도로와 동시기에 건설된 도로가 개성평양간 고속도로인데, 개성평양간 고속도로가 인민군 수만명을 갈아넣어서 동원해서 공사 할 때 여기는 강원도 내 노동자들은 물론이고 당·행정일군들까지 삽 들고 나와야 했다. 물론 건설 결정은 중앙정부에서 내리고(...) 통일되면 남한의 구 동해고속도로 구간처럼 걍 다시 7번 국도로 환원되고 아예 신선이 뚫릴듯.
4 추후
현재 평양원산간 고속도로와 접속하는 원산함흥간 고속도로가 건설중이지만 본 노선과 직접 접속하지는 않는다.- ↑ 실제 통일이 될 경우 확장 및 선형개량을 해서 동해고속도로의 일부 구간으로 편입할 계획이 있다. 물론 언제까지나 원산-속초 신선이 뚫리기 전까지겠지만.
- ↑ 참고로 서울의 103번, 172번 1137번, 1017번이 들쑤시는
이들 노선이 똥차 노선이 되는데 일조하는일명 장위동 고갯길(장월로)의 노폭이 12m이다. - ↑ 평양원산간 고속도로의 종점은 판중동, 원산금강산 고속도로의 종점은 갈마다리다. 각각 원산 시가지의 서쪽 끝과 동쪽 끝이다. 물론 "도로"상으로 본다면 직진을 쭉 하면 연결되는 구조이긴 하다만(...)
- ↑ 1987년까지 영동고속도로 종점은 강릉시 홍제동, 동해고속도로 종점은 모전동이어서 강릉시내를 통과했어야 했기 때문.
- ↑ 비슷한 사례로는 1993년에 개통한 평양강동간 고속도로가 있다. 이도 평양-강동 간 8번 국도를 약간 선형 개량해서 그대로 고속도로라는 이름을 붙여 놓았다.
- ↑ 간단히 말하면 구 동마산IC 같은 형태의 교차로가 삼거리로 되어 있다는 뜻이다.